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확률적 표집
1) 확률적 표집의 개념
2) 확률적 표집의 종류
- 단순무선 표집
- 무선 표집
- 체계적 표집
- 유층 표집
- 다단계 표집
- 군집 표집
2. 확률적 표집을 사용한 사례 - (유아예절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1) 논문에 대한 정보
2) 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확률적 표집
1) 확률적 표집의 개념
2) 확률적 표집의 종류
- 단순무선 표집
- 무선 표집
- 체계적 표집
- 유층 표집
- 다단계 표집
- 군집 표집
2. 확률적 표집을 사용한 사례 - (유아예절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1) 논문에 대한 정보
2) 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만족도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해당 연구는 유아 예절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유아 예절교육 방법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그리고 유아 예절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와 요구는 어떠한지를 알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 교사는 유아 예절교육이 중요하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아 예절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높으나 유아 예절교육의 실제 실시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부모와 교사의 유아 예절교육 방법에는 차이가 존재하며 예절교육을 할 때 부모는 말로 설명해주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고 교사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방법을 선호한다고 한다. 반면 식사예절이나 인사예절과 같은 예절 행위를 지도할 때 역시 부모는 말로 설명해주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고, 교사는 식사와 옷차림 예절을 제외한 예절 항목에서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을 선호한다는 결론을 내고 있다. 그리고 부모와 교사는 유아에게 예절 교육을 할 때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서로가 유아 예절교육에 가장 영향을 주는 사람이라고 응답하였다고 한다. 이에 논문은 부모와 교사는 유아기 예절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유아가 자연스럽게 예절을 터득하도록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적으로 예절교육을 시행하며 가정과 유아 교육기관이 상호 연계를 두고 예절교육을 해야 하며 부모와 교사가 일관성 있는 유아 예절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 부모 교육이나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가정과 유아교육 기관 사이에서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하며 논문을 끝마치고 있다.
2) 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
해당 논문에서 연구 대상은 서울시 N구에 위치한 유아교육 기관의 학부모 270명과 교사 132명을 대상을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부모의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N구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 3곳에 부모용 설문지를 각 100부씩 총 300부를 배부하여 91%의 회수율로 27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무응답, 중복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70부를 선정하여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교사용 설문지는 서울시 N구의 유아 교육기관25곳에 총 16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82.5의 회수율을 보이고 134부를 회수하여 무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132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총 두 가지의 표집이 시행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유층 표집과 군집 표집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집을 실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지역 내에 위치하는 유아교육 기관을 선정하였다는 것에서 군집 표집의 방법이 시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논문에서 서울시, N구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하였다는 것에서 그것을 알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표집을 실시하면서 기관에 존재하는 학부모의 수는 교사의 수보다 훨씬 많기에 학부모에 대한 표집은 유아 교육기관 3곳만을 이용하여도 270명이라는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나, 교사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교사를 표집할 때는 유아 교육기관 25곳을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면서 비율이 더 낮게 나올 수 있는 교사에 대한 표집 값을 늘려서 선정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조사를 시행할 때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집을 진행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조사는 2007년 10월 1일부터 10월 19일까지 3주간 이뤄졌었는데 부모용 설문지는 유아 교육기관 3곳에 각 100부씩 총 300부를 배부하였으며 교사용 설문지는 유아 교육기관 25곳에 총 160부를 배부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회수하였다고 작성되어 있다. 해당 논문에서는 이러한 표집 대상 선정에 대한 이유가 작성되어 있지는 않아 표집 기준을 그저 유아 교육기관에 중점을 맞추고 진행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던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표본 조사는 노력과 경비의 절약, 자료의 신속한 처리, 조사의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표집을 통해 다양한 이득과 자료 정리를 누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본 조사를 위한 표집 방법에는 아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함을 볼 수 있었고 우리는 이것을 각각의 표집 방법을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표집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았다. 특히 확률적 표집 방법은 교육평가를 진행하기에 효과적인 표집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군집 표집을 통해 교육평가를 진행한다면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쉽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을 것이며 다단계 표집을 활용한다면 특정 학생들의 학력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표집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표집은 궁극적으로 표본이라는 전체를 대신하는 연구 대상, 소집단을 형성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고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보고서에서 살펴본 유아 예절교육에 대한 조사 역시 표집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에 우리가 표집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기에 이를 대비하여 표집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둬야 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하였다. 비록 이번 보고서에서는 언급되지 못한 비확률적 표집 역시 중요하게 다뤄야 할 표집 방법이며, 표집의 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무엇이 있는지도 알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표집 방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이해한다면 이후에도 성공적인 교육평가를 해낼 수 있을 것이고, 우리는 표집을 통한 통계를 계산하는 데 쉽게 이해하고 대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자료
