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경화 정의
2. 간경화 발생원인
3. 간경화 주요증상
4. 간경화 병태생리
5. 간경화 합병증
6. 간경화 예방
7. 간경화 치료
(1) 치료원칙
(2) 치료법
8. 간경화 간호 시나리오
(1) 문제발생
(2) 시나리오
(3) 근거자료
(4) 원인추론
(5) 문제해결
(6) 더 학습할 내용
9. 간호진단
2. 간경화 발생원인
3. 간경화 주요증상
4. 간경화 병태생리
5. 간경화 합병증
6. 간경화 예방
7. 간경화 치료
(1) 치료원칙
(2) 치료법
8. 간경화 간호 시나리오
(1) 문제발생
(2) 시나리오
(3) 근거자료
(4) 원인추론
(5) 문제해결
(6) 더 학습할 내용
9. 간호진단
본문내용
대 혈구 세포 파괴를 증가시켜 빈혈,백혈구 감소증을 유발,출혈 위험을 증가
위장출혈 토혈
복수 문맥계통 정맥 혈압 상승으로 인해 복부 내로 혈청을 누출시켜 생김, 거동 불편
복막염 복수에 의한 세균 감염
부종 알부민 감소로 인해 발목이나 발에 부종이 자주 생김
간성 뇌증, 신장 기능 저하, 간암
6. 간경화 예방
짜거나, 맵거나,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들은 제한해야 한다. 또 불규칙한 과식도 피해야 한다. 영양장애가 대부분 동반되기 때문에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비타민, 아미노산 제제 등 영양보충을 해야 한다. 변비가 있을 경우, 섬유소 제제 혹은 락툴로즈를 투여한다. 과격한 운동, 등산, 힘든 일 등을 제한해야만 한다. 특히, 식도정맥류 출혈이 빈번한 환자에서는 환절기 온도변화, 과로 혹은 생활피로 등에 유의해야 한다. 또 충분한 수면과 안정을 필요로 하며, 질병에 대해서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고, 지나친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
7. 간경화 치료
(1) 치료원칙
- 약물치료, 식이관리, 합병증 관리로 증상 조절,
- 적절한 휴식을 통한 간의 대사 요구 감소
- 간세포의 재생 증진시켜 회복 도움
- 간경변증 원인 파악, 독성물질 노출 피하고 금주
- 감염예방: 감염으로 인한 질병 악화 방지
(2) 치료법
- 알코올중독증, 담관폐색, 감염 같은 원인요인을 제거하며 더 이상의 간 손사을 예방한다.
- 단백질(혈액내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인 경우) 과 칼로리가 풍부한 균형있는 영양식이를 하게 한다.
- 소양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항히스타민 제제, 저칼륨혈증을 위해 칼륨제제, 이뇨제를 투여한다.
- 알코올 중독 대상자들은 수용성 비타민이 소모되나 영양섭취가 부족하여 이를 보충시키지 못한다. 특히 비타민 B1과 엽산이 부족하므로 투여하도록 한다.
- 나트륨과 수분을 제한한다.
8. 간경화 간호 시나리오
(1) 문제발생
호흡곤란
(2) 시나리오
- 창백한 얼굴로
- 숨쉬기도 힘들어하는 상황
(3) 근거자료
- 매일 담배 3갑 피움.
- 복수가 차고 숨이 차서 본원 응급실 내원함.
- 호흡시 입을 벌리고 보조근육을 사용,늑간부위 함몰,
- 호흡수 30회
(4) 원인추론
- 간기능저하로 인한 복수때문일 것이다.
- 부적절한 체위로 숨쉬기가 곤란했을 것이다.
- Hb 수치가 낮아서 일 것이다.
- 흡연으로 인한 폐기능의 저하 때문일 것이다.
- 간 독성으로 인해서 일 것이다.
(5) 문제해결
- V/S시 호흡수, 양상, 깊이, 보조근육 사용 여부를 관찰한다.
