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이해와감상 ) 1고려속요의 전반적인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속요중 서경별곡의 내용중 제시한 지문 (대동강)을 현대어로 옮기고 노래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의이해와감상 ) 1고려속요의 전반적인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2속요중 서경별곡의 내용중 제시한 지문 (대동강)을 현대어로 옮기고 노래의 성격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성격
2) 속요 중 서경별곡의 내용 중 대동강을 현대어로 옮기고 노래의 성격을 서술하시오
3) 사설시조의 특징 / 사대부 시조와 기녀의 시조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고 눈 앞에 존재하는 대상 자체 특성을 보여주는 것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평시조는 짧은 구조로 함축이나 추상의 과정으로 대상을 상징화하면서 완전하게 자기 안으로 끌어들여야한다면, 사설시조가 긴 구조 속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을 통해 대상의 상징적인 의미보다 대상 자체에 대해 구체적인 표현의 태도를 나타내고 사설시조에서 각 사건에 대해 화자를 향해 폐쇄적인 수렴이 아닌 각각의 등가성을 가지고 열려있다는 것이다.
사설시조의 장형성의 구성 원리의 변화가 각 장의 역할 중 중장의 역할 변화로 이어지는데 중장이 길어지는 것은 사설시조에서 평시조에서의 역할과는 다른 역할로 시조에서 일반적인 역할이 초장과 함께 거론되는데, 초장과 병치되며 초장에서 환기됐던 시적 분위기에 긴장감을 조성하여 부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초장의 구조를 물려받아 종장을 향해 열려있는 구조로 시의 마지막에 위치한 종장이 폐쇄성을 지향할 수 있도록 하고 초, 중장의 흐름을 이어서 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완결될 수 있도록 한다.
사설시조에서 길어지는 중장이 평시조와 같이 단순하게 초장과 종장에 대해 이어주는 역할이나 부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지는 않고 중장이 오히려 종장을 향하는 흐름의 지연과 종장으로 수렴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조에서 이탈되게 하는데, 중장이 종장이 제시하려는 통일적 관념에 대한 받아들이기는 주저하지만, 너무 빠르게 종결로 가는 것을 기피하면서 길어지고, 평시조가 완결의 미학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사설시조의 중장이 평시조가 가지는 전형적인 완결성에 대한 거부로 볼 수 있다.
사설시조에서 중장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해학적인 요소의 부가나 새로운 긴장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 결국 평시조 중장에 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종장으로 수렴할 수 있는 시의 통일성을 조금씩 밀어낸다. 사설시조의 변화된 중장이 초장과 중장을 종장으로 수렴할 수 있도록 평시조 종결 구조의 거부와 종장과 별개적인 독립된 지위를 바탕으로 중장만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결국 사설시조의 장영화가 대상이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양상을 중점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 자체에 관심을 두고 중장의 역할 변화를 통해 작품 전체의 통일성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사설시조 자체는 작품 전체의 통일성을 추구한다기보다는 작품에 등장하는 하나하나 화소가 더 큰 무게를 두고 있으며, 사설시조가 작품 속 화소가 어게 연결되어 총체적인 작품으로 만들어내느냐보다 하나의 화소가 독립적으로 어게 드러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사설시조가 실제적으로 사물에 대한 화자의 관심이 드러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마련과, 정해진 방향성 없이 탈주하려는 힘을 가지고 있는 욕망이 기존의 형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징적인 표현 방식으로 일상어나 의태어, 의성어를 나열하거나 반복하는 원리를 통해 배열하는데 이는 작품의 표현이 주제 전달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나 화자의 감정 표현이나 수용자 감정에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평시조와 비교하면 사설시조의 표현은 더 명확하게 드러나는데, 평시조가 하나의 시어가 일정한 상징성을 가지고 병렬을 통해 작가의 가치관을 드러내며 시상을 전개시키고 대상의 의미가 가치의 차원으로 끌어올라오게 된다. 결국 수용자가 평시조를 통해 시조의 내용에 집중하며 표현에서 의도한 상징적 의미에 대해 생각하며 감상하게 만든다. 또한 사설시조의 경우 화자의 시점이 평시조와 다르게 작중 인물이나 사태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수용자와 작품 사이 거리감을 증폭시키는 경우도 있다.
3. 결론
고전이 역사적 자료가 아니고 어느 시대에서나 감상의 대상으로 고정된 실체가 아니고 독자와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의미의 변화로 다양한 관점에서 감상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려속요는 형성에서 고려 궁중악과 조선 궁중악까지의 변화 속에서 민요적 특성과 다양한 변모과정을 겪었으며 현실의 고통이나 괴로움 속 서민 대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성됐다고 할 수 있으며 독특한 여음구로 민요와 구별될 수 있으며 문학적 가치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별의 상황에 대해 노래하는 시가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비선형성과 여음구, 진솔한 감정을 표현한 고려속요의 전형적인 장르를 보여주는 서경별곡을 살펴보면서 화자의 정서가 다양하게 드러나 일반적인 이별 노래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설시조의 유희적 특성 등이 특정한 개인의 작품보다 집단 구성원의 창작과 향유하는 작품이라는 점을 통해 평시조와의 차이와 함께 사설시조의 특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1) 이루리. \"고려속요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 교육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553300
2) 성기옥,and 김은미. \"고려속요의 문학교육적 지도방안.\" 교과교육학연구 3.1 (1999): 5-23. 고려속요에 나타난 해석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in Goryeosokyo.
http://www.riss.kr/link?id=A30044343
3) 조하연 ( Cho Ha-youn ). \"담론 구조를 통해 본 <서경별곡>의 성격과 그 교육적 의의.\" 고전문학과 교육 22.- (2011): 217-247.
http://www.riss.kr/link?id=A106264646
4) 임재욱 ( Jae Wook Yim ). \"<서경별곡(西京別曲)>에 나오는 \"대동강(大同江)\"과 \"배\"의 상징성.\" 韓國 詩歌硏究 24.- (2008): 261-285.
http://www.riss.kr/link?id=A75740157
5) 유자영. \"고려속요의 교수-학습 모형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서울
http://www.riss.kr/link?id=T12906868
6) 김대형. \"사설시조에 나타난 욕망의 문학적 의의.\"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서울
http://www.riss.kr/link?id=T13833095
  • 가격4,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8.24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1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