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회와생활문화 ) 교재 제8장 민장 속의 다양한 모습을 읽고 민장 작성하기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자신이 조선시대 살고 있으며, 거주지나 고향에서 등장을 올리는 대표자가 되었다고 가정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 교재 제8장 민장 속의 다양한 모습을 읽고 민장 작성하기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자신이 조선시대 살고 있으며, 거주지나 고향에서 등장을 올리는 대표자가 되었다고 가정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재 제8장 ‘민장 속의 다양한 모습’을 읽고 민장 작성
2) 교재 제9장 ‘교육과 과거’, 제10장 ‘관료와 양반의 삶’을 읽고 ①자신을 조선시대 살았던 인물로 상정하고, ②공부나 과거를 보는 과정, ③관료와 양반으로서의 활동 등을 가상하여 정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고위직 진출이 어려운 음관이 수령으로 가는 것을 현실적인 목표로 삼기도 했다. 문관 중에서도 늙은 부모님을 관곡으로 봉양한다는 명분을 가지고 지방관으로 나가는 것을 자청하기도 했다. 퇴직 시기에는 정해진 규정은 없었으나 대략적으로 70세까지 벼슬살이의 상한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부분 관료세계에서 고위직은 벼슬자리 숫자가 적어지므로 시간이 흐르면서 외곽으로 밀려나기도 해 자연스럽게 세대교체가 진행되기도 했다.
성리학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거나 지주계급을 대표할 수도 있었는데 성리학의 이념에 의해 이상사회를 구현하고 가문의 기원에 대해 명확하게 함으로써 조상에 대한 예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자 했다. 결국 족보가 양반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양반가라도 과거 시험을 보지 않게 되면 3대 이후로 평민이 될 수 있으나 한 번 양반의 자손은 영원하다는 이유로 누군가 과거에 합격하게 되면 합격한 자손은 양반이고 합격하지 않으면 평민으로 족보에서 기록된다. 따라서 장철수는 자기의 자손들을 위해 누구보다 열심히 문관이 되기 위해 노력했으나, 일반적인 양반이 과전이나 녹봉과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와 노비로 풍요롭게 생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장철수는 부유한 양반은 아니었고, 항상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다른 양반에 비해 부의 축적 정도가 차이가 나서 노비를 감독하거나 농장을 살피기도 어려운 상황이었고, 관직에 오르면서 사용했던 고리대를 갚기에도 급급한 상황이었다.
항상 돈은 없지만, 양반으로서 체품을 지켜야 하는 상황 속에서 관직에 몸을 담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단순히 책만 읽고 관아 등 나라를 위해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집안 살림이나 경제적인 능력을 충분히 갖췄다고 볼 수는 없었던 것이다. 일부 양반과는 다르게 부유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허례허식을 강조하는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있으며, 모두가 양반의 삶이지만 오히려 부농에 비해서는 불행해 보일 수도 있다. 결국 양반으로 인해 직업에 대한 귀천이나 신분 차별로 인해 활동에 제한적이거나 생활 간 차이가 발생했으며 국가에서 경제적 혜택과 사회적인 특권으로 인해 여유로운 생활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했지만 이것이 모든 양반에게 적용됐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3. 결론
현대 사회의 소송과 비슷한 민장은 지금보다는 더 넓은 범위로 많은 사람들의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한 제도였으며, 그 시대의 사회 모습을 잘 보여줄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민정치부책을 통해 그 시대를 엿보고 현대사회와의 차이나 그 당시의 문화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었는지에 대해 충분히 느낄 수 있었으며, 관아에서도 민의 이야기를 잘 듣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도 분명히 존재했을 것이다.
또한 양반의 삶을 통해 과거에도 출세를 위해 노력하는 삶이 현대 사회와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부유하지 않은 양반이 그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들을 희생시키거나 허례허식에 빠져 살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라도 신분이나 계급, 직업 귀천 등으로 그 당시에도 편협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통해 양반이라고 해서 모두 본받을 만한 사람이라고 평가할 수 없으며 존경받을 대상이라고 볼 수는 없다. 결국, 양반도 자신의 과거 준비나 유교적 예법 준수를 위해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을 쓰고 경제적인 부담을 감수해야 했다는 점에서 양반의 삶이 무조건적으로 행복했을 것이라고 볼 수 없다.
4. 참고문헌
1) 송찬섭.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서울: KNOU 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http://www.riss.kr/link?id=M14502238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26
  • 저작시기202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1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