목차
(1) 한자의 특징과 중국 문학의 특징의 연관성
(2) 한대 악부와 고시의 문학세계에서 보이는 한대인의 비애감과 향락적 경향의 의미
(3) 지괴의 전기 등 중국 문언필기소설에서 보이는 시공간의 초월적 양상
- 출처 및 참고문헌
(2) 한대 악부와 고시의 문학세계에서 보이는 한대인의 비애감과 향락적 경향의 의미
(3) 지괴의 전기 등 중국 문언필기소설에서 보이는 시공간의 초월적 양상
-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도대로 내용이 가미되거나 구성되어 창작한 이야기를 말한다. 이렇게 변화한 이유는 기이한 이야기 속에 현실의 내용을 담아 풍자하거나 교훈을 내포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괴소설은 주로 농촌 등이 배경이며 분량이 짧고 재미에 치우친 민간의 설화이다. 그러나 전기소설은 주로 도시가 배경이며 소재 역시 신비로운 이야기나 남녀 간의 사랑이야기 등 보다 현실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며 소재의 나열에 치우친 지괴소설과는 달리 다양한 표현을 통해 문장의 독문의 즐거움이 가미되었다.
이렇듯 문언필기소설은 대부분 신기하고 기이한 이야기가 그 소재로서 괴물이나 초월적 존재가 등장하거나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신비로운 장소가 나오기도 하고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존재나 시간의 이동을 보여주는 초자연적인 설정이 종종 등장한다. 이러한 경향은 혼란하던 시대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현실의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초월적 존재와 설정을 통해 보여주는데 당시 음양오행설이나 불교, 도교 등이 성행하였던 것 역시 그러한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당의 전기 중 심기제의 침중기는 시공간을 초월하는 설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꿈을 소재로 이상세계와 현실을 넘나드는 모습을 그려내는데 여기서 나타난 황량일몽(黃梁一夢)은 현대까지도 인생의 허무함을 나타내는 시구로 유명하다. 지괴소설에서는 특히 선경이라는 개념이 많이 이용되는데 동양의 유토피아를 나타내는 명칭 중 하나로 신선이 사는 세계라고 할 수 있으며 현실을 벗어난 초월적이고 이상적인 공간을 뜻한다. 지괴소설에서는 이러한 신선이 사는 세계를 동경하는 경향이 많으며 현실을 떠나 잠시 신선의 세계에 다녀오는 설정이 종종 나타나는데 신선의 세계에서는 시간이 현실의 시간과 다르게 흘러가므로 신선세계의 잠깐의 시간이 현실의 수년에 해당하기도 한다. 목천자전은 이러한 설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작자미상의 여행기로서 신선의 세계를 유람한 내용을 담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주요 중국문학사의 소설 장르 서술관점 분석 : 초기 중국문학사 二種의 경우, 이등연, 중국어문연구회, 1998
중국문학 사료학 : 중국고전문학사료, 임원빈,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02
중국문학연구 제 68집, 이인영 외, 한국중문학회, 2017
한국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
지괴소설은 주로 농촌 등이 배경이며 분량이 짧고 재미에 치우친 민간의 설화이다. 그러나 전기소설은 주로 도시가 배경이며 소재 역시 신비로운 이야기나 남녀 간의 사랑이야기 등 보다 현실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며 소재의 나열에 치우친 지괴소설과는 달리 다양한 표현을 통해 문장의 독문의 즐거움이 가미되었다.
이렇듯 문언필기소설은 대부분 신기하고 기이한 이야기가 그 소재로서 괴물이나 초월적 존재가 등장하거나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신비로운 장소가 나오기도 하고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존재나 시간의 이동을 보여주는 초자연적인 설정이 종종 등장한다. 이러한 경향은 혼란하던 시대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현실의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초월적 존재와 설정을 통해 보여주는데 당시 음양오행설이나 불교, 도교 등이 성행하였던 것 역시 그러한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당의 전기 중 심기제의 침중기는 시공간을 초월하는 설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꿈을 소재로 이상세계와 현실을 넘나드는 모습을 그려내는데 여기서 나타난 황량일몽(黃梁一夢)은 현대까지도 인생의 허무함을 나타내는 시구로 유명하다. 지괴소설에서는 특히 선경이라는 개념이 많이 이용되는데 동양의 유토피아를 나타내는 명칭 중 하나로 신선이 사는 세계라고 할 수 있으며 현실을 벗어난 초월적이고 이상적인 공간을 뜻한다. 지괴소설에서는 이러한 신선이 사는 세계를 동경하는 경향이 많으며 현실을 떠나 잠시 신선의 세계에 다녀오는 설정이 종종 나타나는데 신선의 세계에서는 시간이 현실의 시간과 다르게 흘러가므로 신선세계의 잠깐의 시간이 현실의 수년에 해당하기도 한다. 목천자전은 이러한 설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작자미상의 여행기로서 신선의 세계를 유람한 내용을 담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주요 중국문학사의 소설 장르 서술관점 분석 : 초기 중국문학사 二種의 경우, 이등연, 중국어문연구회, 1998
중국문학 사료학 : 중국고전문학사료, 임원빈,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02
중국문학연구 제 68집, 이인영 외, 한국중문학회, 2017
한국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
추천자료
신라말, 고려초의 문학-향가를 중심으로-
중국문학의 변천과정과 문예노선에 관한 고찰
중국산문사
[역사]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과 특징
[역사]고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정과 특징
[한자][한문]한자(한문)의 발생, 한자(한문)의 구조, 한자(한문)의 점획, 한자(한문)의 필순,...
[춘향전][춘향전 갈등구조][춘향전 북한문학사]춘향전의 시대적 배경, 춘향전의 특징, 춘향전...
중국문화산책 B형 남방문화와 북방문화, 남방 문화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세요
국어사 교재를 참조하여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