김소정(2007). 유아예절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1220279
이인재(2015). 관광조사방법론. 가천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127354
김은아(2017). 간호연구 및 통계. 호남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225282
이종환(2014). 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 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
해당 논문에서 연구 대상은 서울시 N구에 위치한 유아교육 기관의 학부모 270명과 교사 132명을 대상을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부모의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N구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 3곳에 부모용 설문지를 각 100부씩 총 300부를 배부하여 91%의 회수율로 27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무응답, 중복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70부를 선정하여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교사용 설문지는 서울시 N구의 유아 교육기관25곳에 총 16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82.5의 회수율을 보이고 134부를 회수하여 무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총 132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총 두 가지의 표집이 시행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유층 표집과 군집 표집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집을 실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지역 내에 위치하는 유아교육 기관을 선정하였다는 것에서 군집 표집의 방법이 시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논문에서 서울시, N구에 위치한, 유아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하였다는 것에서 그것을 알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표집을 실시하면서 기관에 존재하는 학부모의 수는 교사의 수보다 훨씬 많기에 학부모에 대한 표집은 유아 교육기관 3곳만을 이용하여도 270명이라는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나, 교사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교사를 표집할 때는 유아 교육기관 25곳을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면서 비율이 더 낮게 나올 수 있는 교사에 대한 표집 값을 늘려서 선정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조사를 시행할 때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집을 진행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조사는 2007년 10월 1일부터 10월 19일까지 3주간 이뤄졌었는데 부모용 설문지는 유아 교육기관 3곳에 각 100부씩 총 300부를 배부하였으며 교사용 설문지는 유아 교육기관 25곳에 총 160부를 배부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회수하였다고 작성되어 있다. 해당 논문에서는 이러한 표집 대상 선정에 대한 이유가 작성되어 있지는 않아 표집 기준을 그저 유아 교육기관에 중점을 맞추고 진행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던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표본 조사는 노력과 경비의 절약, 자료의 신속한 처리, 조사의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표집을 통해 다양한 이득과 자료 정리를 누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본 조사를 위한 표집 방법에는 아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함을 볼 수 있었고 우리는 이것을 각각의 표집 방법을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표집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았다. 특히 확률적 표집 방법은 교육평가를 진행하기에 효과적인 표집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군집 표집을 통해 교육평가를 진행한다면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쉽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을 것이며 다단계 표집을 활용한다면 특정 학생들의 학력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인 표집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표집은 궁극적으로 표본이라는 전체를 대신하는 연구 대상, 소집단을 형성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고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보고서에서 살펴본 유아 예절교육에 대한 조사 역시 표집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에 우리가 표집을 활용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기에 이를 대비하여 표집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둬야 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하였다. 비록 이번 보고서에서는 언급되지 못한 비확률적 표집 역시 중요하게 다뤄야 할 표집 방법이며, 표집의 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무엇이 있는지도 알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표집 방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이해한다면 이후에도 성공적인 교육평가를 해낼 수 있을 것이고, 우리는 표집을 통한 통계를 계산하는 데 쉽게 이해하고 대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자료
김소정(2007). 유아예절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1220279
이인재(2015). 관광조사방법론. 가천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127354
김은아(2017). 간호연구 및 통계. 호남대학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225282
이종환(2014). 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추천자료
교육평가A형 2021 교육평가A형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
교육평가B형 2021 교육평가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교육평가, 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
(교육평가, A형)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
2021 교육평가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교육평가B형 유아교육에...
교육평가A형 2021]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교육평가A형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
교육평가) 확률적 표집 개념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
) 확률적 표집 개념과 방법을 설명. 교육평가.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찾아 ...
교육 ) 비확률적 표집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