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수 있었던 사회적 메시지 또한 두 개의 세계에 걸쳐 있었던 캐러웨이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극 중 이야기의 직접 주인공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거리감 있는 측근으로서의 최대한 객관적인 서술을 하려고 하면서도 한쪽 선호를 통해 가치관을 정립해가는 그는 작가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서술자였다. 개츠비는 물질 만능주의 세계의 화려함 이면의 공허함을 보여준다. 그들이 주장하는 이성의 도덕과 특권에 가려서 보여지지 않는 부패함, 그리고 물질문명에 대한 거부감을 표현하면서도 그를 향유하고 그 안에서 도태되는 부패함을 보여주는 특권계층의 모순적인 태도는 자본주의 발달을 통한 인간성의 상실화를 지적한다. 극 중 이 중심에 서 있는 톰과 개츠비는 이러한 자본주의의 부패와 이상을 상징한다. 반면, 닉은 1인칭 관찰자이면서도 모든 상황을 서술하는데 객관적인 시선을 유지한다. 하지만 타인을 향해 판단을 유보하기만 하는 방관자에서 적극적으로 도덕적 기준을 내재화시켜가는 인간으로 변화하면서 그의 객관성은 상실하고 본인의 가치관에 편향되는 인물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된다. 닉은 처음에는 아버지로부터 듣고 오랫동안 품고 있던 말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도덕관을 세우는 수동적 인간에서, 개츠비를 만나고 다시 동부에서 현실을 깨닫고 주체적으로 서부로 돌아오면서 확립하는 도덕관은 본인이 만든 체험을 통해서 설립한 적극적 도덕관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이 객관성이라는 측면에서는 한계를 가지지만, 오히려 피츠제럴드가 전달하고 싶었던 궁극적인 메시지와 미국사회의 발전 방향성을 염두에 둔다면 극 중 인물 중 1인칭 관찰자 시점보다 이러한 메시지를 독자에게 강요하지 않으면서 심어줄 수 있는 화법은 없을 것이다. 물질 부패의 극단에서의 삶을 살면서도 죽음의 순간까지도 데이지를 향한 열정을 버리지 않은 개츠비의 여전한 모습은, 우리에게 물질주의로 모든 것이 결정되어 지고 물질에 의해 신념과 도덕관이 쉽게 판단되고 그의 가치가 규명되는 이러한 사회에서도 여전히 우리는 인간 본질의 순수함을 추구하고 유지하며 살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개츠비 자신이 주장하고 전달한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서술을 통해서 담담하고 거리 있게 전달하였기 때문에 더 큰 울림을 줄 수 있었다.
Ⅳ참고문헌
조지흔. \"『위대한 개츠비』의 닉 캐러웨이 성장과정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4. 서울
Ⅳ참고문헌
조지흔. \"『위대한 개츠비』의 닉 캐러웨이 성장과정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04. 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