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특성-요인 상담의 과정
1) 분석
2) 종합
3) 진단
4) 예측
5) 상담
6) 추수지도
2. 상담자 관점에서 1단계인 정보 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 적용해서 상담할 것인지
1) 촉진적 관계형성 - 상담자 자기개방
2) 상담자 지각
3) 작업동맹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특성-요인 상담의 과정
1) 분석
2) 종합
3) 진단
4) 예측
5) 상담
6) 추수지도
2. 상담자 관점에서 1단계인 정보 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 적용해서 상담할 것인지
1) 촉진적 관계형성 - 상담자 자기개방
2) 상담자 지각
3) 작업동맹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적 자기개방을 뜻하며 즉시성, 자기 관여적 진술의 의미와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상담자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정서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내담자가 지각하게 되면, 내담자의 자기직면이 증가하고 또 상담과정에 관여되었다는 느낌을 보다 많이 가지게 된다고 보고되었다. 인본주의적 입장에서도 상담자의 자기개방을 긍정적으로 접근한 대목을 찾을 수 있다. 인본주의적 상담에서는 상담자의 바람직한 태도로 투명성(transparency), 신빙성(authenticity), 일치성(congruency), 진실성(genuineness)을 강조한다. 이는 상담자가 상담과정 중에 자신의 내면적인 경험이나 감정상태의 흐름, 느낌, 지금 여기에서 올라오는 감정 등을 인식하고 자신을 꾸밈 없이 드러내는 것을 뜻한다. 자기개방을 통해 진솔하게 상담자 자신의 지각을 일치되게 표현하는 것이 상담자의 태도로 요구되는 것이다. 즉 상담자의 태도로 바람직하게 요구되는 것은 상담장면에서 상담자 자신 역시 한 인간으로 나타내면서, 내담자를 한 인간으로 받아들여 총체적인 만남을 할 수 있도록 북돋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특성요인 상담의 과정을 단계별로 서술하고 상담자 관점에서 1단계인 정보 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 적용해서 상담할 것인지 서술해 보았다. 내담자들은 자신을 개방을 하는 상담자에게 불편한 마음을 드러내는 것이 쉽지 않다. 내담자들은 상담이 종결될 무렵에서야 상담자에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러한 내담자의 자기표현은 권위자와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치료적인 체험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내담자들은 또한 상담자에 대한 불편함을 표현하지 않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상담자라는 권위자에게 자신의 견해를 말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생길 불편한 관계를 피하고자하는 마음, 혹은 상담자의 이야기를 잘 들어줌으로써 상담자에게 친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들이 작용한다. 내담자들은 자신을 개방하는 상담자를 한 사람의 인간으로 이해하면서 상담자에게 불편했던 마음을 통합해 간다.
김계현 (2003).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석만 (2015).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주은선 (2001). 상담의 기술. 서울;학지사.
이성철 (2011). 내담자의 심리적 기능과 상담자의 이론적 접근이 상담자 및 상담회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특성요인 상담의 과정을 단계별로 서술하고 상담자 관점에서 1단계인 정보 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 적용해서 상담할 것인지 서술해 보았다. 내담자들은 자신을 개방을 하는 상담자에게 불편한 마음을 드러내는 것이 쉽지 않다. 내담자들은 상담이 종결될 무렵에서야 상담자에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러한 내담자의 자기표현은 권위자와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치료적인 체험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내담자들은 또한 상담자에 대한 불편함을 표현하지 않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상담자라는 권위자에게 자신의 견해를 말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 그것을 표현함으로써 생길 불편한 관계를 피하고자하는 마음, 혹은 상담자의 이야기를 잘 들어줌으로써 상담자에게 친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들이 작용한다. 내담자들은 자신을 개방하는 상담자를 한 사람의 인간으로 이해하면서 상담자에게 불편했던 마음을 통합해 간다.
김계현 (2003).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석만 (2015).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주은선 (2001). 상담의 기술. 서울;학지사.
이성철 (2011). 내담자의 심리적 기능과 상담자의 이론적 접근이 상담자 및 상담회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추천자료
[청소년상담] 청소년상담의 이론과 실제
교육연구방법 연습문제 1장~13장
[전자상거래]전자상거래(EC) 소비자피해의 유형, 전자상거래(EC) 거래단계별 소비자피해, 전...
[사회복지상담 분야] 사회복지상담의 종류
가족 상담을 위한 기법으로 가족 구조에 대한 사정 및 사정도구에 대한 예시와 장단점을 논...
성인학습 및 상담론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이론을 비...
[보건교육 기말과제 2022] 1. 학교(학생집단), 사업장(근로자집단), 지역사회(취약집단) 중 ...
상담심리학 ) 특성-요인 상담의 과정을 단계별로 서술하고 상담자 관점에서 1단계인 정보수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