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 1 아래 노랫말을 단어별로 분리하고, 각 단어의 품사를 적어 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문법론 ) 1 아래 노랫말을 단어별로 분리하고, 각 단어의 품사를 적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어문법론
1. 아래 노랫말을 단어별로 분리하고, 각 단어의 품사를 적어 보시오.
- 조건: 단어 판별 및 품사 판별은 학교 문법을 기준으로 합니다. 단, 하위 품사 중 의존 명사,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 격 조사, 보조사, 접속 조사는 구체적으로 명시해 줍니다.
- 작성 방법 예시(원 노랫말을 그대로 두고 그 밑에 단어 수만큼 칸을 만들어 파란색으로 적습니다):

2. 위와 같이 분석한 단어 중 조사를 제외한 나머지 품사에 대하여, 각 단어에 포함된 형태소를 -으로 분리하고 각 형태소가 어미, 어근, 접사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 적어 보시오.
- 작성 방법 예시(품사를 분석한 줄 밑에 초록색으로 적습니다):

3. 위와 같이 분석한 단어 중 조사를 제외한 나머지 품사에 대하여, 각 단어가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 적어 보시오.
- 작성 방법 예시(형태소를 분석한 줄을 그대로 두고 그 밑에 보라색으로 적습니다):

4. 위에서 분석된 품사, 형태소, 단어 유형에 대하여 수업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중심으로 아는 지식을 적어 보시오.
- 작성 방법 예시(작성 항목마다 번호를 매겨 맨 아래 줄에 검은색으로 적습니다):

본문내용

(관형격 조사)
우리 (대명사)
모습 (명사)
어색 (어근)-하 (접사)었/았/였 (어미)-던 (어미)
그 (어근)- 날 (어근)
우리
모습
파생어
합성어
단일어
단일어
* 중복되는 설명의 경우 생략하였습니다.
12
돌아보면 쑥스럽지만
돌아보면 (동사)
쑥스럽지만 (형용사)
돌 (어근)-아 (보조적 연결어미)-보 (어근)-(으)면 (연결어미)
쑥스럽 (어근)-지만 (연결어미)
합성어
단일어
① ‘돌아보면’에서 ‘돌다’와 ‘보다’의 ‘합성어’로 이루어진 단어다. ‘-아/어/여’는 ‘돌다’와 ‘보다’를 이어주는 ‘보조적 연결어미’의 역할을 한다. ‘-(으)면’ 역시 뒤에 나오는 말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어미다. ‘쑥스럽지만’에서 ‘-지만’도 ‘연결어미’에 해당한다.
13
손끝에 닿을 듯이 닿지 않던 그대는
손끝 (명사)
에 (부사격 조사)
닿을 듯이 (동사)
닿지 않던 (동사)
그대(대명사)
는 (보조사)
손 (어근)- 끝 (어근)
닿 (어근)-(으)ㄹ 듯이(어미)
닿 (어근)지 (어미)-않 (어근)- 던 (어미)
그대 (어근)
합성어
단일어
합성어
단일어
① ‘닿을 듯이’에서 ‘-(으)ㄹ’은 ‘-듯이’와 연결되는 ‘관형사형 어미’에 해당한다.
② ‘닿지 않던’에서 ‘지 않다’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 동사’다. 또한 ‘닿다’와 ‘부정’을 나타내는 ‘않다’와 결합하여 ‘닿지 않다’를 하나의 합성어로 볼 수 있다. 아래 16번에 ‘떨어지지 않는’과 ‘시들지 않는’도 같은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14
몇 년이 지난 지금도 그대로인데
몇 (수사)
년 (명사)
이 (주격 조사)
지난 (동사)
지금 (명사)
도 (부사격 조사)
그대로인데 (명사)
몇 (어근)
년 (어근)
지나 (어근)
-(으)ㄴ/는 (관형사형 어미)
지금 (어근)
그대로 (어근)
- (으)ㄴ/는/(이)ㄴ데 (관형사형 어미)
단일어
단일어
단일어
단일어
단일어
* 중복되는 설명의 경우 생략하였습니다.
15
하루에도 몇 번을 내게 물어봐도 나는 믿고 있어
하루
(명사)
에 (부사격 조사)

(보조사)

(수사)

(명사)
을 (목적격 조사)
나(대명사)
에게 (부사격 조사)
물어봐도
(동사)
나 (대명사)

(보조사)
믿고 있어
(동사)
하루
(어근)

(어근)

(어근)

(어근)
물 (어근)-어 (어미)-보 (어근) 어/아/여도 (연결어미)

(어근)
믿 (어근)고 (어미)- 있 (어근) -어 (종결어미)
단일어
단일어
단일어
단일어
합성어
단일어
합성어
① ‘물어봐도’에서 ‘묻다’는 ‘ㄷ 불규칙 용언’에 해당해 어간의 끝소리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바뀌어 ‘물어’가 되었다. ‘시도’를 의미하는 ‘-어/아/여 보다’에 대한 설명은 위 내용과 동일하고, ‘-어/아/여도’는 ‘연결어미’에 해당한다.
② ‘믿고 있어’에서 ‘-고 있다’는 본용언 ‘믿다’의 보조 동사 역할을 하는데, ‘-고’는 ‘보조적 연결어미’에 해당한다.
16
떨어지지 않는, 시들지 않는, 그대라는 꽃잎
떨어지지 않는 (형용사)
시들지 않는 (형용사)
그대 (대명사)
라는 (동사)
꽃잎 (명사)
떨어지 (어근)-지 (어미)-않 (어근)- (으)ㄴ/는 (어미)
시들 (어근)- 지 (어미)- 않 (어근)- (으)ㄴ/는 (어미)
그대 (어근)
라(고 하) (어근)-(으)ㄴ/는 (어미)
꽃 (어근)
-잎 (어근)
합성어
합성어
단일어
합성어
합성어
① ‘라는’은 인용절을 나타내는 ‘라고 하다’와 관형사형 어미인 ‘-(으)ㄴ/는’과 결합한 형태다.
<참고문헌>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송창선, 『국어문법론』, ㈜ 박이정, 2020.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18
  • 저작시기202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