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회음절개와 관련된 통증
2) 간호과정 #2 회음절개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회음절개와 관련된 통증
2) 간호과정 #2 회음절개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본문내용
간기능 장애, 단백질 섭취 감소
MCV
81~99(fl)
99.3▲
▲
대적혈구성 빈혈, 비장 기능 감소
▼
철결핍성 빈혈, 소적혈구성 빈혈
MCH
27~32(fl)
33.12▲
▲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
재생불량성 빈혈
PCT
235~50%
0.17▼
▲
없음
▼
혈소판 크기 커짐, 성숙도 혈소판 증가
MPV
7.4~0.991(fl)
10.7▲
▲
혈소판 크기 거짐, 성숙도 혈소판 많아짐
▼
비장기능항진증, 재생불량성 빈혈
SEG NEU
5.0~16.5%
82.2▲
▲
세균감염, 당뇨, 심근경색
▼
발열, 설사, 감염
4. 약물
구분
성분명
(제품명)
용법용량
적응증
부작용
투약시 주의사항
혈액 대용제
Hartman
1L/Bag
IV
순환 혈액량 및 조직간 액의 감소시
폐부종
뇌부종
말초부종
천천히 정맥투여함
혈당, 혈청 전해질 체액 평형을 모니터 하여 주입
자궁수축제
Oxytocin
51u/1ml/amp
IV
분만 유도 및 진통미약
분만 후 출혈
이완성 자궁출혈
자궁퇴축부전
유산, 인공임신중절
제왕절개술
태아가사
자궁파열
경관열상
태아, 환자 상태 확인 후 신중히 투여함
가능한 소량부터 투여하여 진통 상황에 따라 증감함
국소마취제
Beracaine
0.1g/ml
표면에 사용
분만 최종 단계
회음 절개술, 회음 봉합술 부위 진통 보조
두드러기, 피부손상
저혈압
서맥
졸음, 불안, 흥분
적용부위 점막의 외상 또는 패혈증 환자에게 신중히 투여함
아미드계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에게 금기
5. 간호과정
간호진단 #1
간호진단
회음부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
“칼로 벤 것처럼 아파요”
< 객관적 자료>
진단명: confimed pregnancy
주호소: 유도분만, pain
40+3 wks 산모
12/28 회음절개 부위 통증 호소함
NRS 점수
12/28- 3점 12/29-2점
Q profen 400mg/Tab 투여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적 목표
대장사는 2일 이내 통증 완화 요법을 1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점수 1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간호계획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통증 양상을 사정한다.
회음 절개 부위를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 완화 요법을 교육한다.
통증이 지속될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좌욕 방법 및 효과를 교육한다.
간호수행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BT
PR
RR
BP
0:00
37.0
70
20
110/50
8:00
36.9
68
20
120/60
12:00
36.8
80
20
120/60
16:00
36.9
70
20
120/60
회음절개부위가 칼로 벤 것처럼 아프다고 호소하였다.
NRS 점수가 12/28 3점 측정되었다.
NRS 점수가 12/29 2점 측정되었다.
회음절개 부위를 사정하였다.
봉합되어있는 것을 사정하였고, 발적, 부음, 오로를 관찰하였다.
4. 처방에 따라 Q profen 400mg/Tab PO 하였다.
5. 통증 완화 방법으로 심호흡 및 이완요법을 교육하였다.
6. 통증 지속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7. 좌욕은 회음절개 부위 염증 예방,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38-40도로 너무 뜨겁지 않은 물에 15-20분간 회음절개 부위를 담가놓고 있으면 됨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부분달성)
- NRS 점수가 3점에서 2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통증 호소 횟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 재계획: 퇴원시까지 통증 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단기적 목표
대상사는 2일 이내 통증 완화 요법을 1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달성)
통증시 심호흡을 한다고 표현하였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점수 1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부분달성)
사정 마지막 날 NRS 2점이 측정되었다.
재계획: 지속적으로 통증 호소를 사정할 것이다.
간호진단#2
간호진단
회음절개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
없음
< 객관적 자료>
진단명: confimed pregnancy
주호소: 유도분만, pain
40+3 wks 산모
분만 위해 회음절개술 실시함
적색오로, 소량의 질 출혈
12/29- 회음 절개 부위 발적 관찰
lab 결과
WBC: 10.61
Neutrophil: 8.73
Meta kit 1g IV
(BT 이상시 BT도 추가!)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회음절개 부위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적 목표
4일 내에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 5일 내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회음부위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회음부위 봉합이 잘 되었는지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회음부위 붓거나 열감이 느껴질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절개부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1.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BT
PR
RR
BP
0:00
37.0
70
20
110/50
8:00
36.9
68
20
120/60
12:00
36.8
80
20
120/60
16:00
36.9
70
20
120/60
2. 회음절개 부위 발적을 관찰하였다. (12/29)
3. 봉합을 잘 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소량의 질 출혈이 관찰되었다. 적색오로를 사정하였다.
4. 회음부위 붓거나 열감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12/29 대상자는 회음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5. 대상자에게 절개부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6. 처방에 따라 Meta kit 1g IV 하였다.
간호평가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회음절개 부위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미달성)
회음부위 열감이 나타나며 WBC 상승 수치이기에 미달성 하였다.
재계획: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할 것이다.
단기적 목표
1.4일 내에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달성)
2. 5일 내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미달성)
12/28 WBC는 10.61dlek.
재계획: 처방된 약을 투여하여 obs 할 것이다.
