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교육과정의 개념
2-2. 잠재적 교육과정
2-3. 표면적 교육과정
2-4. 영 교육과정
2-5. 유아교육에 적용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2-1. 교육과정의 개념
2-2. 잠재적 교육과정
2-3. 표면적 교육과정
2-4. 영 교육과정
2-5. 유아교육에 적용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초등학교에 들어간 1~2년 후에 잠재되어 있던 재능을 뽐내기도 한다. 즉, 10명의 유아가 있으면, 10명의 유아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과 능력, 발달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유아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개성과 장점을 발견할 수 있는 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해서 유아의 자신감과 성취감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교사가 적절하게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3). 협동
세 번째로 유아가 학습하는 교실의 분위기를 협동적인 상황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 대한 조기교육, 경쟁적 교육 문화는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올 수 있다. 유아들로 하여금 어린 시절부터 불안감, 긴장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육기관에서 얻을 수 있는 생활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쟁을 하게 되면, 경쟁에서 이기는 아이와 지는 아이로 나누어지기 마련이다. 여기에서 지는 아이들은 실패로 인한 좌절감과 무력감을 내면화 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친구들을 서로 공존하고 나누는 존재가 아닌 경쟁에서 승리해야 하는 상대로 인식하게 되면서 갈등이 생기게 되고, 이기적인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이와 같은 경쟁을 위한 여러 가지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 보다는 서로 같이 협동하는 생활을 통해서 유아가 서로 간의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 이해하며, 돕고, 격려할 수 있는 공종의 성취를 이룰 수 있게 한다면 유아들의 자아개념, 사회성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바람을 불러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유아들은 유아교육 기관의 잠재력 교육과정을 통해서 친구들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자연스럽게 터득하는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전인교육의 장으로 발전할 것이다.
(4). 민주적인 문화
교사는 자신이 가지는 도덕적인 인간상의 특징과 중요성에 대해서 잘 알고 스스로 실천하여 유아들에게 보여줌으로 유아들이 따라할 수 있도록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간상에 대해서 닮아갈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한다. 개인이 가지는 이기적인 본능을 스스로가 통제하는 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에게 이와 같은 교사의 권위는 개인이 가지는 이기적인 본능을 통제하는 기제가 된다. 또한 교사는 개방적인 학급 분위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유아 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 스스로의 선택과 자유에 초점을 두고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장려해야 하고, 이와 같은 활동은 유아들이 자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자유로운 분위기는 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선사하고 경쟁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서로의 다양성에 대해서 인정할 수 있도록 한다.
3. 결론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학교의 물리적인 조건, 제도 및 행정적인 조직, 사회와 심리적인 상황 등을 통해서 학교에서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학생들에게 은연중에 배우고 잠재되는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의 생태와 학교 안의 인적인 요소들(아동, 교사, 교직원, 학부모와의 관계 등), 사회적인 환경 등이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높은 학구열로 인해서 학력주의 사회로 변하였다. 아이들의 조기교육을 위해서 학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부터 다양한 조기교육을 염두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와 성적이 강조되고 있으며 아이들도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또한 교사들도 아이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상대평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아이들은 더 강한 경쟁심, 투쟁심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경쟁에서 실패하거나 패배한 아이들의 경우 낮은 자아개념을 가지고 패배에서 오는 좌절감, 무력감을 어릴 때부터 배우게 된다.