- 필요시 보조적 기계를 사용한다.(Pulse oximetry)
-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 semi folwer position을 취해준다.
- 복수천자를 시행해준다.
(6) 더 학습할 내용
호흡 곤란에 따른 중재 방안 공부
9. 간호진단
(1) 통증
- 간비대나 비장비대에서 나타난다.
- 간경화 말기나 만성 간염시에는 증등도 통증을 나타낸다.
- 간암 환자는 통증이 아주 심하고 경감시키기도 어렵다.
- 담낭염이나 담석증일 때는 RUQ의 심한 colic pain을 호소한다. - murphy sign
(담낭염이나 담석증일 때는 mepheridine hydrochloride(Demerol)을 사용한다.morphine은 Oddi괄약근의 경련을 유발해 통증을 증가시킨다고 하여 사용하지 않음)
- 췌장염일 때에도 상복부의 severe pain을 호소하며, 압통, 요통이 나타난다.
(2) 피부손상 위험성
- 특히, icterus가 나타났을 때 bile salt가 피부에 침착되면서 심한 소양증을 나타난다.
대상자는 피부를 긁어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edema가 나타났을 때 피부손상위 위험성이 크므로 1~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준다.
- 12~24시간만 지나도 피부손상이 발생한다.
(혈청 알부민 수치의 감소, 혈청 ADH, Aldosterone의 증가 등과 관련된다.)
특히, 근육 수축으로도 암모니아가 생성되기 대문에 휴식을 제공하게 되는데이 때문에 더더욱 edema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이 커진다.
(3) 사고과정 장애
- 암모니아를 요소로 변경되지 않아 암모니아로 인한 간성뇌증이 나타나게 된다.
심하면 간성혼수로 혼돈이나 혼수상태에 빠지게 되어 의식수준의 변화가 온다.
- 특히 출혈이 있게 되면 장내 혈액과 세균의 작용으로 암모니아 수준이 더 높아진다.
(liver cirrhosis에서의 esophageal varix의 출혈 등)
- 약간의 혼돈과 지남력 상실, 손의 진전(asterixis) 등
(4) 영양부족
- 간기능장애로 3대영양소의 대사능력이 저하된다.
- 또한 ascites로 인한 복압상승은 식욕부진과 오심 등을 초래한다.
- 담낭질환이나 췌장질환에서는 지방의 소화가 되지 않아vit. A, D, E, K의 흡수부전이 오게 된다.
(5) 가스교환 장애
- ascites로 인해 효육적인 호흡을 방해한다.
- 간의 vit.B12의 저장능력이 저하되고, 알콜성 간질환일 때는 erythropoietin이 감소하기때문에 혈중의 RBC가 저하되고 Hg수치도 떨어진다.
(6) 체액과다 or 부족
- 간기능 저하로 인한 hypoalbunemia로 인해 혈관내 탈수가 있을 수 있다.
- 식도정맥류의 출혈이나, 부종의 경감을 위한 이뇨제의 투여로 인할 수 있다.
- 간기능 저하로 ADH나 Aldosterone등이 해독되지 못하면서 체액이 정체될 수 있다.
(고Aldosterone혈증으로 인해 na이 정체되고 k과 H+은 빠져나간다.
그로인해 저칼륨혈증과 알칼리증이 발생하는데 이들은 간성뇌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알칼리증에서 NH4가 NH3로 전환되면서 암모니아의 수치가 올라간다.)
(7) 조직관류의 장애
- 적혈구 감소증은 빈혈을 초래하게 되고 빈혈로 인해 심장의 보상작용 증가로 심박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혈압을 증가시킨다.
(8) 성기능 장애와 자긍심 저하
- 간기능 저하로 성호르몬이 적절하게 해독되지 못해남성에게는 여성화 증상, 여성에게는 남성화 증상이 나타난다.
