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생들의 IQ를 고려하지 않고 또한 별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임의의 한 학생을 선정했을 때 그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얼마인가?
2) 1000명의 학생 중 임의로 한 학생을 택했을 때, 그 학생의 IQ가 125를 넘을 확률은 얼마인가?
3) 임의의 한 학생을 선정했을 때 그 학생이 대학에 합격했을 뿐만 아니라 IQ도 125를 넘을 확률은 얼마인가?
4) 임의의 한 학생을 선정했을 때 그 학생이 대학에 합격했지만 IQ는 125를 넘지 않을 확률은 얼마인가?
5) 무작위로 한 학생을 뽑았더니, 그 학생의 IQ가 125 미만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이 학생이 대학에 입학할 확률은 얼마인가?
6)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이 학생의 IQ가 125 미만일 확률은 얼마인가?
7)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제공되었다. 학생들의 IQ를 고려하지 않고 또한 별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0.55 또는 55%이다. 그렇다면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0.55라는 대학입학의 확률을 바꾸게 되는가?
2) 1000명의 학생 중 임의로 한 학생을 택했을 때, 그 학생의 IQ가 125를 넘을 확률은 얼마인가?
3) 임의의 한 학생을 선정했을 때 그 학생이 대학에 합격했을 뿐만 아니라 IQ도 125를 넘을 확률은 얼마인가?
4) 임의의 한 학생을 선정했을 때 그 학생이 대학에 합격했지만 IQ는 125를 넘지 않을 확률은 얼마인가?
5) 무작위로 한 학생을 뽑았더니, 그 학생의 IQ가 125 미만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이 학생이 대학에 입학할 확률은 얼마인가?
6)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이 학생의 IQ가 125 미만일 확률은 얼마인가?
7)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제공되었다. 학생들의 IQ를 고려하지 않고 또한 별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0.55 또는 55%이다. 그렇다면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0.55라는 대학입학의 확률을 바꾸게 되는가?
본문내용
미만일 확률은 얼마인가?
답:약 0.46 또는 46%
IQ가 125 미만인 학생을 선택하는 사건을 A라 하고 대학에 합격한 학생을 선택하는 사건을 B라 한다. 사건 B가 발생했을 경우의 사건 A에 대한 확률은 사건 B에 대한 사건 A의 조건부확률이다. 따라서 이때의 조건부확률 P(A|B)를 구하면 된다.
이 문제에서 P(B)는 0.52, P(A∩B)는 0.24이므로, P(A|B)는 약 0.46 또는 46%이다.
7)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제공되었다. 학생들의 IQ를 고려하지 않고 또한 별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0.55 또는 55%이다. 그렇다면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0.55라는 대학입학의 확률을 바꾸게 되는가?
답: 바꾸게 된다.
학생의 IQ 등 여타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단순확률이다. 즉, 전체 학생 1,000명이 표본공간이며 이 표본공간 내에서 대학에 합격하는 학생을 고르는 사건(A)이 발생하는 확률을 의미한다.
만약 해당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추가 정보인 사건(B)이 제공된다면 이때는 표본공간이 변하게 된다. 전체 학생 1,000명이 아닌, IQ가 125 이상인 학생인 학생 440명이 새로운 표본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이 440명(B) 중에서 대학에 합격할 학생(A∩B)을 고르는 확률이 되므로 이는 조건부확률이다. 즉, 정보가 제공되기 전에는 단순확률, 정보가 제공된 이후에는 조건부확률이 적용되므로 대학입학의 확률은 변하게 된다.
답:약 0.46 또는 46%
IQ가 125 미만인 학생을 선택하는 사건을 A라 하고 대학에 합격한 학생을 선택하는 사건을 B라 한다. 사건 B가 발생했을 경우의 사건 A에 대한 확률은 사건 B에 대한 사건 A의 조건부확률이다. 따라서 이때의 조건부확률 P(A|B)를 구하면 된다.
이 문제에서 P(B)는 0.52, P(A∩B)는 0.24이므로, P(A|B)는 약 0.46 또는 46%이다.
7)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제공되었다. 학생들의 IQ를 고려하지 않고 또한 별다른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0.55 또는 55%이다. 그렇다면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정보가 0.55라는 대학입학의 확률을 바꾸게 되는가?
답: 바꾸게 된다.
학생의 IQ 등 여타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택한 한 학생이 대학에 합격할 확률은 단순확률이다. 즉, 전체 학생 1,000명이 표본공간이며 이 표본공간 내에서 대학에 합격하는 학생을 고르는 사건(A)이 발생하는 확률을 의미한다.
만약 해당 학생의 IQ가 125 이상이라는 추가 정보인 사건(B)이 제공된다면 이때는 표본공간이 변하게 된다. 전체 학생 1,000명이 아닌, IQ가 125 이상인 학생인 학생 440명이 새로운 표본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이 440명(B) 중에서 대학에 합격할 학생(A∩B)을 고르는 확률이 되므로 이는 조건부확률이다. 즉, 정보가 제공되기 전에는 단순확률, 정보가 제공된 이후에는 조건부확률이 적용되므로 대학입학의 확률은 변하게 된다.
추천자료
속옷 판매 창업계획서
속옷을 소비자에 맞는 주문제작과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사업
[중소기업창업론]다양한 고객의 Needs를 고려한 '언더웨어' 전문점 창업계획서(A+리포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프로그램
정신지체아의 분류, 정신지체아의 특성, 정신지체아교육의 어휘지도, 정신지체아교육의 자기...
피그말리온효과의 사례
NH농협은행 자기소개서 2021] NH농협은행 자소서 NH농협은행 자기소개서 SG 경영 실천방안 농...
지능평가에 대한 유용성과 한계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말하시오
경영통계학 ) 학생들의 IQ와 대학입시 합격률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년간 총 1000명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