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뉴노멀 시대의 인문학적상상력
주제 : 우리는 ‘뉴노멀’의 시대에 살고 있다. 21세기 초입에 9.11 테러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전지구적 위기 상황이 해체하고 재구성할 ‘정상 상태’의 의미를 가늠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표현 ‘뉴노멀’은 현대 인류문명을 정의하는 문구로 부상하였다. 그리고 현재 또 하나의 전지구적 위기인 COVID-19의 창궐로 ‘뉴노멀’은 우리의 일상적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재택근무와 비대면수업 도입은 경제와 교육 활동을 가상현실의 영역으로 옮겨 놓았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모임 인원 제한, 지역간 이동 규제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인간성의 기본 명제의 당위성을 재고하도록 종용한다. 이러한 변화는 동시에 대중의 불안심리를 가중시켜 국수주의나 인종차별, 젠더 문제, 가정폭력과 같은 고질적인 병폐를 악화시키기도 한다. 현재의 변화와 혼란은 코로나 감염증의 종식과 함께 사라지게 될까? 코로나 시대의 우리는 이전과 얼마나 달라진 세계에 살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 이후 우리는 과연 ‘새로운 정상’을 찾을 수 있을까?
‘새로운 정상’이란 어떤 형태를 갖추게 될까? 그리고 인문학은 ‘새로운 정상’을 찾고 구체화하는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자신의 논지를 뒷받침 하시오.
제목 : 코로나19의 뉴 노멀과 인문학의 역할
목차
1. '뉴 노멀'이 정의된 역사적 배경
1) 9.11 테러와 글로벌 금융위기
2) 코로나 이후 뉴 노멀
2. 코로나가 가중시킨 문제
1) 국수주의
2) 인종차별
3) 가정폭력, 장애인 학대
3. 코로나 이후 뉴 노멀
4. 인문학이 '새로운 정상'을 구체화하는데 할 수 있는 일
1) 문제 상황의 제시
2) 새로운 정상을 위한 사회적 고민과 협의 유도
5. 출처 및 참고문헌
주제 : 우리는 ‘뉴노멀’의 시대에 살고 있다. 21세기 초입에 9.11 테러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전지구적 위기 상황이 해체하고 재구성할 ‘정상 상태’의 의미를 가늠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표현 ‘뉴노멀’은 현대 인류문명을 정의하는 문구로 부상하였다. 그리고 현재 또 하나의 전지구적 위기인 COVID-19의 창궐로 ‘뉴노멀’은 우리의 일상적 개념으로 자리잡았다. 재택근무와 비대면수업 도입은 경제와 교육 활동을 가상현실의 영역으로 옮겨 놓았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모임 인원 제한, 지역간 이동 규제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인간성의 기본 명제의 당위성을 재고하도록 종용한다. 이러한 변화는 동시에 대중의 불안심리를 가중시켜 국수주의나 인종차별, 젠더 문제, 가정폭력과 같은 고질적인 병폐를 악화시키기도 한다. 현재의 변화와 혼란은 코로나 감염증의 종식과 함께 사라지게 될까? 코로나 시대의 우리는 이전과 얼마나 달라진 세계에 살고 있으며, 코로나 시대 이후 우리는 과연 ‘새로운 정상’을 찾을 수 있을까?
‘새로운 정상’이란 어떤 형태를 갖추게 될까? 그리고 인문학은 ‘새로운 정상’을 찾고 구체화하는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자신의 논지를 뒷받침 하시오.
제목 : 코로나19의 뉴 노멀과 인문학의 역할
목차
1. '뉴 노멀'이 정의된 역사적 배경
1) 9.11 테러와 글로벌 금융위기
2) 코로나 이후 뉴 노멀
2. 코로나가 가중시킨 문제
1) 국수주의
2) 인종차별
3) 가정폭력, 장애인 학대
3. 코로나 이후 뉴 노멀
4. 인문학이 '새로운 정상'을 구체화하는데 할 수 있는 일
1) 문제 상황의 제시
2) 새로운 정상을 위한 사회적 고민과 협의 유도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대부분이 코로나 예방을 위한 행동으로 스트레스와 제약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동훈 등,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2권 제4집, 2020, 2119~2156쪽 참고
이렇게 새로운 일상으로 대중들이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불안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인문학은 이를 공적 영역에서 본격적인 사회적 문제로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새로운 일상을 정상적 상황으로 전환시킬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2) 새로운 정상을 위한 사회적 고민과 협의 유도
앞서 설명한 다양하고 거대한 규모의 문제에 직면한 인문학은 새로운 정상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인문학은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한 사회 문제, 인권 문제의 실상을 파악하고 해당 문제를 공적 영역에서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로써 사회가 여러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인문학은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사회가 뉴 노멀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사회적 규범, 규칙, 정책 등은 사회 구성원들의 협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문학은 문제 상황과 심각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협의를 이끌어내야 하는 것이다.
