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5점)
2.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5점)
3. 다음 문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쓰시오.(20점)
4. 다음 문장에는 어문 규정에 맞지 않는 예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예들을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5점)
5. 여러 가지 내용을 하나의 긴 문장으로 표현한 다음의 두 문장을 적절한 길이의 문장으로 나누어서 써 보시오.(10점)
6. 다음에 제시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5점)
2.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5점)
3. 다음 문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쓰시오.(20점)
4. 다음 문장에는 어문 규정에 맞지 않는 예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예들을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5점)
5. 여러 가지 내용을 하나의 긴 문장으로 표현한 다음의 두 문장을 적절한 길이의 문장으로 나누어서 써 보시오.(10점)
6. 다음에 제시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5점)
본문내용
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5점)
(1) J. I. Saeed, Semantics, 1997,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pp. 1-423.
-> , J. I. Saeed, Semantics, 1997, pp. 1-423
(2)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국어학회, p. 105-138, 1981년.
->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임홍빈, 국어학회, 1981, p. 105-138
(3) 임홍빈장소원, 1995년, 국어문법론 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p, 1-323.
-> <국어문법론 Ⅰ>,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p, 1-323
(4)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 鋏語考”. 1945년. 東都書籍. 1-165쪽.
-> <朝鮮方言學試攷: 鋏語考>, 河野六郞, 東都書籍, 1945, p. 1-165
(5) 박진호,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2003년 한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356쪽.
->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박진호, 한국대학교, 2003, p. 1-356
(6) 梅田博之, 2000. ‘서울말 모음의 통시적 변화’, ‘서울말 연구’ 3, pp. 36-89.
-> <서울말 모음의 통시적 변화, 서울말 연구>, 梅田博之, 2000, p. 36-89
(7)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라는 논문은 필자가 ‘서태룡’인데, 이 논문은 2006년에 ‘태학사’ 라는 출판사에서 발간된 ‘국어학논총’이라는 책의 112-158쪽에 실려 있다. ‘국어학논총’은 총 450쪽에 달하는 책이다.
->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p. 112-158
(8) 임홍빈. 2000. 학교문법, 표준문법, 규범문법의 개념과 정의.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10-2. 53-75쪽.
-> <학교문법, 표준문법, 규범문법의 개념과 정의>, 임홍빈, 국립국어연구원, 2000, p. 53-75
(9) 野間秀樹,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2002년, 태학사, p. 1-342쪽.
->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野間秀樹, 태학사, 2002, p. 1-342
(10) 이숭녕. ‘국어학연구’, 1972. 형설출판사. p. 1-215.
-> <국어학연구>, 이승녕, 형설출판사, 1972, p. 1-215
(11) ‘중세국어의 음절말 자음체계’라는 제목의 논문은 필자가 ‘박창원’인데, 이 논문은 ‘국어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어학’이라는 학술지 13호에 실려 있다. ‘국어학 13호’는 1987년에 발간되었고, ‘국어학 13호’의 총 면 수는 257쪽인데, 논문이 게재된 면은 58쪽부터 93쪽까지이다.
-> <국어학 13호>, 국어학회, 1987, p. 58-93
(12) J. Bybee.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2001). p. 1-376.
->, J. Bybe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2001. p. 1-376
(13) D. Sperber. & D. Wilson.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Harper & Row: New York. (1995).
->, D. Sperber. & D. Wilson, Harper & Row: New York, 1995
(1) J. I. Saeed, Semantics, 1997,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pp. 1-423.
->
(2) 임홍빈,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국어학회, p. 105-138, 1981년.
->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임홍빈, 국어학회, 1981, p. 105-138
(3) 임홍빈장소원, 1995년, 국어문법론 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p, 1-323.
-> <국어문법론 Ⅰ>,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p, 1-323
(4)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 鋏語考”. 1945년. 東都書籍. 1-165쪽.
-> <朝鮮方言學試攷: 鋏語考>, 河野六郞, 東都書籍, 1945, p. 1-165
(5) 박진호,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2003년 한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356쪽.
->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박진호, 한국대학교, 2003, p. 1-356
(6) 梅田博之, 2000. ‘서울말 모음의 통시적 변화’, ‘서울말 연구’ 3, pp. 36-89.
-> <서울말 모음의 통시적 변화, 서울말 연구>, 梅田博之, 2000, p. 36-89
(7) ‘국어 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라는 논문은 필자가 ‘서태룡’인데, 이 논문은 2006년에 ‘태학사’ 라는 출판사에서 발간된 ‘국어학논총’이라는 책의 112-158쪽에 실려 있다. ‘국어학논총’은 총 450쪽에 달하는 책이다.
-> <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p. 112-158
(8) 임홍빈. 2000. 학교문법, 표준문법, 규범문법의 개념과 정의.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10-2. 53-75쪽.
-> <학교문법, 표준문법, 규범문법의 개념과 정의>, 임홍빈, 국립국어연구원, 2000, p. 53-75
(9) 野間秀樹,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2002년, 태학사, p. 1-342쪽.
->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野間秀樹, 태학사, 2002, p. 1-342
(10) 이숭녕. ‘국어학연구’, 1972. 형설출판사. p. 1-215.
-> <국어학연구>, 이승녕, 형설출판사, 1972, p. 1-215
(11) ‘중세국어의 음절말 자음체계’라는 제목의 논문은 필자가 ‘박창원’인데, 이 논문은 ‘국어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어학’이라는 학술지 13호에 실려 있다. ‘국어학 13호’는 1987년에 발간되었고, ‘국어학 13호’의 총 면 수는 257쪽인데, 논문이 게재된 면은 58쪽부터 93쪽까지이다.
-> <국어학 13호>, 국어학회, 1987, p. 58-93
(12) J. Bybee.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2001). p. 1-376.
->
(13) D. Sperber. & D. Wilson.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Harper & Row: New York. (1995).
->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글쓰기 기말시험 과제물 단락의 구조와 구성 방식 서지정보 참고문헌란 다음 중 ...
[2020년 방통대 글쓰기 기말시험] 1.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2020-1학기 경영학과) 글쓰기-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
(방송통신대 글쓰기 기말시험)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
글쓰기 기말 202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글쓰...
글쓰기 1.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5점)
글쓰기 )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글쓰기 )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