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 설명하고 이것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 설명하고 이것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비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Ⅱ-1. 통계학 측면에서의 표본
Ⅱ-2. 표집과 표본의 개념
Ⅱ-3. 확률표집과 비확률표집
Ⅱ-4. 비확률표집 방법이 사용된 사례(유아교육 분야)
Ⅲ.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교사
연령
20 29 세
9
37.5
30 39 세
8
33.3
40 49 세
7
29.2
경력
5 9 년
9
37.5
10 19 년
10
41.7
20 년 이상
5
20.8
성별
여자
24
100.0
합계
24
100.0
연구도구 선정에 있어 첫 번째로 자기조절능력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정란, 양옥승(2003)이 제작한 부모용 유아 자기조절 검사 도구 교사용 평정문항으로 수정하여 사용한 이학선(200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조절능력 척도는 2개의 하위요인 자기점검(자기평가와 자기결정을 묻는 문항)이 14문항, 자기통제(행동억제와 정서성을 묻는 문항)가 17문항이며, 총 31문항으로 이루어 져 있다.
각 문항은 유아의 평소 행동을 관찰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그저 그런 편이다’ 3점, ‘대체로 그렇다’ 4점, ‘항상 그렇다’ 5점으로 체크하도록 구성된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조절능력 척도에서 유아의 기질적 성향인 낯선 상황이나 도전적인 상황에서 보이는 정서성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로 발현되거나 간주되기 때문에 역산하여 채점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조절 능력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대인관계형성능력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NICHD(1996)에 의해 개발된 Social Competence 척도를 김성민(2009)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유아 대인관계형성능력으로 재구성한 교사용 대인관계형성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관계형성하기, 사회적 반응성, 지시 따르기, 긍정적 상호작용의 4개 하위 요인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의 평정방법은 담임교사가 유아의 평소 행동을 관찰한 후 각 문항마다 제시되어있는 내용을 참고로 체크하도록 되어 있고, 내용에 따라 1점에서 4점까지 평정할 수 있는 4점 평정 척도로 전체 점수의 범위는 29 116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대인관계성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로 공감능력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Bryant(1982)가 제작한 척도를 참고로 연진영(1987)이 제작한 것을 최수랑(2002)이 만 5세반 유아에게 교사가 질문하여 대답하는 질문형으로 수정하였고, 이것을 만 5세반 유아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카드를 제작하여 보조도구로 함께 사용한 강민주(2010)의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평정방식으로는 Likert식 3점 척도로 전체 점수의 범위는 18 54점이다. 이 중 심적 부담 영역의 문항과 불안 영역 문항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로 간주하여 역산하여 채점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공감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기반으로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분석한 결과와 대인관계형성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유아 자기조절능력, 유아 공감능력을 선정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측정도구를 구성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고 수락한 23개 기관을 대상으로 12월 2일부터 1월 24일의 기간동안 실시하였으며,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진행해야 할 검사내용 검사의 목적, 검사방법, 검사 시 유의사항, 기록방법 등에 대한 검사자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경향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해 산출하였고, 표본 집단의 측정변인별 일반적 경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첫 번째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 및 공감능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 두 번째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형성능력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회귀분석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검증 실시 후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Ⅲ.결론
비확률적 표집방법이 이용된 문헌을 조사결과 대상 및 환경에 따라 표집방법을 어떻게 선택해야하는지 알게 되었으며, 선택 된 표집방법의 실행을 위해서는 어떠한 절차가 수반되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수행절차는 최대한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기반으로 진행되는 실험과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야만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및 출처

키워드

표집,   표본,   능력,   연구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