결론을 이야기하면, 뉴 노멀 인문학은 포스트코로나(Postcorona)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인류의 문명은 대규모의 전염병에 속수무책으로 당했으며, 향후 더욱 심각한 팬데믹이나 글로벌 위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우리는 자각해야 한다. 그렇기에 거시적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인문학의 역할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구체적 사례들과 여러 사회적 문제에 하나씩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본주의의 변화, 기후위기, 세계패권의 전환 등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학은 융합과 통섭을 추구하며 기존의 인문학적 가치를 재고하여 타 학문, 타 분야와의 협력을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이다. 양해림, 위 논문, 268~272쪽 참고
5. 출처 및 참고문헌
배정환, 『코로나 시대, 미국에서의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와 증오범죄: 인종주의 담론과 사회 통제에 관한 논의』, 「경찰학연구」, 제21권 제3집, 2021.
양해림,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60권 제1집, 2021.
이동훈 등,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2권 제4집, 2020.
이미정, 『코로나19와 젠더폭력 : 가정폭력 현황과 대응』, 「여성가족패널브리프」, 제6집, 2020.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제13권, 2020.
허영섭, 『코로나 백신 전쟁』, 「대한토목학회지」, 제69권 제3집, 2021.
이렇게 새로운 일상으로 대중들이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불안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인문학은 이를 공적 영역에서 본격적인 사회적 문제로 이야기해야 한다. 또한 새로운 일상을 정상적 상황으로 전환시킬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2) 새로운 정상을 위한 사회적 고민과 협의 유도
앞서 설명한 다양하고 거대한 규모의 문제에 직면한 인문학은 새로운 정상을 정립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인문학은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한 사회 문제, 인권 문제의 실상을 파악하고 해당 문제를 공적 영역에서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로써 사회가 여러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하고 고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인문학은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사회가 뉴 노멀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사회적 규범, 규칙, 정책 등은 사회 구성원들의 협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문학은 문제 상황과 심각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협의를 이끌어내야 하는 것이다.
결론을 이야기하면, 뉴 노멀 인문학은 포스트코로나(Postcorona)에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인류의 문명은 대규모의 전염병에 속수무책으로 당했으며, 향후 더욱 심각한 팬데믹이나 글로벌 위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우리는 자각해야 한다. 그렇기에 거시적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인문학의 역할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구체적 사례들과 여러 사회적 문제에 하나씩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본주의의 변화, 기후위기, 세계패권의 전환 등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학은 융합과 통섭을 추구하며 기존의 인문학적 가치를 재고하여 타 학문, 타 분야와의 협력을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이다. 양해림, 위 논문, 268~272쪽 참고
5. 출처 및 참고문헌
배정환, 『코로나 시대, 미국에서의 아시아인에 대한 혐오와 증오범죄: 인종주의 담론과 사회 통제에 관한 논의』, 「경찰학연구」, 제21권 제3집, 2021.
양해림,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60권 제1집, 2021.
이동훈 등,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2권 제4집, 2020.
이미정, 『코로나19와 젠더폭력 : 가정폭력 현황과 대응』, 「여성가족패널브리프」, 제6집, 2020.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 대응과 그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제13권, 2020.
허영섭, 『코로나 백신 전쟁』, 「대한토목학회지」, 제69권 제3집, 2021.
추천자료
인문학적 소양의 필요성
퇴근길 인문학 수업 : 뉴노멀 [독서감상문]
코로나19와 팬데믹, 코로나19가 가져온 뉴노멀과 대처방안
[비영리기관운영관리 3학년] 1. 방송대 교재를 참고하여 한국사회에서 가정복지서비스를 제공...
인문학 읽기와 쓰기 ) 팬데믹과 뉴노멀의 시대에 접촉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또한 ...
3교과논리및논술 ) 본인의 학급(또는 유치원) 학부모에게 영유아 논리교육을 소개하는 부모교...
인문 ) 접촉의 단절과 해결방안으로써의 인문학
경영학 ) 1) 뉴노멀의 의미를 조사해서 공부하시고, 관련 정보를 수집하세요
뉴노멀 시대의 인문학적상상력 ) 21세기 초입에 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