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잠재적 교육 과정을 통한 유아 교육의 중요성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잠재적 교육 과정의 개념과 의미
(2) 잠재적 교육 과정에 대한 의견과 고찰
(3) 잠재적 교육 과정의 사례
(4) 유아 교육에 적용하는 구체적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잠재적 교육 과정의 개념과 의미
(2) 잠재적 교육 과정에 대한 의견과 고찰
(3) 잠재적 교육 과정의 사례
(4) 유아 교육에 적용하는 구체적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장하는 유아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개인, 집단에서의 모습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현 유아 교육기관에 소속된 교사가 모든 역할을 수행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정부나 고등교육담당기관에서 유아 교사 양성을 장려하여 부족한 인력을 다양한 곳에서 수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유아 교육을 전공하는 학생에게 실습의 기회를 주어 경험도 쌓고 전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활동을 더욱 추진하고 지원하거나, 유아들을 능숙하게 대할 수 있는 경력자에게 관련 교육을 이수하게 한 후 현장에서 지도하도록 지원해 준다면 일자리 창출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적당한 교직원의 배치는 적재적소, 다양한 환경에서 유아들이 잠재적으로 학습되는 내용들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잠재적 교육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유아 교육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유아 교육기관의 교직원들의 처우 개선과 인성 교육이 시급하다. 지난 몇 년간, 세간을 시끄럽게 했던 유치원 교사 폭행 사건들은 충격 그 자체였다. 유아를 교육하고 지도하고 보살펴줘야 하는 직책을 직업으로 가진 사람이 일으켰다기에 이해가 되지 않은 상황으로 많은 사람들이 교사의 자질을 의심하고 더 나아가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인식을 저하시켰다고 생각한다. 아직 부모의 손을 필요로 하는 유아들을 10명 이상 가르치고 보살피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은 아니다. 유아 교사 충원 및 역할 분담을 확실하게 하고 자질에 맞는 인성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는 데 힘써야 한다.
정리하자면 잠재적 교육 과정을 유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유아교육기관과 가정, 지역사회 사이에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최대한 유아가 겪을 경험들에 대해 인지하고 정규 교육 과정에서 생기는 잠재적인 교육 과정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관련학과 및 종사자 등 인재 및 인력을 양성하여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고등 교육기관에서 이를 추진하고 지원 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3)유아교육에서 오는 잠재적 교육 과정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유아들을 교육하고 보살필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색출할 수 있는 체계를 세움과 동시에 유아교육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 다각적인 방면에서 잠재적 교육 과정을 통한 유아 교육을 이끌어내려면 유아 교육기관을 포함한 공동체의 협조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결론
인간은 성장할수록, 나이가 들어갈수록 대부분의 어린 시절의 기억을 잃어버린다. 망각은 자연스러운 과정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기억은 잃어버렸어도 기억에 대한 느낌과 추억, 그리고 그 기억 속에서 겪은 경험으로 인한 가치관은 한번 뿌리를 내리게 되면 바뀌기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기 때 어떤 환경에서 무엇을 접하고 어떤 생각을 하면서 자라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인간이 살아가는 과정은 식물이 씨앗에서 막 싹을 트며 자라나는 과정과 비슷하다. 비유하자면 유아기는 이제 막 땅에 심어져 싹을 틔우려고 하는 씨앗의 상태와 같다. 아무리 땅이 비옥하고 영양분이 많아도 물이 부족하거나 일조량이 부족하면 튼튼한 싹이 트기 어렵다. 반대로 물이 풍족으나 땅이 비옥하지 않고 일조량이 부족하면 싹이 잘 안 트거나 과도한 수분으로 씨앗이 썩게 될 것이다. 인간의 유아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비옥한 땅처럼 유아가 안정적으로 교육을 받을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적당한 양의 물처럼 유아들을 올바르고 바람직한 교육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참된 교사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식물에게 에너지를 제공하는 태양처럼 유아를 보호하고 책임질 수 있는 건강한 공동체, 이를 테면 가정과 지역사회가 있어야 한다.
