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철학에 나타난 인간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인 의미 -성악설과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 대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가철학에 나타난 인간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인 의미 -성악설과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 대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가철학에 나타난 인간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인 의미

-성악설과 성선설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 대안



1. 인간의 본성은 어떠한가?

2. 성선설의 논리 구조와 의미
◆ 맹자 성선설의 논리 구조
(1) 성선설의 배경
(2) 성선설의 논리구조

3. 성악설의 논리구조와 의미
◆ 순자 성악설의 논리구조
(1) 성악설의 배경
(2) 성악설의 논리구조

4. 유가 본성론의 현실적 의미
◆ 맹자의 성선설 사회정의 실현 방안
◆ 순자의 성악설 사회정의 실현 방안
★ 세 가지 인간 본성론의 비교

〔토론 거리〕

◆ 참고자료

본문내용

하였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따를 때 다툼과 도적질과 음란함이 발생하여 사양함과 충성스러움과 예의 제도 등이 사라지므로 인해 사회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으로 이해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스러운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 반드시 성인의 가르침과 예의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인간의 본성을 도덕 이성이 배제된 자연적인 것으로 봄과 아울러 인간의 질 높은 문화생활을 위해 본성의 야만성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인 것이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극복하지 않을 경우 사회 질서가 더욱 파괴될 것으로 생각했다.
성악설은 인간의 본성을 좇을 경우 드러나는 각종 문제에 대해 본성을 변화시켜서 예의와 질서가 실현되는 사회를 이루고자 했는데, 이것은 성선설과 같이 심리적인 도덕성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제도와 같은 실제적인 방법을 동원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가치 상대주의로 인해 드러나는 양시론이나 양비론 혹은 냉소적 태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본성론에 기초하여 순자는 맹자의 성선설이 비현실적임을 지적하였다. 그는 강력한 제도의 뒷받침이 배제된 상태에서 도덕성에만 호소하는 맹자의 성선설을 따를 경우, 사회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많은 범죄를 실제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는 인위적인 노력을 통한 제도 개선을 중시하는 본성론을 기초로 하여 당시 사회에 팽배한 모순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순자는 선한 사회가 인간의 노력 없이 하늘로부터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사회 문제를 철저히 자각한 후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노력을 가할 때 비로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러한 건강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성을 변화시킬 것을 주문했던 것이다. 예를 안정적으로 작동케 하기 위해서 제도와 법 이외에 교육의 역할을 강조한다. 도량과 분계가 안정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교육에 의하여 보완되어야 한다. 이것이 순자의 주장이다.
★ 세 가지 인간 본성론의 비교
차이점
공통점
인간 본성
악행의 이유
성행을 위한 노력
성선설
인간은 생득적으로 순성한 성품임
정욕이나 황경 때문(외부환경)
선한 본성의 확충, 양육을 위한 노력
도덕적 인간의 형성과 이상 사회의 구현
성악설
인간의 본성이나 욕구가 원래 약함
충동, 공격성, 이기주의, 자기중심주의 때문(본성)
악한 본성의 억제, 변화를 위한 예의와 교화
성무선악설
선악은 인간의 고유한 성품이 아님
자신의 선택과 판단, 의지, 환경 때문(내부, 외부)
선한 환경의 조성과 선한 의지의 후천적 고양
〔토론 거리〕
1. 작년 우리 사회의 핫 이슈가 되었던 신정아 사건은 분명 신정아 본인의 잘못도 있지만 학력과 학벌을 중시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을 위조하게까지 만든 사회 구조도 분명 잘못이 있다. 이와 연관 지어 볼 때 인간이 선하고, 악함은 본래 타고난 본성에 의한 것일까, 사회가 한 인간을 선한 길로, 또는 악한 길로 인도하는 것은 아닐까?
2. 양심적 병역거부제도 도입여부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맹자의 성선설적인 입장으로 본다면 종교 등의 이유로 군대를 갈 수 없는 이들에게만 대체 복무제가 실시되는 효율적인 제도이지만, 순자의 성악설적 입장에서 본다면 얼마든지 속이고 군대를 가지 않을 수 있게 하는 비합리적인 제도가 될 수 있다. 과연 이 제도는 올바른 취지로 실행될 수 있는 것인가? 아니면 비양심적인 이들의 입장을 합리화시켜주는 제도가 되어버릴 것인가?
3. 보성 어부 연쇄살인사건; 보성 앞바다에서 20대 남녀 4명을 자신의 배에서 연쇄 살해한 어부 오 모 노인(71)에게 1심 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됐다. 재판부는 ‘반성의 기미가 없고,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하는 등 재범의 우려가 높아 영원히 사회로부터 격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어 오 씨에게 유영철, 정남규 등 희대의 연쇄살인마에게나 내려지던 사형을 언도했다. 오 씨는 2남 5녀의 아버지였고 50여년 물고기를 잡으면서 한차례의 폭행 외에는 별다른 전과도 없는 그야말로 평범한 어부로 살아왔다. 인생을 정리하면서 다복하게 보내야할 70세의 나이에 왜 그는 흉측한 연쇄살인범이 됐을까? 하지만 범행동기를 묻는 경찰에게 그는 “처녀니까 만져보고 싶어서 그랬다”고 태연히 말해 주위를 놀라게 했다. 유영철, 정남규 등의 잔인한 연쇄살인범들은 보통 싸이코패스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이들은 뇌 기능상의 특이점으로 희생자에 대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한 번의 살인으로 끝나지 않고 연쇄살인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다. 오 씨의 경우 첫 번째 살인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똑같은 방법으로 두 명을 연쇄적으로 살해했고 물에 빠져 허우적대는 피해자들을 막대기로 찔러가며 익사시키는 잔인한 범죄를 저질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체포되기 전까지 태연하게 일상생활을 하는 이중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싸이코패스의 특징을 일부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러한 싸이코패스나 잔인한 살인을 저지른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악한 것인가, 주위환경에 의해 악하게 된 것인가?
◆ 참고자료
유가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동양철학연구회 동양철학연구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현대적 조명-대한철학회 철학연구 제79집
공자&맹자 유학의 변신은 무죄 / 김영사 / 강신주 지음/ 67~89page
맹자의 도덕사상과 정치사상 / 전남대학교출판부 / 조원일 저 / 37~59page
맹자와 루소(J.-J. Rousseau)의 인성론 비교 연구/ 김영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 256~263 page
맹자론 / 인간사랑 출판사 / 신동준 저 / 41~50 page
순자 性惡說의 의미-사회와 철학연구회 사회와 철학 제9호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육인적자원부) 15쪽
사피엔느 통합논술교과서, 철학과 윤리, 새롬교육 p.108~110
초암실전논술 기본편 , 초암, p.184~189
참고문헌-신영복의 더불어 숲 http://www.shinyoungbok.pe.kr/
http://kr.blog.yahoo.com/dudeg213/271 맹자와 순자의 인간관
한양대학교 2008모의논술 인문2차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