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한국정치의 SNS 화
1. 결투의 장에서 토론의 장으로
1. 정확한 정보공유의 장소
1. 현실정치의 대체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한국정치의 SNS 화
1. 결투의 장에서 토론의 장으로
1. 정확한 정보공유의 장소
1. 현실정치의 대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사회구성원들을 한국정치라는 거대한 지형에 투입하는데 있어서 가능하다. 한국정치는 아직까지 계급투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강희경.(2016).계급 정치와 ‘계층 배반 투표’.경제와사회,110(),40-43.
이러한 계급투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투표와 정당 선택에 있어서 본인의 정치적 입장과 동일하지 않은 투표행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급투표의 부재는 온라인정치를 통해서 해소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설명된 것처럼 정부의 정책 활동과 국회의원의 입법 활동을 직접 관찰하고 볼 수 있게 되면서 정보 획득이 쉬워지게 되었고, 이들의 정체성도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게 되었다. 또한 정부와 국회가 어떻게 활동하고 움직이는지 실시간으로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고려해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인지하기 쉬워졌다고 본다.
두 번째로 SNS활동을 통해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숙의와 토론이 더욱 강화되고 상대방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는 빠른 피드백 정치가 생성되었다고 생각한다. 송경재, 민희(2008). 미국 유튜브 정치(YouTube Politics)의 시민참여 - 한국적 함의를 중심으로 -
정보화정책 제15권 제2호, 2008년 여름호, pp.48-53
온라인 정책토론회를 통해서 세금낭비와 행정부와 입법부의 입법 활동 폭주를 막을 수 있다고 본다. 시민들이 의견숙의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진정한 지역 친화적 사업을 구축하는데 일조하고, 과도하고 세금낭비가 심한 정책들과 사업을 재검토하면서 입법 독주를 막고, 세금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피드백 정치는 단순히 입법 독주 예방에서 끝나지 않고 평소 시민들이 갖고 있었던 지역문제, 국가적 사안 및 국외적 사안들에 대해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놓치고 있었던 자세한 부분들을 점검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시민사회의 영향력과 입지를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본다.
결론
1987년의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는 SNS의 등장으로 인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는 조금씩 발현하고 있기에 아직까지 파급력이 적으나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정치 및 시사 관련 유튜버들의 수적 및 질적 증가는 이러한 한국정치의 SNS 화를 단편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직 및 전직 정치인들의 페이스북 계정 및 유튜브 계정 개설은 한국정치가 SNS로 인해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늘 보고서에서 설명한 것처럼 한국정치의 SNS 화는 장점과 단점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부각하여, SNS 요소가 추가되는 과정에서 개선책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SNS 영향과 한국정치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작동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희경.(2016).계급 정치와 ‘계층 배반 투표’.경제와사회,110(),40-43
김수영(2020). “정치인의 특성이 유튜브 메시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13-17
김춘식, 이나경(2010). “소셜미디어에서 온라인 정치담론의 특성”.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II) 시리즈 10-1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고예나(2018). “ICR Media Trend Report No.11” 언론정보연구소 미래뉴스센터 통권 11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pp.2-3
머니투데이. \"韓 민주주의 아시아 1위… 北 꼴찌\"-영국 기관. 2020년 12월 16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12513025184321
송경재, 민희(2008). 미국 유튜브 정치(YouTube Politics)의 시민참여 - 한국적 함의를 중심으로 -. 정보화정책 제15권 제2호, 2008년 여름호, pp.48-53
중앙일보. “노회찬이 \'노룩 라이브\' 촬영한 이유. 2020년 12월 16일. https://news.joins.com/article/21627135
한겨례. “조승래, ‘원격 출석·비대면 표결’ 허용 국회법 발의” 2020년 12월 16일.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58531.html
한국경제. “국회 선진화법 7년만에 무력화…\"편법·반칙 수단 전락\"” 2020년 12월 16일.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12089262Y
이러한 계급투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투표와 정당 선택에 있어서 본인의 정치적 입장과 동일하지 않은 투표행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급투표의 부재는 온라인정치를 통해서 해소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설명된 것처럼 정부의 정책 활동과 국회의원의 입법 활동을 직접 관찰하고 볼 수 있게 되면서 정보 획득이 쉬워지게 되었고, 이들의 정체성도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게 되었다. 또한 정부와 국회가 어떻게 활동하고 움직이는지 실시간으로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고려해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인지하기 쉬워졌다고 본다.
두 번째로 SNS활동을 통해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숙의와 토론이 더욱 강화되고 상대방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는 빠른 피드백 정치가 생성되었다고 생각한다. 송경재, 민희(2008). 미국 유튜브 정치(YouTube Politics)의 시민참여 - 한국적 함의를 중심으로 -
정보화정책 제15권 제2호, 2008년 여름호, pp.48-53
온라인 정책토론회를 통해서 세금낭비와 행정부와 입법부의 입법 활동 폭주를 막을 수 있다고 본다. 시민들이 의견숙의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진정한 지역 친화적 사업을 구축하는데 일조하고, 과도하고 세금낭비가 심한 정책들과 사업을 재검토하면서 입법 독주를 막고, 세금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피드백 정치는 단순히 입법 독주 예방에서 끝나지 않고 평소 시민들이 갖고 있었던 지역문제, 국가적 사안 및 국외적 사안들에 대해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놓치고 있었던 자세한 부분들을 점검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시민사회의 영향력과 입지를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본다.
결론
1987년의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는 SNS의 등장으로 인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는 조금씩 발현하고 있기에 아직까지 파급력이 적으나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정치 및 시사 관련 유튜버들의 수적 및 질적 증가는 이러한 한국정치의 SNS 화를 단편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직 및 전직 정치인들의 페이스북 계정 및 유튜브 계정 개설은 한국정치가 SNS로 인해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늘 보고서에서 설명한 것처럼 한국정치의 SNS 화는 장점과 단점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부각하여, SNS 요소가 추가되는 과정에서 개선책이 지속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SNS 영향과 한국정치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작동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희경.(2016).계급 정치와 ‘계층 배반 투표’.경제와사회,110(),40-43
김수영(2020). “정치인의 특성이 유튜브 메시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13-17
김춘식, 이나경(2010). “소셜미디어에서 온라인 정치담론의 특성”.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II) 시리즈 10-1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고예나(2018). “ICR Media Trend Report No.11” 언론정보연구소 미래뉴스센터 통권 11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pp.2-3
머니투데이. \"韓 민주주의 아시아 1위… 北 꼴찌\"-영국 기관. 2020년 12월 16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12513025184321
송경재, 민희(2008). 미국 유튜브 정치(YouTube Politics)의 시민참여 - 한국적 함의를 중심으로 -. 정보화정책 제15권 제2호, 2008년 여름호, pp.48-53
중앙일보. “노회찬이 \'노룩 라이브\' 촬영한 이유. 2020년 12월 16일. https://news.joins.com/article/21627135
한겨례. “조승래, ‘원격 출석·비대면 표결’ 허용 국회법 발의” 2020년 12월 16일.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58531.html
한국경제. “국회 선진화법 7년만에 무력화…\"편법·반칙 수단 전락\"” 2020년 12월 16일.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12089262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