레포트를 작성하며 필자의 유아기를 떠올려보았다. 그 당시 조용하고 내성적이었으며 특히 어머니와 떨어지는 것을 극도로 불안해하던 시기였다. 학원에 갈 때는 조용했지만 헤어지는 순간에는 동네가 떠나가라 울음을 터뜨리며 어머니의 팔에 매달렸었다. 그럼에도 막상 학원에 가면 늘 미술 수업을 들었기 때문에 하원하고 오면 스케치북을 품에 꼭 쥐고 그날 그렸던 그림, 종이접기를 한참이나 들여다 본 기억이 난다. 어린 시절의 기억은 정말 소중하다.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것도 있지만 나의 기억은 다른 사람의 기억과 다르기에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나의 기억이 다른 사람과는 다르기 때문에,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같은 교육 과정을 들어도 같은 길이 아닌 여러 길로 갈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긍정적인 부분이 있는 만큼 부정적인 부분도 배제할 수는 없다. 앞으로의 교육에 있어 잠재적인 교육 과정을 고려하게 된다면 이후의 교육 과정에서 부작용을 겪지 않기 위해 유아기 시절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채형, 잭슨의 잠재적 교육 과정과 그 이후, 한국도덕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 제31권 2호, 2019
배지현, 잠재적 교육 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잠재적 교육 과정 이론에 대한 평가, 교육과정연구 제 31권 1호, 2013
김재춘, 잠재적 교육 과정의 재개념화 필요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제20권 4호, 200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아교육;幼兒敎育),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16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교육과정;敎育課程),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530
P.Jackson(역:차경수), 아동의 교실생활(Life in Classrooms), 배영사, 2019
E.Eisner(역:이혜영), 교육적 상상력(The Educational Imagination),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E.Reimer(역:김성원), 학교는 죽었다(School Is Dead), 한마당출판사, 2016
I.Illich(역:심성보), 학교 없는 사회(Deschooling Society), 미토, 2004
신태식;교총 교육학특강 전임교수, [교육학] 영 교육 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상징적 상호작용론, <한국교육신문>, 2021.04.23,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78446
정리하자면 잠재적 교육 과정을 유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유아교육기관과 가정, 지역사회 사이에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최대한 유아가 겪을 경험들에 대해 인지하고 정규 교육 과정에서 생기는 잠재적인 교육 과정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관련학과 및 종사자 등 인재 및 인력을 양성하여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고등 교육기관에서 이를 추진하고 지원 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3)유아교육에서 오는 잠재적 교육 과정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유아들을 교육하고 보살필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색출할 수 있는 체계를 세움과 동시에 유아교육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 다각적인 방면에서 잠재적 교육 과정을 통한 유아 교육을 이끌어내려면 유아 교육기관을 포함한 공동체의 협조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결론
인간은 성장할수록, 나이가 들어갈수록 대부분의 어린 시절의 기억을 잃어버린다. 망각은 자연스러운 과정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기억은 잃어버렸어도 기억에 대한 느낌과 추억, 그리고 그 기억 속에서 겪은 경험으로 인한 가치관은 한번 뿌리를 내리게 되면 바뀌기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기 때 어떤 환경에서 무엇을 접하고 어떤 생각을 하면서 자라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인간이 살아가는 과정은 식물이 씨앗에서 막 싹을 트며 자라나는 과정과 비슷하다. 비유하자면 유아기는 이제 막 땅에 심어져 싹을 틔우려고 하는 씨앗의 상태와 같다. 아무리 땅이 비옥하고 영양분이 많아도 물이 부족하거나 일조량이 부족하면 튼튼한 싹이 트기 어렵다. 반대로 물이 풍족으나 땅이 비옥하지 않고 일조량이 부족하면 싹이 잘 안 트거나 과도한 수분으로 씨앗이 썩게 될 것이다. 인간의 유아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비옥한 땅처럼 유아가 안정적으로 교육을 받을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고 적당한 양의 물처럼 유아들을 올바르고 바람직한 교육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참된 교사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식물에게 에너지를 제공하는 태양처럼 유아를 보호하고 책임질 수 있는 건강한 공동체, 이를 테면 가정과 지역사회가 있어야 한다.
레포트를 작성하며 필자의 유아기를 떠올려보았다. 그 당시 조용하고 내성적이었으며 특히 어머니와 떨어지는 것을 극도로 불안해하던 시기였다. 학원에 갈 때는 조용했지만 헤어지는 순간에는 동네가 떠나가라 울음을 터뜨리며 어머니의 팔에 매달렸었다. 그럼에도 막상 학원에 가면 늘 미술 수업을 들었기 때문에 하원하고 오면 스케치북을 품에 꼭 쥐고 그날 그렸던 그림, 종이접기를 한참이나 들여다 본 기억이 난다. 어린 시절의 기억은 정말 소중하다.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것도 있지만 나의 기억은 다른 사람의 기억과 다르기에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나의 기억이 다른 사람과는 다르기 때문에,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같은 교육 과정을 들어도 같은 길이 아닌 여러 길로 갈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긍정적인 부분이 있는 만큼 부정적인 부분도 배제할 수는 없다. 앞으로의 교육에 있어 잠재적인 교육 과정을 고려하게 된다면 이후의 교육 과정에서 부작용을 겪지 않기 위해 유아기 시절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채형, 잭슨의 잠재적 교육 과정과 그 이후, 한국도덕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 제31권 2호, 2019
배지현, 잠재적 교육 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잠재적 교육 과정 이론에 대한 평가, 교육과정연구 제 31권 1호, 2013
김재춘, 잠재적 교육 과정의 재개념화 필요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제20권 4호, 200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아교육;幼兒敎育),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163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교육과정;敎育課程),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5530
P.Jackson(역:차경수), 아동의 교실생활(Life in Classrooms), 배영사, 2019
E.Eisner(역:이혜영), 교육적 상상력(The Educational Imagination),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E.Reimer(역:김성원), 학교는 죽었다(School Is Dead), 한마당출판사, 2016
I.Illich(역:심성보), 학교 없는 사회(Deschooling Society), 미토, 2004
신태식;교총 교육학특강 전임교수, [교육학] 영 교육 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상징적 상호작용론, <한국교육신문>, 2021.04.23,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78446
추천자료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이론을 설명하고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
[2021 교육과정4A]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
[2021 교육과정][4학년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
[교육과정 4학년 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
2021년 1학기 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A형(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교육과정, 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
교육과정A형 2021 교육과정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
[교육과정 A형 202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