MCV
81~99(fl)
99.3▲
▲
대적혈구성 빈혈, 비장 기능 감소
▼
철결핍성 빈혈, 소적혈구성 빈혈
MCH
27~32(fl)
33.12▲
▲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
재생불량성 빈혈
PCT
235~50%
0.17▼
▲
없음
▼
혈소판 크기 커짐, 성숙도 혈소판 증가
MPV
7.4~0.991(fl)
10.7▲
▲
혈소판 크기 거짐, 성숙도 혈소판 많아짐
▼
비장기능항진증, 재생불량성 빈혈
SEG NEU
5.0~16.5%
82.2▲
▲
세균감염, 당뇨, 심근경색
▼
발열, 설사, 감염
4. 약물
구분
성분명
(제품명)
용법용량
적응증
부작용
투약시 주의사항
혈액 대용제
Hartman
1L/Bag
IV
순환 혈액량 및 조직간 액의 감소시
폐부종
뇌부종
말초부종
천천히 정맥투여함
혈당, 혈청 전해질 체액 평형을 모니터 하여 주입
자궁수축제
Oxytocin
51u/1ml/amp
IV
분만 유도 및 진통미약
분만 후 출혈
이완성 자궁출혈
자궁퇴축부전
유산, 인공임신중절
제왕절개술
태아가사
자궁파열
경관열상
태아, 환자 상태 확인 후 신중히 투여함
가능한 소량부터 투여하여 진통 상황에 따라 증감함
국소마취제
Beracaine
0.1g/ml
표면에 사용
분만 최종 단계
회음 절개술, 회음 봉합술 부위 진통 보조
두드러기, 피부손상
저혈압
서맥
졸음, 불안, 흥분
적용부위 점막의 외상 또는 패혈증 환자에게 신중히 투여함
아미드계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에게 금기
5. 간호과정
간호진단 #1
간호진단
회음부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
“칼로 벤 것처럼 아파요”
< 객관적 자료>
진단명: confimed pregnancy
주호소: 유도분만, pain
40+3 wks 산모
12/28 회음절개 부위 통증 호소함
NRS 점수
12/28- 3점 12/29-2점
Q profen 400mg/Tab 투여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단기적 목표
대장사는 2일 이내 통증 완화 요법을 1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점수 1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간호계획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통증 양상을 사정한다.
회음 절개 부위를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 완화 요법을 교육한다.
통증이 지속될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좌욕 방법 및 효과를 교육한다.
간호수행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BT
PR
RR
BP
0:00
37.0
70
20
110/50
8:00
36.9
68
20
120/60
12:00
36.8
80
20
120/60
16:00
36.9
70
20
120/60
회음절개부위가 칼로 벤 것처럼 아프다고 호소하였다.
NRS 점수가 12/28 3점 측정되었다.
NRS 점수가 12/29 2점 측정되었다.
회음절개 부위를 사정하였다.
봉합되어있는 것을 사정하였고, 발적, 부음, 오로를 관찰하였다.
4. 처방에 따라 Q profen 400mg/Tab PO 하였다.
5. 통증 완화 방법으로 심호흡 및 이완요법을 교육하였다.
6. 통증 지속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7. 좌욕은 회음절개 부위 염증 예방,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38-40도로 너무 뜨겁지 않은 물에 15-20분간 회음절개 부위를 담가놓고 있으면 됨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통증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부분달성)
- NRS 점수가 3점에서 2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통증 호소 횟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 재계획: 퇴원시까지 통증 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단기적 목표
대상사는 2일 이내 통증 완화 요법을 1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달성)
통증시 심호흡을 한다고 표현하였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점수 1점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부분달성)
사정 마지막 날 NRS 2점이 측정되었다.
재계획: 지속적으로 통증 호소를 사정할 것이다.
간호진단#2
간호진단
회음절개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
없음
< 객관적 자료>
진단명: confimed pregnancy
주호소: 유도분만, pain
40+3 wks 산모
분만 위해 회음절개술 실시함
적색오로, 소량의 질 출혈
12/29- 회음 절개 부위 발적 관찰
lab 결과
WBC: 10.61
Neutrophil: 8.73
Meta kit 1g IV
(BT 이상시 BT도 추가!)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회음절개 부위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적 목표
4일 내에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2. 5일 내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회음부위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회음부위 봉합이 잘 되었는지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회음부위 붓거나 열감이 느껴질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절개부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1. V/S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BT
PR
RR
BP
0:00
37.0
70
20
110/50
8:00
36.9
68
20
120/60
12:00
36.8
80
20
120/60
16:00
36.9
70
20
120/60
2. 회음절개 부위 발적을 관찰하였다. (12/29)
3. 봉합을 잘 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소량의 질 출혈이 관찰되었다. 적색오로를 사정하였다.
4. 회음부위 붓거나 열감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12/29 대상자는 회음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5. 대상자에게 절개부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6. 처방에 따라 Meta kit 1g IV 하였다.
간호평가
장기적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회음절개 부위 감염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미달성)
회음부위 열감이 나타나며 WBC 상승 수치이기에 미달성 하였다.
재계획: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할 것이다.
단기적 목표
1.4일 내에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달성)
2. 5일 내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미달성)
12/28 WBC는 10.61dlek.
재계획: 처방된 약을 투여하여 obs 할 것이다.
추천자료
유도분만
정상분만 환자 간호사례 연구
유도분만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분만 (문헌고찰, 처치, DR에서 자주 쓰는 약물, 간호진단)
(A+) 유도분만 케이스 스터디 Induction of labor case study
[여성간호학실습] PRO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조기양막파수 케이스 스터디(CaseS...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유도분만)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간호과정, 간호진단, A+받은 Case study, 제왕절개, C-sec, 고퀄리티 자료, 여성간호실습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