- 이로 인해 남성의 여성유방형, 체모가 빠지거나 발기불능, 고환의 위축,
성욕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장출혈 토혈
복수 문맥계통 정맥 혈압 상승으로 인해 복부 내로 혈청을 누출시켜 생김, 거동 불편
복막염 복수에 의한 세균 감염
부종 알부민 감소로 인해 발목이나 발에 부종이 자주 생김
간성 뇌증, 신장 기능 저하, 간암
6. 간경화 예방
짜거나, 맵거나,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들은 제한해야 한다. 또 불규칙한 과식도 피해야 한다. 영양장애가 대부분 동반되기 때문에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비타민, 아미노산 제제 등 영양보충을 해야 한다. 변비가 있을 경우, 섬유소 제제 혹은 락툴로즈를 투여한다. 과격한 운동, 등산, 힘든 일 등을 제한해야만 한다. 특히, 식도정맥류 출혈이 빈번한 환자에서는 환절기 온도변화, 과로 혹은 생활피로 등에 유의해야 한다. 또 충분한 수면과 안정을 필요로 하며, 질병에 대해서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고, 지나친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
7. 간경화 치료
(1) 치료원칙
- 약물치료, 식이관리, 합병증 관리로 증상 조절,
- 적절한 휴식을 통한 간의 대사 요구 감소
- 간세포의 재생 증진시켜 회복 도움
- 간경변증 원인 파악, 독성물질 노출 피하고 금주
- 감염예방: 감염으로 인한 질병 악화 방지
(2) 치료법
- 알코올중독증, 담관폐색, 감염 같은 원인요인을 제거하며 더 이상의 간 손사을 예방한다.
- 단백질(혈액내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인 경우) 과 칼로리가 풍부한 균형있는 영양식이를 하게 한다.
- 소양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항히스타민 제제, 저칼륨혈증을 위해 칼륨제제, 이뇨제를 투여한다.
- 알코올 중독 대상자들은 수용성 비타민이 소모되나 영양섭취가 부족하여 이를 보충시키지 못한다. 특히 비타민 B1과 엽산이 부족하므로 투여하도록 한다.
- 나트륨과 수분을 제한한다.
8. 간경화 간호 시나리오
(1) 문제발생
호흡곤란
(2) 시나리오
- 창백한 얼굴로
- 숨쉬기도 힘들어하는 상황
(3) 근거자료
- 매일 담배 3갑 피움.
- 복수가 차고 숨이 차서 본원 응급실 내원함.
- 호흡시 입을 벌리고 보조근육을 사용,늑간부위 함몰,
- 호흡수 30회
(4) 원인추론
- 간기능저하로 인한 복수때문일 것이다.
- 부적절한 체위로 숨쉬기가 곤란했을 것이다.
- Hb 수치가 낮아서 일 것이다.
- 흡연으로 인한 폐기능의 저하 때문일 것이다.
- 간 독성으로 인해서 일 것이다.
(5) 문제해결
- V/S시 호흡수, 양상, 깊이, 보조근육 사용 여부를 관찰한다.
- 필요시 보조적 기계를 사용한다.(Pulse oximetry)
-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 semi folwer position을 취해준다.
- 복수천자를 시행해준다.
(6) 더 학습할 내용
호흡 곤란에 따른 중재 방안 공부
9. 간호진단
(1) 통증
- 간비대나 비장비대에서 나타난다.
- 간경화 말기나 만성 간염시에는 증등도 통증을 나타낸다.
- 간암 환자는 통증이 아주 심하고 경감시키기도 어렵다.
- 담낭염이나 담석증일 때는 RUQ의 심한 colic pain을 호소한다. - murphy sign
(담낭염이나 담석증일 때는 mepheridine hydrochloride(Demerol)을 사용한다.morphine은 Oddi괄약근의 경련을 유발해 통증을 증가시킨다고 하여 사용하지 않음)
- 췌장염일 때에도 상복부의 severe pain을 호소하며, 압통, 요통이 나타난다.
