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15점)를 쓰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 )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15점),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15점)를 쓰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Grace-Joy_Peace의 메커니즘
2)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
3. 결론

본문내용

록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나의 행동이 누군가의 기쁨이 될 수 있고 이는 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어린 아이들에 대해 더 많은 기쁨을 선사할 수 있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우리 사회가 약자에 대한 혐오가 심해지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속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를 보내는 아이들에게 우리 사회의 여러 현상으로 인해 상처받거나 존재에 대한 의구심을 갖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3. 결론
우리의 삶에서 시작과 끝을 함께 하는 뇌는 포도당을 먹고 사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뇌에 포도당이 부족하면 알츠하이머라는 병에 걸릴 수도 있다. 이러한 생화학적 측면이 아니라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뇌는 기쁨을 먹고 자란다고 보는 것이며 이는 3단계에 걸친 메커니즘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로 Grace인 은혜는 특별한 값 없이 받게 되는 호의로 노력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주어지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부모님의 은혜가 있다. 우리가 태어남 자체에 대해 사랑을 부여해주며 우리가 본질적으로 질문을 가지고 사는 사랑받는 삶을 살고 있는가에 대해 답을 해줄 수 있다.
그리고 2단계로 Joy인 기쁨은 사랑받는 사실을 깨닫고 반응적으로 경험하는 결과로써 조건 없는 사랑은 기쁨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기쁨은 뇌의 화학작용으로 대체하면 도파민 생성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기쁨이 언제나 관계를 전제로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3단계에서는 Peace 평강으로 리듬을 타듯이 세로토닌과 도파민이 서로 주고받으면서 부교감신경 활성화를 통해 심박수나 혈압, 호흡의 안정과 함께 의욕이나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것은 극단적인 행동에 대한 조절과 함께 수면의 질을 높여 우리의 기억력이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진정한 평강도 관계적인 경험을 통해 느낄 수 있다.
Grace-Joy-Peace 메커니즘을 통해 우리는 뇌의 구조를 포함해 화학적인 작용이나 성장, 정체성,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등 애착센터의 역할을 통해 즐거움과 고통에 대한 효과적인 조절을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에서 적절한 도파민과 세라토닌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도파민을 잘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왼쪽 눈을 바라보며 미소지어주고, 세로토닌을 잘 생성하기 위해서는 심호흡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30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