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상을 통한 아동복지
2) 느낀점 및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영상을 통한 아동복지
2) 느낀점 및 시사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다.
2) 느낀점 및 시사점
외국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더 많은 복지 제도를 통해 누릴 수 있는 혜택이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아동복지의 경우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사회까지 함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출산율도 높이고,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있다. 아빠의 육아휴직에 대한 거부감도 없고, 국가나 사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은 우리나라에도 적용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복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는 있고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실제로 사회에 적용시키고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빠가 육아휴직을 한다는 것 자체는 직장을 잃는다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느낄 정도로 아동을 위한 복지제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아동복지라는 것이 아동을 위한 국가의 제도나 시스템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를 보육하는 부모와 보육시설까지 포함할 수 있어야하며, 아동복지가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그 범위를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과도한 세금은 국민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지만, 아동복지의 경우는 보편적 복지를 추구해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부분이 많아지는 것 같다. 아이를 낳고 경력단절로 인한 두려움에 아이를 낳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저출산으로 인한 아동의 수가 줄어들면서 우리는 아동복지의 필요성도 함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아동을 위한 복지 그리고 아동을 잘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지금 현재보다 미래를 위한 투자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아이를 잘 낳고 잘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우리가 수준 높은 아동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혹은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공공 보육시설의 확보와 수준 높은 보육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똑같은 수준의 교육을 통해 가난함을 대물림받지 않을 수 있도록 돕고, 우리 사회에서 아동을 위한 복지가 얼마나 부족한 점이 많은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국가와 부모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고, 사회와 많은 사람들의 동의와 힘이 합쳐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아동복지를 위해 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부족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동을 보육해야 하는 역할을 하는 부모가 짊어져야 할 짐을 줄여줄 수 있도록 사회와 국가에서 적극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3. 결론
외국의 사례를 통해 아동복지를 어떻게 변화시켜야할 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됐다. 아직 우리나라는 복지 선진국의 아동복지 시스템에 비해 부족한 점에 많고,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아동복지의 중요성을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에서도 이해하고 이를 위한 다방면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4. 참고문헌
1) EBS 다큐프라임 - 행복의 조건, 복지국가를 가다 4부. 보육
https://www.ebs.co.kr/search?query=%EB%8B%A4%ED%81%90%ED%94%84%EB%9D%BC%EC%9E%84+%ED%96%89%EB%B3%B5%EC%9D%98%EC%A1%B0%EA%B1%B4&topquery=&collection=again&sort=RANK&sort_again=DATE&strOperation=&startCount=0&reQuery=2&realQuery=&site=&channel=&autoChk=Y&clipClass=ALL
2) 느낀점 및 시사점
외국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더 많은 복지 제도를 통해 누릴 수 있는 혜택이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아동복지의 경우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사회까지 함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출산율도 높이고,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있다. 아빠의 육아휴직에 대한 거부감도 없고, 국가나 사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은 우리나라에도 적용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복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는 있고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는 있으나, 실제로 사회에 적용시키고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빠가 육아휴직을 한다는 것 자체는 직장을 잃는다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느낄 정도로 아동을 위한 복지제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아동복지라는 것이 아동을 위한 국가의 제도나 시스템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를 보육하는 부모와 보육시설까지 포함할 수 있어야하며, 아동복지가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그 범위를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과도한 세금은 국민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지만, 아동복지의 경우는 보편적 복지를 추구해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부분이 많아지는 것 같다. 아이를 낳고 경력단절로 인한 두려움에 아이를 낳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저출산으로 인한 아동의 수가 줄어들면서 우리는 아동복지의 필요성도 함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아동을 위한 복지 그리고 아동을 잘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지금 현재보다 미래를 위한 투자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아이를 잘 낳고 잘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우리가 수준 높은 아동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혹은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공공 보육시설의 확보와 수준 높은 보육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똑같은 수준의 교육을 통해 가난함을 대물림받지 않을 수 있도록 돕고, 우리 사회에서 아동을 위한 복지가 얼마나 부족한 점이 많은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단순히 국가와 부모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고, 사회와 많은 사람들의 동의와 힘이 합쳐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아동복지를 위해 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고, 부족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동을 보육해야 하는 역할을 하는 부모가 짊어져야 할 짐을 줄여줄 수 있도록 사회와 국가에서 적극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3. 결론
외국의 사례를 통해 아동복지를 어떻게 변화시켜야할 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게됐다. 아직 우리나라는 복지 선진국의 아동복지 시스템에 비해 부족한 점에 많고,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아동복지의 중요성을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에서도 이해하고 이를 위한 다방면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4. 참고문헌
1) EBS 다큐프라임 - 행복의 조건, 복지국가를 가다 4부. 보육
https://www.ebs.co.kr/search?query=%EB%8B%A4%ED%81%90%ED%94%84%EB%9D%BC%EC%9E%84+%ED%96%89%EB%B3%B5%EC%9D%98%EC%A1%B0%EA%B1%B4&topquery=&collection=again&sort=RANK&sort_again=DATE&strOperation=&startCount=0&reQuery=2&realQuery=&site=&channel=&autoChk=Y&clipClass=ALL
추천자료
사회복지 실천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고서로 제출 - 과제중심모델
[아동복지론] 보편성과 선정성의 원칙에 대해 비교하고, 각 나라마다 보편성과 선정성이 공...
[아동복지론] 피학대 아동이 처음으로 기관을 방문하였을 때 아동의 반응과 사회복지사의 역...
[아동복지론] 다음의 아동학대의 발생원인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아동과 부모의 개인적 요인, ...
[아동복지] 아동과 아동복지에 관한 시각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복...
사회복지학개론 2020년 기말시험(온라인평가)
[사회문제론 4학년 A형] 교재 6장의 내용을 참고하면서 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건강문제가 왜 ...
청소년 복지의 실천 방법 중 사례관리의 현황과 발전, 앞으로 전망에 서술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습생으로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인가에 대하여 이론적 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