(2) 피부손상 위험성
- 특히, icterus가 나타났을 때 bile salt가 피부에 침착되면서 심한 소양증을 나타난다.
대상자는 피부를 긁어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edema가 나타났을 때 피부손상위 위험성이 크므로 1~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해준다.
- 12~24시간만 지나도 피부손상이 발생한다.
(혈청 알부민 수치의 감소, 혈청 ADH, Aldosterone의 증가 등과 관련된다.)
특히, 근육 수축으로도 암모니아가 생성되기 대문에 휴식을 제공하게 되는데이 때문에 더더욱 edema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이 커진다.
(3) 사고과정 장애
- 암모니아를 요소로 변경되지 않아 암모니아로 인한 간성뇌증이 나타나게 된다.
심하면 간성혼수로 혼돈이나 혼수상태에 빠지게 되어 의식수준의 변화가 온다.
- 특히 출혈이 있게 되면 장내 혈액과 세균의 작용으로 암모니아 수준이 더 높아진다.
(liver cirrhosis에서의 esophageal varix의 출혈 등)
- 약간의 혼돈과 지남력 상실, 손의 진전(asterixis) 등
(4) 영양부족
- 간기능장애로 3대영양소의 대사능력이 저하된다.
- 또한 ascites로 인한 복압상승은 식욕부진과 오심 등을 초래한다.
- 담낭질환이나 췌장질환에서는 지방의 소화가 되지 않아vit. A, D, E, K의 흡수부전이 오게 된다.
(5) 가스교환 장애
- ascites로 인해 효육적인 호흡을 방해한다.
- 간의 vit.B12의 저장능력이 저하되고, 알콜성 간질환일 때는 erythropoietin이 감소하기때문에 혈중의 RBC가 저하되고 Hg수치도 떨어진다.
(6) 체액과다 or 부족
- 간기능 저하로 인한 hypoalbunemia로 인해 혈관내 탈수가 있을 수 있다.
- 식도정맥류의 출혈이나, 부종의 경감을 위한 이뇨제의 투여로 인할 수 있다.
- 간기능 저하로 ADH나 Aldosterone등이 해독되지 못하면서 체액이 정체될 수 있다.
(고Aldosterone혈증으로 인해 na이 정체되고 k과 H+은 빠져나간다.
그로인해 저칼륨혈증과 알칼리증이 발생하는데 이들은 간성뇌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알칼리증에서 NH4가 NH3로 전환되면서 암모니아의 수치가 올라간다.)
(7) 조직관류의 장애
- 적혈구 감소증은 빈혈을 초래하게 되고 빈혈로 인해 심장의 보상작용 증가로 심박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혈압을 증가시킨다.
(8) 성기능 장애와 자긍심 저하
- 간기능 저하로 성호르몬이 적절하게 해독되지 못해남성에게는 여성화 증상, 여성에게는 남성화 증상이 나타난다.
- 이로 인해 남성의 여성유방형, 체모가 빠지거나 발기불능, 고환의 위축,
성욕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추천자료
소화기계 건강문제와 대상자 간호
중환자실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case study
[간경화증]간경화증(Liver Cirrhosis) 심층 고찰(간경화의 정의, 간경화의 형태 및 원인, 간...
간경화(간경변, 간경변증)의 분류와 병태생리, 간경화(간경변, 간경변증)의 현미경학적 변화,...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정의와 종류, 간경변(간경변증, 간경화)의 원인과 증상, 간경변(...
간경변증(간경화, 간경변) 정의와 병태생리, 간경변증(간경화, 간경변) 증상과 징후, 간경변...
간경화 사례연구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개념, 간경변(간경화, 간경변증)의 원인과 종류, 간경변(간경화,...
간경화 간호과정 케이스연구 및 간경화 병태생리 원인 합병증 연구와 간경화 치료법 분석 및 ...
간경변 간호과정 케이스 연구 및 간경변 증상,병태생리 및 간경변 간호와 치료법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