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_미디어교육_대 간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사례들을 조사하고, 교육대상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_미디어교육_대 간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사례들을 조사하고, 교육대상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세대 간 정보격차와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

2)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사례
(1) 유튜브 리터러시
(2) 유튜브 콘텐츠 큐레이팅수업

3. 결론

본문내용

업한 결과 학생들이 선정한 큐레이팅 기준은 비속어가 없고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이 없으며, 교육적이거나 재밌어야 하는 등 대부분 비슷한 기준을 세웠다. 학생 스스로 어떤 것이 좋은 콘텐츠이고 나쁜 콘텐츠인지 인지적인 판단이 가능하다는 것이지만, 인지하는 것과 실제로 미디어를 접하는 현실은 괴리감이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번에 습득되지 않으며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습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큐레이팅 기준을 선정하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단련하는 과정으로서 프로그램이 널리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세대 차이는 모든 시대에 존재해왔으며, 모든 시대에 젊은 사람들은 이전 세대와 다른 점을 형성하고 변화했지만, 동시대를 살아가면서 소통이 되지 않을 만큼의 격차가 생기지는 않았었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ICT 기술의 빠른 변화로 인해 세대 간 미디어 사용 능력과 정보력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어 문제시되고 있다. 노인세대의 디지털 고립 문제를 해결하고, 올바른 미디어 리터러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세대에 맞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세대별 교육대상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른 세대가 가진 그들만의 고유문화를 이해하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인세대는 어린아이들이 유튜브에 열광하는 이유를 알지 못하며, 온갖 말을 줄여 말하는 젊은이들의 대화를 이해하지 못해 소통할 수 없다. 이를 극복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다른 세대를 존중하고 이해하고자 교육을 통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앞서 알아본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역시 유튜브라는 미디어 하나로 갈등이 발생하는 부모와 자녀 세대의 문제를 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조사를 통해 생각보다 세대 간 미디어 격차를 좁히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각 가정에서 자녀와 부모의 잦은 대화와 사소한 정보 공유만으로도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참고문헌]
1. 설진아·강진숙 (2020). <미디어교육>, KNOU PRESS
2. [미디어교육부] 2018 미디어교육 컨퍼런스 자료집, 황용석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세대 간 디지털 격차 P.90-113
3. [미디어교육부] 2020 미디어교육 우수사례 공모전 수상작 모음집, P.3-2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10.12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6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