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
1) 교육대상 및 교육대상의 인구 사회 및 생활양식특성
2)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적용 단계
3) 학습지도계획서
4) 소결
2. 우리나라 자조집단 현황
1) 병원이나 보건소 중심의 우리나라 자조집단 모임의 현황과 특성
2) 자조집단 대상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
1) 교육대상 및 교육대상의 인구 사회 및 생활양식특성
2)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적용 단계
3) 학습지도계획서
4) 소결
2. 우리나라 자조집단 현황
1) 병원이나 보건소 중심의 우리나라 자조집단 모임의 현황과 특성
2) 자조집단 대상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야겠다는 동기부여를 가지게 된다.
자가관리표를 작성하는 것도 주요한 전략 중 하나로 일기 같이 자신의 하루 동안을 기록하며 고혈압관리를 위해 실천한 행동들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하는 행위는 자신과의 약속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가급적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이를 실천했을 때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람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참여자들은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조집단 내에서 참여자 간의 역동을 통해 삶의 활력을 가지게 되고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경험하게 되어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감을 가지게 되며,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다.
이렇게 고혈압 자조집단을 통해 참여자들이 느낀 효과들은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조집단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다른 참여자들이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관리행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들음으로써 자신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관리 노력이 부족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참여자들은 서로 동기부여를 하게 되고, 실천 의지를 다지게 된다. 타인의 경험과 성공담은 참여자들에게 자신들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으며, 실천 의지를 가지게 하여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건강관리 실천 행동을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수행활동을 기록하고 함께 그 내용을 공유하는 활동은 실천하는 습관을 만들도록 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활동기록은 참여자가 스스로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단기(일주일) 목표를 설정하고, 다른 참여자들에게 공유한다. 이후 매일 활동에 개한 실천 여부를 기록하여 지난 한 주간 본인이 실천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다음 모임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공유하여 실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한다(윤영혜, 2015).
이렇게 동기부여를 통해 행동을 실천하게 되고 이러한 실천이 쌓여 참여자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고혈압을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이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다양한 실천 행위들을 수행하는 것에 성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게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프리시드-프로시드 모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시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구성하고, ‘고혈압’ 자조집단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고등학생 3학년 남학생에 대한 금연 교육을 계획하였다. 그 이유는 청소년기가 성인기의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 주요한 시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시기로 또래 집단의 권유 또는 압박으로 흡연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금연을 위해 흡연 사실을 알리는 행위가 오히려 처벌을 받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주변의 도움을 받기 어렵다. 그러나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금연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에서 보건소와 연계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으로 하였고, 주변에 보건소가 가까이 있는 것으로 설정하여 해당 학생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기는 정서적으로 민감한 시기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청소년들의 잘못이라는 것을 부각해서는 안되며, 흡연을 시작할 수 밖에 없었던 요인에 대해 함께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대처하는 방안을 알려줌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흡연 행동의 원인을 돌아보게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흡연 행동의 원인을 인식하게 하여, 해당 원인이 발생했을 때, 흡연이 아닌 다른 대처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한편 고혈압 자조집단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을 살펴보았는데, 고혈압 환자들은 자조집단에서의 경험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아졌다고 말하고 있었다. 주요 전략으로 참여자 간 동기부여와 자가관리표를 작성하고 기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참여자들의 자기 관리를 통해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모습은 다른 참여자들에게 자신도 할 수 있다는 동기부여의 원동력이 되고 있었다. 또한 자가관리표는 일기 같이 자신의 하루 동안을 기록하며 고혈압 관리를 위해 실천한 행동들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것으로, 이렇게 기록하는 행위는 스스로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이를 실천했을 때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람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참여자들은 느끼고 있었다.
참고문헌
김영진(2019).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한 건강증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김조자, 유지수, 박지원(1984). 건강지각과 내적통제위 성격과의 상관관계연구. 간호학논집, 8, 29-45.
박형종(1989). 학교보건교육의 중요성과 그 개선을 위한 제언. 학교보건학회지, 6(2), 1-3.
유재순(1997). 고등학교 보건교육의 진단적 연구: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영혜(2015). 고혈압 자조모임에 참여한 환자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이은옥, 서문자, 강현숙, 임난영(1998). 서울시 보건소에서 실시한 관절염 환자 자조관리 과정 평가 5(2).
이화연(2005).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국내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최한숙(2001). 알코올중독자 自助集團 效果性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Dies, R. R(1985). Leadership in short-term group therapy: Manipulation or facil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35(3), 435-455.
Meeks, L., Heit, P.,& Page, R.(2003).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NY: McGraw-Hill.
Tanner, E. (2004). Chronic illness demands for self-management in older adults. Geriatric Nursing, 25, 313-317.
