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조적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2. 전략적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3. 경험적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4. 해결중심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5. 이야기 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6. 출처 및 참고문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2. 전략적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3. 경험적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4. 해결중심 가족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5. 이야기 치료
1) 기본 원리
2) 치료 목표
3) 개입기법
4) 적용 사례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법을 활용할 수 있다.
4) 적용 사례
경험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 학습의 차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유아 또는 청소년의 가족 행태를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할 때 적용하기에 좋다. 특히 가족 내 한 구성원의 일탈 행위가 문제를 일으킬 때,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4. 해결중심 가족치료
1970년대 초 Shazer와 Berg 등이 고안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MRI 이론을 그 시초로 하며 다양한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기본 원리
우선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기본적으로 치료 대상자가 이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이러한 점에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문제에 초점을 두는 다른 가족치료와 달리, 해결에 초점을 두어 대상자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고 대상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대상자가 보유한 능력과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이를 함부로 판단하지 않을 것을 강조한다.
또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한 번에 큰 변화를 지향하기보다는 작고 단기적인 변화에 초점을 둔다는 특징이 있다.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이러한 소규모의 변화가 실현되면 자연스럽게 더 큰 변화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치료 목표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구체적이고 단기적인 소규모의 변화를 치료 목표로 삼는다. 다시 말해, 치료를 통해 바로 가족 체계 전체의 변화를 지향하기보다는, 개인의 심리나 행위의 작은 변화를 지향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구조적 차원의 변화를 지향한다.
더불어,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치료 대상자의 강점과 능력을 파악함으로써 문제 상황의 분석 대신 문제 상황의 직접적인 해결을 목표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3) 개입기법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파악하는 소극적인 방식보다는, 치료 대상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여 그의 강점과 능력을 확인하고, 대상자가 이를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기법을 활용한다.
더불어 가족 전체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대상자 개인에게 작은 변화를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입한다는 특징이 있다.
4) 적용 사례
이러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대상자가 심리적으로 불안 상태에 있거나 자아존중감이 약한 상황에 적용하기에 좋다. 심리가 불안정한 사람은 보통 자신의 강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해결중심 가족치료를 통해 자신의 강점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이러한 상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5. 이야기 치료
White가 대중화한 이야기 치료는, 다른 가족치료 방식과 달리 치료 대상자가 주체적인 역할을 맡는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 있는 치료 방식이다. 이러한 이야기 치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기본 원리
우선 이야기 치료는 기본적으로, 문제 상황을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대상자가 이러한 문제 상황을 밖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자신이 조망하는 자신의 문제 상황을 새로운 이야기로 재구성하고, 이를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얻게 된다.
2) 치료 목표
이야기 치료의 치료 목표는,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 상황을 자신과 무관한 것으로 인식하는 상태에서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재해석하게 하여 스스로 문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있다.
3) 개입기법
이야기 치료는 치료자의 개입이 최소 수준으로 유지되며, 치료 대상자가 주체적인 역할을 맡아 직접 문제 해결을 주도한다는 특징이 있다.
4) 적용 사례
이러한 이야기 치료는, 흔히 정서적으로 불안정 상태인 아동의 갈등 상황 해결 등에 많이 적용된다.
6. 출처 및 참고문헌
조영란,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본 청소년 문제에 대한 이해」,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원혜경, 「Jay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4
이현준, 「알코올중독에 대한 V. Satir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6
홍승숙,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를 통한 전화상담 모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2009
홍진규, 「이야기치료가 초등학생의 갈등 재구성과 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 적용 사례
경험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 학습의 차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유아 또는 청소년의 가족 행태를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할 때 적용하기에 좋다. 특히 가족 내 한 구성원의 일탈 행위가 문제를 일으킬 때,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4. 해결중심 가족치료
1970년대 초 Shazer와 Berg 등이 고안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MRI 이론을 그 시초로 하며 다양한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기본 원리
우선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기본적으로 치료 대상자가 이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이러한 점에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문제에 초점을 두는 다른 가족치료와 달리, 해결에 초점을 두어 대상자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고 대상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대상자가 보유한 능력과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이를 함부로 판단하지 않을 것을 강조한다.
또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한 번에 큰 변화를 지향하기보다는 작고 단기적인 변화에 초점을 둔다는 특징이 있다.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이러한 소규모의 변화가 실현되면 자연스럽게 더 큰 변화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치료 목표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구체적이고 단기적인 소규모의 변화를 치료 목표로 삼는다. 다시 말해, 치료를 통해 바로 가족 체계 전체의 변화를 지향하기보다는, 개인의 심리나 행위의 작은 변화를 지향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구조적 차원의 변화를 지향한다.
더불어,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치료 대상자의 강점과 능력을 파악함으로써 문제 상황의 분석 대신 문제 상황의 직접적인 해결을 목표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3) 개입기법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문제 상황을 분석하고 파악하는 소극적인 방식보다는, 치료 대상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여 그의 강점과 능력을 확인하고, 대상자가 이를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기법을 활용한다.
더불어 가족 전체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대상자 개인에게 작은 변화를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입한다는 특징이 있다.
4) 적용 사례
이러한 해결중심 가족치료는, 대상자가 심리적으로 불안 상태에 있거나 자아존중감이 약한 상황에 적용하기에 좋다. 심리가 불안정한 사람은 보통 자신의 강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해결중심 가족치료를 통해 자신의 강점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이러한 상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5. 이야기 치료
White가 대중화한 이야기 치료는, 다른 가족치료 방식과 달리 치료 대상자가 주체적인 역할을 맡는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 있는 치료 방식이다. 이러한 이야기 치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기본 원리
우선 이야기 치료는 기본적으로, 문제 상황을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대상자가 이러한 문제 상황을 밖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자신이 조망하는 자신의 문제 상황을 새로운 이야기로 재구성하고, 이를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얻게 된다.
2) 치료 목표
이야기 치료의 치료 목표는, 대상자가 자신의 문제 상황을 자신과 무관한 것으로 인식하는 상태에서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재해석하게 하여 스스로 문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있다.
3) 개입기법
이야기 치료는 치료자의 개입이 최소 수준으로 유지되며, 치료 대상자가 주체적인 역할을 맡아 직접 문제 해결을 주도한다는 특징이 있다.
4) 적용 사례
이러한 이야기 치료는, 흔히 정서적으로 불안정 상태인 아동의 갈등 상황 해결 등에 많이 적용된다.
6. 출처 및 참고문헌
조영란, 「구조적 가족치료에서 본 청소년 문제에 대한 이해」,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원혜경, 「Jay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4
이현준, 「알코올중독에 대한 V. Satir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6
홍승숙, 「해결중심 단기가족치료를 통한 전화상담 모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 대학원』, 2009
홍진규, 「이야기치료가 초등학생의 갈등 재구성과 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추천자료
2020년 2학기 가족상담및치료 기말시험 과제물(구조적, 전략적, 경험적 가족치료 등)
가족상담및치료 (1)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해결...
[가족상담및치료 4학년] (1)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
가족상담및치료 기말 2020]1)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해...
가족상담 및 치료 ) (1)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
가족상담및치료 ) (1)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해...
가족상담및치료 ) (1)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해...
가족상담 및 치료 ) 구조적 가족치료, (2) 전략적 가족치료, (3) 경험적 가족치료, (4)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