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과제물)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기말과제물)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25점)
① 자신이 조선시대에 살았던 한 집안의 가장이라고 가정함.
② 생활하면서 겪는, 볼 수 있는 의례들을 적을 것. 의례 종류, 시행 이유, 모습 등을 적어줄 것
③ 의례를 진행하면서 드는 ‘나’의 생각은 어떤지 적어줄 것. 예) 의례의 장점, 개선책 등

2.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25점)
① 자신을 조선시대 살았던 인물로 상정함.
② 공부 과정, 과거를 보는 과정, 관료와 양반으로서의 활동 등을 가상하여 정리할 것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에 앞서 승문원의 면신례라는 고약한 전통을 통과해야 했다. 퇴근 후 선배집을 일일이 찾아가서 인사해야 했는데, 여러 핑계를 대며 만나주지 않아 곤혹스러웠다. 그래도 먼 훗날에는 좋은 추억으로 남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관료생활의 어려움은 업무 그 자체보다는 신입 관료로서 관복을 마련하고, 각종 의례를 수행하는 데 드는 비용의 충당이었다. 이미 처자식을 거느리고 있는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박봉에 이러한 비용의 마련은 큰 고충이 아닐 수 없었다. 다행히 부모님이 경영하시는 경작지가 있어 조금은 부담을 덜 수는 있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관원의 출근 시간은 묘시(5~7시)이고, 퇴근 시간은 유시(5~7시)이다. 해가 뜰 때 출근하고 해가 지면 퇴근한다. 가끔 숙직을 서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정하게 정해진 공유일은 없다. 경국대전에는 6품 이상은 900일, 7품 이하는 450일을 근무하면 다른 관서로 옮길 수 있다. 나는 승문원에서 수습기간을 보내고 승정원 주서가 되었다. 이때 나는 전하께 올라가는 문서의 사본을 만들었다. 특히 탄핵 상소가 올라왔을 때는 식사도 제대 못할 만큼 바빴다.
정치적 격변이 있는 시기는 나도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내가 속한 당파가 위기에 처하게 되면서, 나는 본의 아니게 사직서를 제출하고 낙향하고 싶었다. 나의 상관은 나와 당파를 달리 하므로 그 밑에서 업무를 보는 것은 그리 녹록치 않았다. 그러나 가장으로서 무책임하게 그만둘 수도 없었다. 급여로 받는 쌀과 콩으로 생계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녹패와 임명장인 관교를 가지고 한강변의 광흥창에ㅐ 가서 녹봉을 수령할 때마다,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되뇌지만 처자식을 생각하면 차마 그만둘 수 없었다.
이런 사정을 아는 친구는 오히려 어렵게 과거에 합격하고 왜 사직하느냐며 말린다. 그 친구는 과거 급제를 목표로 공부했지만, 아직 합격하지 못하고 나의 관료 생활을 부러워하는 죽마고우이다. 그는 생원시와 문과 응시만 수십 번을 했다. 그래도 양반인 이상 과거 응시는 그만둘 수 없다. 양반은 무의도식하지 않는다. 합격여부를 떠나 과거 응시는 양반의 일이기 때문이다.
주자가례에 따른 제사도 양반이라면 꼭 챙겨야 할 일이다. 물론 상례와 관련해서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유생으로서 향교와 서원을 지키고 제사를 봉행하며, 유교를 수호하고 그 이념을 실천하는 것도 양반의 본분이다. 친구는 서원 운영을 담당하는 임원으로 일하고 있다. 또한 향안에도 그 이름이 등재되어 있어 비록 과거 급제는 하지 못했지만, 나름 지역사회에서 양반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유생들은 통문을 이용하여 의사를 교환하며 자신들의 국가사회적 역할을 만들기도 한다. 조선 후기 양반들은 학교를 통하여 공론을 형성하고 정치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또한 유생들의 대회인 유회를 열어 현안을 논의하고, 때로는 집단상소인 유소를 올려 정치적인 의견을 개진한다. 아울러 유생사회 내에서 유교적 명분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는 이들을 유벌이라는 명문으로 처벌한다.
이처럼 과거 급제를 하지 못하는 양반도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야 하므로, 비록 농민처럼 고된 노동을 하지 않더라고 그 삶의 여정이 쉽지만은 않다고 할 것이다. 특히 나처럼 관료 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정치적 위기에 내몰리게 되면, 관직 유지도 어렵고, 심한 경우에는 귀양을 가거나 목숨까지 위태로울 수 있다. 그러나 나라를 평안하게 하여 백성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에 관료 생활의 의미를 두고 주어진 업무에 충실하다면, 관료 생활만큼 보람 있는 삶도 없을 것이다.
3. 참고문헌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송찬섭 외, 출판문화원, 2016.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10.23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8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