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문화 ) 한국의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 들여다보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과 문화 ) 한국의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 들여다보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7세기 중엽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혼인과 제사/상속을 중심으로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의 변화에 대해서
2) 현재 자신의 가족생활을 토대로 가부장적 문화의 경험사례를 제시하고, 본인을 포함한 다음 세대의 가족가치와 이데올로기의 변화 모습을 예상해 보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위주로 앉아서 식사를 했었으며, 남자형제들을 부엌에 쉽게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명절의 차례나 제사가 있는 날에는 음식이 다 차려진 이후로는 여자자매들은 의식의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방에 있으면서 의식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모든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일정 나이 이상의 남자들은 제사상이나 차례상이 있는 공간에 나가서 의식에 함께 참여한 모습을 통해 과거 얼마나 남성중심의 가부장제도 속에서 성장하였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결혼하는 과정이나 부부의 관계어서도 전통적인 유교적 격식문화가 생략하지 못한 모습에서 우리 가정이 현대화 된 사회 속에서 아직 남아있는 가부장적 가정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일면으로 생각되어 진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와 생활양식 속에서 만난 부부는 친족중신의 양가 형식 의례에 참여하는 경우도 많았다. 친족 어른이 생일을 맞이했을 때 준비한 생일상이나 선물, 명절을 비롯해 친족과 모계 쪽의 방문하는 횟수의 차이도 있었다.
부모님 중에 아버지는 2019년도에 세상을 떠나셨다. 지금도 어머니는 매년마다 할머니 2대 조상의 제사를 준비한다. 최근 여러 가정들의 이야기를 통해 제사 일을 지키는 것 보다는 그것들을 준비하는 사람들에 초점을 맞춰 간소화되거나 여러 제사를 합쳐서 한 날에 진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럼에도 어머님께서 제사 일에 맞춰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세대보다 더 자신의 안위나 편안함 보다는 조상께 봉양함을 통해 가족의 안녕과 평화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사회 곳곳에 서양의 문화가 도입되고 다양한 사회 문화들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생계부양의 역할만 충실한 남자와 가정에서 가사와 육아를 모두 관할하던 여자의 역할에서 바람직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 부부간의 의사결정권을 동등하게 의견을 수렴하며 성별 탈문화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 참고문헌
한국가족관계학회 저, 가족학, 하우, 2017.
옥선화 등저, 결혼과 가족, 하우, 2017.
장미혜 등저, 한국 여성 가족 사회변화 7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김미숙 등저,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2017.
김정운, 17~18세기 경상도 북부지역 사족의 친족관계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2016.
장경숙, 가부장적 가정교육의 경험에 관한 자전적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2018.

키워드

가족과문화,   한국,   가족,   사회,   변화,   제사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1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4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