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맹자와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 인간관의 차이점은 사회제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 양주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맹자는 그 당시 사람들의 절반이 양주 사상을 좋아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덧붙여 양주 사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보라.
목차
1. 맹자와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 인간관의 차이점은 사회제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2. 양주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맹자는 그 당시 사람들의 절반이 양주 사상을 좋아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덧붙여 양주 사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보라.
3. 출처 및 참고문헌
- 양주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맹자는 그 당시 사람들의 절반이 양주 사상을 좋아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덧붙여 양주 사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보라.
목차
1. 맹자와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가? 인간관의 차이점은 사회제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2. 양주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맹자는 그 당시 사람들의 절반이 양주 사상을 좋아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덧붙여 양주 사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보라.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정부분 닮아 있다. 현실에 당면한 어려움들에 대해 극복하기 어려운 측면에 대해 체념적이 수용이 이루어지는 한 가지 현상이 욜로로서 소위 욜로족은 현실에서 당장 자신이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을 통해 삶의 행복을 찾고자 하는 경향이다. 이러한 측면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자신의 즐거움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한때 각광받았다. 양주 사상이 인기를 끌었던 것 역시 어려운 시대상을 반영한 반작용과 같은 현상이다. 미래의 거대한 이상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현실에서 소소한 자유를 만끽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방어기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서 염세적인 논조가 해결된 기미가 보이지 않는 현실에 대한 비판과 배설의 욕구를 충족시켜준 부분도 무시할 수 없다고 본다.
양주 사상은 인기를 끈 것이 분명하지만 그 시기가 오래가지 못하고 곧 맹자의 이타적이고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노력에 자리를 빼앗겼다. 그것은 아마도 사회적 인간으로서 개인주의를 통해서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자성은 필요하지만 결국은 공동체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양주사상의 내용과 흥망은 이러한 인간 사회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맹자사상의 사회복지적 함의, 김영민, 한국철학논집 제57집, 2018
맹자와 순자 왕패론의 상대적 논리와 상보적 논리, 엄연석,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6집, 2014
양주의 대안 : 양주학파사상의 종합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태동고전연구 Vol.9, 한경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3
양주 사상은 인기를 끈 것이 분명하지만 그 시기가 오래가지 못하고 곧 맹자의 이타적이고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노력에 자리를 빼앗겼다. 그것은 아마도 사회적 인간으로서 개인주의를 통해서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자성은 필요하지만 결국은 공동체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양주사상의 내용과 흥망은 이러한 인간 사회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맹자사상의 사회복지적 함의, 김영민, 한국철학논집 제57집, 2018
맹자와 순자 왕패론의 상대적 논리와 상보적 논리, 엄연석,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6집, 2014
양주의 대안 : 양주학파사상의 종합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태동고전연구 Vol.9, 한경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