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교육의 목적
2) 내가 생각하는 교육이란
2. 결론
2. 본론
1) 교육의 목적
2) 내가 생각하는 교육이란
2. 결론
본문내용
번역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육자는 또한 그 학생의 잠재성을 이끌어서 스스로가 답을 찾아갈 수 있는 길잡이의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다시 앞서 말한 인간 중심적인 교사란 그 학생 개개인의 인생일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 학생이 학습에 있어서 나타나는 행동, 습관 등등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춰서 번역해서 그 학습자에게 들려줘야 한다. 이제 앞으로 미래에는 인구수의 감소에 따라서 교사 대비 학생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즉 이러한 인간 중심적인 교육환경이 만들어지는 데에 있어서는 최적의 환경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교사들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관찰하고 이해해서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
우리가 하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계승인가? 창조인가? 질문을 던져본다. 우리 인간은 교육이나 삶에 있어서 한계 효용의 법칙에 따라서 발전해왔다. 나중에 커서 큰 인물이 되라는 말을 한다. 즉 우리는 어릴 때 한글 읽어보자 하고 읽고 나면 써볼까? 하고 쓰면 100점 맞자 하고 100점 맞으면 전교 1등 하자라는 한계 효용의 법칙적인 욕구 충족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전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지속해서 진화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옛 시대의 인물들이 현시대의 인물보다 뒤지는 지능을 가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그들은 그 시대에 충실한 개발자이자 창시자였을 것이다. 이에 우리는 마치 오픈 노트를 가지고 그 흘러온 인간의 역사를 학습하고 그것을 통해서 창조하고 발전하려고 한다.
이에 우리는 교육을 하는 것이다. 즉 인간이 발달해온 과정을 마치 한 장의 플래시처럼 책 속에 담아서 인간을 교육하고 그 역사를 한 번에 뛰어올라 더 높이 뛰어오르게 하기 위한 과정을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만일 교육이 없다면 인간의 발달은 원시적인 자연의 학습 방식의 마치 교과서에 나오는 인류 초창기의 모습을 가지고 발달하고 있었을 것이다. 교육이라는 것, 마치 한정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시곗바늘과 같다고 생각하지만, 그 교육은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인간이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하현숙 (2006) 한국 초등교육 목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2. 윤경아 (2007) 교과의 교육목적론 비교 교육학자와 교과교육학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3. 김선구 (1992) 교육목적으로서의 자율성과 공동체 전남대학교 대학원
교육자는 또한 그 학생의 잠재성을 이끌어서 스스로가 답을 찾아갈 수 있는 길잡이의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다시 앞서 말한 인간 중심적인 교사란 그 학생 개개인의 인생일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 학생이 학습에 있어서 나타나는 행동, 습관 등등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춰서 번역해서 그 학습자에게 들려줘야 한다. 이제 앞으로 미래에는 인구수의 감소에 따라서 교사 대비 학생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즉 이러한 인간 중심적인 교육환경이 만들어지는 데에 있어서는 최적의 환경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교사들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관찰하고 이해해서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
우리가 하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계승인가? 창조인가? 질문을 던져본다. 우리 인간은 교육이나 삶에 있어서 한계 효용의 법칙에 따라서 발전해왔다. 나중에 커서 큰 인물이 되라는 말을 한다. 즉 우리는 어릴 때 한글 읽어보자 하고 읽고 나면 써볼까? 하고 쓰면 100점 맞자 하고 100점 맞으면 전교 1등 하자라는 한계 효용의 법칙적인 욕구 충족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전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지속해서 진화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옛 시대의 인물들이 현시대의 인물보다 뒤지는 지능을 가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그들은 그 시대에 충실한 개발자이자 창시자였을 것이다. 이에 우리는 마치 오픈 노트를 가지고 그 흘러온 인간의 역사를 학습하고 그것을 통해서 창조하고 발전하려고 한다.
이에 우리는 교육을 하는 것이다. 즉 인간이 발달해온 과정을 마치 한 장의 플래시처럼 책 속에 담아서 인간을 교육하고 그 역사를 한 번에 뛰어올라 더 높이 뛰어오르게 하기 위한 과정을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만일 교육이 없다면 인간의 발달은 원시적인 자연의 학습 방식의 마치 교과서에 나오는 인류 초창기의 모습을 가지고 발달하고 있었을 것이다. 교육이라는 것, 마치 한정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시곗바늘과 같다고 생각하지만, 그 교육은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인간이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하현숙 (2006) 한국 초등교육 목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2. 윤경아 (2007) 교과의 교육목적론 비교 교육학자와 교과교육학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3. 김선구 (1992) 교육목적으로서의 자율성과 공동체 전남대학교 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