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종류와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미생물이란?

Ⅱ. 본 론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
ⅰ. 원핵생물
ⅱ. 원생생물
ⅲ. 균류
ⅳ. 비세포성 미생물

Ⅲ. 결 론
미생물 가족

본문내용

고 한다. 곰팡이는 온난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을 좋아하며, 증식하기 좋은 최적온도가 30도 정도이다.
a-1. 대표적 곰팡이
-효모
효모는 빵이나 맥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로, 곰팡이나 버섯 무리에 속하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 능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들을 일컫는다. 대부분 토양 속에 살지 않으며 꽃의 꿀샘이나 과일의 표면과 같은 당 농도가 높은 곳에 많이 살고 있다. 효모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진핵생물로, 인간의 세포와 세포주기가 매우 유사하다.
-페니실리움
푸른 곰팡이라고 불리는 곰팡이의 속칭이다. 부생균의 대표적인 미생물로, 누룩균과 함께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누룩균속이 열대에서 온대에 생육하는 데 반해, 페니실리움속 균은 온대에서 한대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이 곰팡이에서 항생물질 페니실린을 추출할 수 있다.
b. 버섯
버섯은 균류(Fungi) 중에서,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하는 말이다. 버섯은 그 독특한 향미로 널리 식용되거나 또는 약용으로 사용 되는가 하면 목숨을 앗아가는 독버섯으로 두려움을 받기도 한다. 근래에는 버섯의 순수배양종균의 생산 이후로 식용버섯의 인공재배가 크게 발달하고 있으며 버섯의 영양가와 약용가치가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갓, 인편, 주름살, 턱받이, 자루, 대주머니, 살 등으로 구성된다.
b-1. 대표적 버섯
- 송이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식용버섯으로 향이 독특하고 맛이 좋다. 주로 가을 추석 무렵에 소나무 숲 땅 위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지름은 8 ~20cm 정도이다. 처음 땅에서 솟아나올 때는 공의 형태를 갖으나, 점차 커지면서 만두 모양이 되고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약간 봉긋하게 변한다. 살은 흰색이고 주름살도 흰색으로 chacha하다.
- 광대버섯
광대버섯은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의 한 종으로, 독이 있어 먹을 수 없는 버섯이다. 갓은 빨간색으로, 가장자리는 옅은 색이며, 처음에는 둥글다 점차 편평해진다. 흰색 사마귀가 있고, 턱받이가 있다.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다.
ⅳ. 비세포성 미생물(Virus)
비세포성 미생물, 즉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작아서 세균여과기로도 분리할 수 없고,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지 않으면 볼 수 없는 작은 입자이다. 한 종류의 핵산만을 가진다. 핵산은 단백질 케이스로 둘러싸여 있고, 종류에 따라 이 케이스는 지질 피막으로 싸여져 있다. 생존에 필요한 물질로 핵산과 소수의 단백질만을 가지고 있어 숙주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스스로는 증식을 할 수 없으며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단세포 미생물에서부터 동,식물 모두 감염시킬 수 있다.
a. 대표적 바이러스
- 티모바이러스군
티모바이러스군은 대표적인 바이러스로서, 이들 바이러스는 열대, 아열대, 온대의 각지에 알려져 있으며, 각 바이러스의 발생분포는 비교적한정적이다. 일반적으로 숙주범위는 약간 좁고 즙액전염하는외에 잎벌레류에 의해 전파된다. 또한 드물게 종자전염도 한다. 바이러스입자는 세포질, 핵,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내에 나타난다. 그룹내 바이러스 사이에 혈청학적 유연관계는 가까운 것에서 먼 것까지 다양하다.
- 매디바이러스
매디바이러스는 비스나병과 같이 양의 대표적 지발성 바이러스 감염증인 매디병의 원인바이러스이다. 매디는 아일랜드어로 호흡곤란을 의미한다. 이 병은 문자대로는 건성 기침, 호흡곤란을 주증상으로 하는 만성진행성 간질폐렴이다. 바이러스학적으로는 비스나바이러스와 동일하며, 레트로바이러스과, 렌티바이러스아과로 분류하고 있다. 야외에서는 매디병 쪽이 비스나병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매디병이 선행하여 발병한 양이 비스나병이 되기 전에 죽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Ⅲ. 결론 : 미생물 가족
앞에서는 미생물들의 체계와 분류, 종의 특성 등에 대하여 자세히 탐구해 보았다. 이처럼 미생물은 인간 생활 곳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인류가 지구상에 나타나기 이전부터 지구의 주인으로 오랜 시간 군림 해 왔다. 우리의 생활은 이미 미생물들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까지 와버렸다. 따라서 우리는 미생물들을 쓸모없는 존재, 유해한 존재라는 인식을 버리고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친구, 때로는 해롭지만 때로는 도움이 되는 고마운 친구라고 인식해야 한다. 그들을 하나의 가족 집단이라 인식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기른다면, 그들은 진짜 가족과 같이 우리 인류에게 다가올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2.0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