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race-Joy-Peace 메커니즘이란 무엇인가.
2. Grace-Joy-Peace 메커니즘이 나에게 주는 함의
출처 및 참고문헌
2. Grace-Joy-Peace 메커니즘이 나에게 주는 함의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더더욱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사랑의 한 종류에는 신이 주는 무조건적 사랑 아가페가 포함되며 종교로부터 많은 이들이 위안과 안식을 얻는다는 사실은 사람 사이에서는 사실 조건 없는 사랑이 불가능하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다는 방증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이유 없이 누군가를 사랑하거나 사랑받는다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 일인지 알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대로 사람은 은혜로부터 얻는 기쁨과 평강 없이는 한 인간으로서 올바로 일어설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인간은 반드시 Grace, Joy, Peace가 필요한 존재라는 의미라고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은혜, 기쁨, 평강을 서로가 온전히 신뢰할 수 없는 인간이기에 나누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 오히려 이러한 과정을 이루어내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말해준다. 우리는 사랑과 애정, 호의 속에서 살아가야만 한다.
그렇다면 나에게 이러한 사실이 보여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결국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대답이 필요한 것이라 여겨진다. 조건 없는 사랑과 애정을 보여주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위에서 우리는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랑과 애정을 타인이 나에게 보여줄 것을 기대하는 것은 자연스레 매우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렇다면 바꿀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결국 나 자신밖에는 없다. 내가 먼저 다른 누군가에게 조건 없는 애정과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대방이 내게서 은혜를 받고 기쁨을 누린다면 상대방은 메커니즘에 따라 내게도 기쁨을 나눠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이로부터 다시금 은혜를 받고 기쁨을 느끼며 다시 애정과 사랑을 나눌 수 있도록 차분히 평강의 상태에 들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은 내가 먼저 조건 없는 애정과 사랑을 타인에게 보냄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통해 나도 한 인간으로서 바로 설 수 있다.
이러한 선순환의 과정은 마치 어머니가 자신의 아기를 보고 미소를 짓는 것과 같아야 온전해질 것이다. 어머니가 자신의 아기를 보며 웃는 것은 이 아기가 자신을 기쁘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하여서 웃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아기는 어머니의 순수한 웃음을 기쁨으로 받아들이고 어머니는 아이의 웃음에 자신도 기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순서를 틀려서는 절대 안 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방송통신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안
그렇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이유 없이 누군가를 사랑하거나 사랑받는다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 일인지 알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대로 사람은 은혜로부터 얻는 기쁨과 평강 없이는 한 인간으로서 올바로 일어설 수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인간은 반드시 Grace, Joy, Peace가 필요한 존재라는 의미라고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은혜, 기쁨, 평강을 서로가 온전히 신뢰할 수 없는 인간이기에 나누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 오히려 이러한 과정을 이루어내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말해준다. 우리는 사랑과 애정, 호의 속에서 살아가야만 한다.
그렇다면 나에게 이러한 사실이 보여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결국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대답이 필요한 것이라 여겨진다. 조건 없는 사랑과 애정을 보여주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위에서 우리는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랑과 애정을 타인이 나에게 보여줄 것을 기대하는 것은 자연스레 매우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렇다면 바꿀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결국 나 자신밖에는 없다. 내가 먼저 다른 누군가에게 조건 없는 애정과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대방이 내게서 은혜를 받고 기쁨을 누린다면 상대방은 메커니즘에 따라 내게도 기쁨을 나눠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이로부터 다시금 은혜를 받고 기쁨을 느끼며 다시 애정과 사랑을 나눌 수 있도록 차분히 평강의 상태에 들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은 내가 먼저 조건 없는 애정과 사랑을 타인에게 보냄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통해 나도 한 인간으로서 바로 설 수 있다.
이러한 선순환의 과정은 마치 어머니가 자신의 아기를 보고 미소를 짓는 것과 같아야 온전해질 것이다. 어머니가 자신의 아기를 보며 웃는 것은 이 아기가 자신을 기쁘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하여서 웃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아기는 어머니의 순수한 웃음을 기쁨으로 받아들이고 어머니는 아이의 웃음에 자신도 기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순서를 틀려서는 절대 안 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방송통신대학교 멀티미디어 강의안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 묻다 중간과제물)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
2021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Grace-Joy-Peace 메커니즘)
심리론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심리학 )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
심리학에게 묻다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
심리학묻다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
심리학개론 )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
심리학묻다 )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
심리 )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심리학에게 )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