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비확률적 표집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 등 구체적으로 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 ) 비확률적 표집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 등 구체적으로 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표집대상
2) 표집과정(혹은 절차)
(1) 순차적 사건 표집 형태의 의사결정 과제
(2) 실행기능과제(Flanker Task)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더불어 오반응에 소요된 반응시간도 점수에 각 구획의 정반응을 반응 속도의 합으로 나눈 값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포괄적인 실행기능의 수행을 측정한 점수로 볼 수 있는데, 단순히 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이용한 측정값보다 범위가 넓다.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 과제를 통해 순차적 사건 표집 형태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직관적인 확률적 사고 과정을 탐색하여, 분석 결과 선택 간의 확률 차이가 크게 나타날 경우 시행을 거듭할수록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누적 선택비율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과제의 구획 별 소요시간과 각 시행 별 반응시간 모두 시행을 거듭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된 것은 나이별 반응시간 감소이다. 맹세호(2016). 확률적 사고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3세 아동들도 누적 선택비율이 시행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선택 간의 확률의 차이가 크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아동이 시행을 거듭하며 직관적으로 확률적 사고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만 4세 아동의 경우 구획 2보다 구획 1의 누적 선택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만 4세 아동들도 사건 간의 확률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구획 3이 선택 간의 확률 차이가 더 크지만, 누적 선택비율은 구획 1보다 적게 나타났다. 구획 3의 경우 구획 1의 반대 방향의 상자를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현상은 아동이 나타내는 확률적 사고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구획 1의 경험이 구획 3의 선택을 억제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맹세호(2016). 확률적 사고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만 5세 아동부터 실행기능과의 관련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순차적 의사결정 과제와 실행기능 과제 사이의 상관분석 결과이다. 실행기능의 발달 시기와 일치하며, 실행기능과 관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직관적인 수준 사고이다.
3.결론
아동의 직관적인 확률적 사고는 위의 연구와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포함하여 만 4세에서 만 6세 사이에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Acredolo et al., 1989; Boyer, 2007; Girrotto & Gonzalez, 2008; Schlottmann, 2001). 이 시기는 미취학 혹은 취학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교육 및 학습을 통해서 중재할 수 있는 시기이다. 직관 이동이 가능한 시기로 Fischbein(1987)의 관점에 따라 경험에 후에 형성되는 신념체계인 1차 직관(primary intuitions)에서 교육 및 문화적 경험 이후 재(再)구조화된 신념체계인 2차 직관(secondary intuitions)이다. 맹세호 외1명(2017). 확률적 사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동의 직관적인 확률적 사고에 의한 오류와 편향은 확률개념의 교육과 학습을 통해 보완될 수 있다고 보는데, 실제로 Tatsis, Kafoussi와 Skoumpourdi(2008)의 연구에서 만 5세 아동의 확률적 사고가 1차 직관에서 2차 직관으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맹세호(2016). 확률적 사고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Kahneman과 Tversky(1974)의 연구와 Konold(1995)의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특정한 상황에서 모순되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비합리적인 직관의 경우 확률에 대한 교육적인 개입을 통해서 직관적 사고에 의한 오류나 편향을 극복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이러한 확률에 대한 교육과 학습을 통한 개입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직관적인 확률적 사고의 오류와 편향을 보완할 수 있는데, 연구의 결과에 따라 실행기능이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하는 취학 전기에 이를 발달시킬 수 있는 훈련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로 실행기능 기술은 학습을 통해 향상할 수 있으며, ‘The Tools of the Mind\'라는 커리큘럼을 통해 유치원 아동들의 실행기능 기술이 향상된 것을 Diamond, Barnett, Thomas와 Munro(2007)의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맹세호 외1명(2017). 확률적 사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유아의 확률적 사고는 구성요인에 따라 이해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결론지을 수 있는데 유아도 확률적 사고가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부터 확률적 사고를 도와주는 교육이 제시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또한, 1차원 사건의 표본 공간과 조합부터의 시작이 적합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 확률교육은 유아가 쉽게 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동전 던지기’나 ‘주사위 던지기에서 1이 나올 가능성’과 같은 수학적 상황보다는 ‘내일 간식으로 우유가 나올 가능성’과 같이 알 수 있는 사실은 유아들이 직접 경험하는 사건이 무엇보다 적절하다는 것이다. Tarr(2002)가 제안하였듯 유아의 경험에 기초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한데 맹세호 외1명(2017). 확률적 사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시작은 반드시 일어나는 사건과 불가능한 사건을 구별하는 것에서 점차적 특정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매우 많이 일어날 것 같다. 또는 매우 적게 일어날 것 같다”와 같이 해야 한다.
4. 참고문헌
확률적 표집 [確率的標集, probability sampling]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전집 [全集, population]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맹세호(2016). 확률적 사고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맹세호 외1명(2017). 확률적 사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맹세호(2019). 직관적인 확률적 사고의 발달 :위험감수 선택 상황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가격3,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