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뜬다면 본인은 전화를 거절하거나, 혹은 문자를 무시하는 행동 등으로 혐오스러운 것을 스스로 소거해나가는 것이다. 이후 이 사람에게서 전화 혹은 문자가 왔기 때문에 어떻게든 나와 접촉하려고 시도하는 형태 자체를 피하려고 더욱 노력할 것이다. 혹은 학교를 다닐 때, 수업시간에 떠들면 당연하게도 반성실이나 혹은 교무실로 가야한다는 부적 강화가 주어진다면, 스스로가 그 순간을 피하기 위해 당연하게도 수업시간에는 조용히 하고, 친구들과 장난을 치는 것을 줄이는 경우에도 부적 강화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적 강화를 보통의 사람들은 처벌과 벌에 대해서 같은 개념이 아니냐고 말하고는 하는데, 이는 분명 다른 개념이다. 처벌에 관련해서는 해당 혐오스러운 자극에 의해서 한 행동을 하지 않고 또한 감소시키는 것이라면, 부적 강화는 자극이 제거됨으로서 바람직한 행동을 행하기 때문이다.
3.결론
강화는 이처럼 한 사람들의 행동의 분석을 구분하고 또 연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로, 교육 현장은 물론 다양한 심리학적 상태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강화 원리 자체가 인간의 행동이 본인 스스로가 온전히 바라서 하는 자유적인 행동보다는, 오히려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준 개념이기 때문이다. 어떠한 행동이든,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등 강화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오랜 시간에 걸쳐서 연구가 된 만큼 효과적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홍준표, 학지사, 응용행동분석, 2009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교육학용어사전, 1995
이와 같이 부적 강화를 보통의 사람들은 처벌과 벌에 대해서 같은 개념이 아니냐고 말하고는 하는데, 이는 분명 다른 개념이다. 처벌에 관련해서는 해당 혐오스러운 자극에 의해서 한 행동을 하지 않고 또한 감소시키는 것이라면, 부적 강화는 자극이 제거됨으로서 바람직한 행동을 행하기 때문이다.
3.결론
강화는 이처럼 한 사람들의 행동의 분석을 구분하고 또 연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로, 교육 현장은 물론 다양한 심리학적 상태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강화 원리 자체가 인간의 행동이 본인 스스로가 온전히 바라서 하는 자유적인 행동보다는, 오히려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준 개념이기 때문이다. 어떠한 행동이든,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등 강화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오랜 시간에 걸쳐서 연구가 된 만큼 효과적으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홍준표, 학지사, 응용행동분석, 2009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교육학용어사전, 1995
추천자료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배경과 성격,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중요...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의와 중요성,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원리와 ...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의 기본이해와 조건형성개념,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의 실험과 ...
사회복지 행정론 졸업시험
교육심리학 정리 (제4장 ~제8장)
[방통대 A+] 1학년 2학기 유아교육학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중간과제 D형 : 행동발달에 대한...
인간과교육 1.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학생 이해, 진로지도, 정보제공, 상담 등)에 대해 설명...
상담심리학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