자가관리표를 작성하는 것도 주요한 전략 중 하나로 일기 같이 자신의 하루 동안을 기록하며 고혈압관리를 위해 실천한 행동들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록하는 행위는 자신과의 약속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가급적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이를 실천했을 때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람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참여자들은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조집단 내에서 참여자 간의 역동을 통해 삶의 활력을 가지게 되고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경험하게 되어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감을 가지게 되며, 낮아진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다.
이렇게 고혈압 자조집단을 통해 참여자들이 느낀 효과들은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조집단에 참여한 참여자들은 다른 참여자들이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관리행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들음으로써 자신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관리 노력이 부족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참여자들은 서로 동기부여를 하게 되고, 실천 의지를 다지게 된다. 타인의 경험과 성공담은 참여자들에게 자신들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으며, 실천 의지를 가지게 하여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건강관리 실천 행동을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수행활동을 기록하고 함께 그 내용을 공유하는 활동은 실천하는 습관을 만들도록 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활동기록은 참여자가 스스로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단기(일주일) 목표를 설정하고, 다른 참여자들에게 공유한다. 이후 매일 활동에 개한 실천 여부를 기록하여 지난 한 주간 본인이 실천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다음 모임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공유하여 실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한다(윤영혜, 2015).
이렇게 동기부여를 통해 행동을 실천하게 되고 이러한 실천이 쌓여 참여자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고혈압을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이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다양한 실천 행위들을 수행하는 것에 성공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게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프리시드-프로시드 모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시기의 학생을 대상으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구성하고, ‘고혈압’ 자조집단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을 살펴보았다. 먼저, 고등학생 3학년 남학생에 대한 금연 교육을 계획하였다. 그 이유는 청소년기가 성인기의 건강을 좌우할 수 있는 주요한 시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시기로 또래 집단의 권유 또는 압박으로 흡연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금연을 위해 흡연 사실을 알리는 행위가 오히려 처벌을 받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주변의 도움을 받기 어렵다. 그러나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금연에 대한 도움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에서 보건소와 연계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으로 하였고, 주변에 보건소가 가까이 있는 것으로 설정하여 해당 학생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기는 정서적으로 민감한 시기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청소년들의 잘못이라는 것을 부각해서는 안되며, 흡연을 시작할 수 밖에 없었던 요인에 대해 함께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이를 대처하는 방안을 알려줌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흡연 행동의 원인을 돌아보게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흡연 행동의 원인을 인식하게 하여, 해당 원인이 발생했을 때, 흡연이 아닌 다른 대처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한편 고혈압 자조집단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증진 전략을 살펴보았는데, 고혈압 환자들은 자조집단에서의 경험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아졌다고 말하고 있었다. 주요 전략으로 참여자 간 동기부여와 자가관리표를 작성하고 기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참여자들의 자기 관리를 통해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 모습은 다른 참여자들에게 자신도 할 수 있다는 동기부여의 원동력이 되고 있었다. 또한 자가관리표는 일기 같이 자신의 하루 동안을 기록하며 고혈압 관리를 위해 실천한 행동들을 기록하고 확인하는 것으로, 이렇게 기록하는 행위는 스스로 실천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고, 이를 실천했을 때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람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을 참여자들은 느끼고 있었다.
참고문헌
김영진(2019).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한 건강증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김조자, 유지수, 박지원(1984). 건강지각과 내적통제위 성격과의 상관관계연구. 간호학논집, 8, 29-45.
박형종(1989). 학교보건교육의 중요성과 그 개선을 위한 제언. 학교보건학회지, 6(2), 1-3.
유재순(1997). 고등학교 보건교육의 진단적 연구: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윤영혜(2015). 고혈압 자조모임에 참여한 환자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이은옥, 서문자, 강현숙, 임난영(1998). 서울시 보건소에서 실시한 관절염 환자 자조관리 과정 평가 5(2).
이화연(2005).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국내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최한숙(2001). 알코올중독자 自助集團 效果性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Dies, R. R(1985). Leadership in short-term group therapy: Manipulation or facil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35(3), 435-455.
Meeks, L., Heit, P.,& Page, R.(2003).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NY: McGraw-Hill.
Tanner, E. (2004). Chronic illness demands for self-management in older adults. Geriatric Nursing, 25, 313-317.
추천자료
보건교육 기말 2021] 1.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 2.우리나라 자...
보건교육 2021 기말 보건교육 1.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 2. 우...
보건교육 기말 2021 1.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 ...
보건교육 기말) 1.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 적용 금연 보건교육계획안, 학습지도계획서 2.우리...
보건교육
보건교육 기말 2021 보건교육 1.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작...
1보건교육 )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
2보건교육 )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
보건교육 )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
보건교육 ) 프리시드-프로시드모형을 적용한 금연 보건교육계획안을 작성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