따라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이념을 통하여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바로 교사라는 직업은 학교의 구조 및 특징, 학교가 지니는 전반적인 문화적 풍토와 분위기, 학생들 사이에서 있는 하위문화집단의 종류, 특징 등에 대해서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며 관심을 두고 있지 않는 사소한 일들이 아이들에게는 삶의 큰 변화를 줄 수 있을 만큼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기관에서 주어진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수준 및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만 관심을 두지 말고 아이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자세하게 관찰하고 스스로를 반성하면서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잠재적 교육과정\'과 교육이론 : A Philosophical Analysis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의 철학적 분석 = Latent Curriculum\'and the Theory of Education, 1997, 김정래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be578ffd344e8c8
유아교육과정, 2015, 박찬옥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218764ce238340dffe0bdc3ef48d419
교육과정, 2012, 홍순정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85f061d9539a6756ffe0bdc3ef48d419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 2002, 홍지연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a3d1e47c22d5980f
누리과정의 수행도 분석 및 영 교육과정 연구, 2015, 강성현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44360695769789affe0bdc3ef48d419
(3). 협동
세 번째로 유아가 학습하는 교실의 분위기를 협동적인 상황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 대한 조기교육, 경쟁적 교육 문화는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올 수 있다. 유아들로 하여금 어린 시절부터 불안감, 긴장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육기관에서 얻을 수 있는 생활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쟁을 하게 되면, 경쟁에서 이기는 아이와 지는 아이로 나누어지기 마련이다. 여기에서 지는 아이들은 실패로 인한 좌절감과 무력감을 내면화 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친구들을 서로 공존하고 나누는 존재가 아닌 경쟁에서 승리해야 하는 상대로 인식하게 되면서 갈등이 생기게 되고, 이기적인 태도를 지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이와 같은 경쟁을 위한 여러 가지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 보다는 서로 같이 협동하는 생활을 통해서 유아가 서로 간의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 이해하며, 돕고, 격려할 수 있는 공종의 성취를 이룰 수 있게 한다면 유아들의 자아개념, 사회성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바람을 불러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유아들은 유아교육 기관의 잠재력 교육과정을 통해서 친구들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자연스럽게 터득하는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전인교육의 장으로 발전할 것이다.
(4). 민주적인 문화
교사는 자신이 가지는 도덕적인 인간상의 특징과 중요성에 대해서 잘 알고 스스로 실천하여 유아들에게 보여줌으로 유아들이 따라할 수 있도록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간상에 대해서 닮아갈 수 있도록 제시해야 한다. 개인이 가지는 이기적인 본능을 스스로가 통제하는 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에게 이와 같은 교사의 권위는 개인이 가지는 이기적인 본능을 통제하는 기제가 된다. 또한 교사는 개방적인 학급 분위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유아 교육기관에서는 유아들 스스로의 선택과 자유에 초점을 두고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장려해야 하고, 이와 같은 활동은 유아들이 자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자유로운 분위기는 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선사하고 경쟁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서로의 다양성에 대해서 인정할 수 있도록 한다.
3. 결론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학교의 물리적인 조건, 제도 및 행정적인 조직, 사회와 심리적인 상황 등을 통해서 학교에서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학생들에게 은연중에 배우고 잠재되는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의 생태와 학교 안의 인적인 요소들(아동, 교사, 교직원, 학부모와의 관계 등), 사회적인 환경 등이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높은 학구열로 인해서 학력주의 사회로 변하였다. 아이들의 조기교육을 위해서 학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부터 다양한 조기교육을 염두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와 성적이 강조되고 있으며 아이들도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또한 교사들도 아이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상대평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아이들은 더 강한 경쟁심, 투쟁심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경쟁에서 실패하거나 패배한 아이들의 경우 낮은 자아개념을 가지고 패배에서 오는 좌절감, 무력감을 어릴 때부터 배우게 된다.
따라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이념을 통하여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바로 교사라는 직업은 학교의 구조 및 특징, 학교가 지니는 전반적인 문화적 풍토와 분위기, 학생들 사이에서 있는 하위문화집단의 종류, 특징 등에 대해서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며 관심을 두고 있지 않는 사소한 일들이 아이들에게는 삶의 큰 변화를 줄 수 있을 만큼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교육기관에서 주어진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수준 및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만 관심을 두지 말고 아이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서 잠재적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을 자세하게 관찰하고 스스로를 반성하면서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잠재적 교육과정\'과 교육이론 : A Philosophical Analysis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의 철학적 분석 = Latent Curriculum\'and the Theory of Education, 1997, 김정래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be578ffd344e8c8
유아교육과정, 2015, 박찬옥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218764ce238340dffe0bdc3ef48d419
교육과정, 2012, 홍순정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85f061d9539a6756ffe0bdc3ef48d419
영유아 교육 프로그램, 2002, 홍지연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a3d1e47c22d5980f
누리과정의 수행도 분석 및 영 교육과정 연구, 2015, 강성현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44360695769789affe0bdc3ef48d419
추천자료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이론을 설명하고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
[2021 교육과정4A]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
[2021 교육과정][4학년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
[교육과정 4학년 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
2021년 1학기 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A형(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교육과정, 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
교육과정A형 2021 교육과정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
[교육과정 A형 202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