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섬유질을 분해하는 장내 미생물이 사라지면 굶어 죽게 됩니다. 세균을 통해 에너지를 조달하는 심해에 사는 많은 해양생물들도 사라지게 되지만 인간은 다른 동물들보다는 좀 더 오래 버틸 수 있지만 인체의 노폐물이 분해되지 않고 가축들이 사라지면서 질소 공급원이 없어진 농작물이 타격을 받으며 식량 위기에 놓이게 됩니다. 결국 먹이사슬이 붕괴되면서 인간 사회 역시 완벽한 붕괴를 경험하게 될 것으로 예측이 됩니다. 미생물은 우리와 동반자의 관계의 세계이며 생태계 교란이나 인간의 질병 등에 숨은 미생물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그 해법을 모색하고 있는 과학자들의 노력을 기대해본다.
Ⅳ참고문헌
보이지 않는 지구의 주인 미생물
- 오태광 저자 / 양문 / 2008.08
온통, 미생물 세상입니다
- 김응빈 저자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 문화원 / 2021.10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 많아
- 에드 용 저자 / 양병찬 역 / 어크로스 / 2017.08
인간 존재의 의미
- 에드워드 윌슨 저자 / 이한음 역 / 사이언스 북스 / 2016.07
미생물에게 어울려 사는 법을 배운다
- 김응빈 저자 / 샘터 / 2019.10
미생물 이야기
- 김태종 저자 / 나무나무 / 2020.09
Ⅳ참고문헌
보이지 않는 지구의 주인 미생물
- 오태광 저자 / 양문 / 2008.08
온통, 미생물 세상입니다
- 김응빈 저자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 문화원 / 2021.10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 많아
- 에드 용 저자 / 양병찬 역 / 어크로스 / 2017.08
인간 존재의 의미
- 에드워드 윌슨 저자 / 이한음 역 / 사이언스 북스 / 2016.07
미생물에게 어울려 사는 법을 배운다
- 김응빈 저자 / 샘터 / 2019.10
미생물 이야기
- 김태종 저자 / 나무나무 / 20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