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찰소견
5) 검사소견
6) 치료
7) 판막 치환술
Ⅱ. Case Study
1. 사정
2. 진단적 검사결과
3. 약물치료 현황
4. Operation Record
Ⅲ. 간호과정
1)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찰소견
5) 검사소견
6) 치료
7) 판막 치환술
Ⅱ. Case Study
1. 사정
2. 진단적 검사결과
3. 약물치료 현황
4. Operation Record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2. 진단적 검사결과
검사명
검사항목
검사결과(6/8)
검사결과(6/9)
정상수치
CBC
WBC
5.82
5.63
5.2 ~ 12.4 천/μℓ
RBC
4.31
4.63
4.2 ~ 6.1 백만/μℓ
HGB
12.2
13.00
12 ~ 18 g/dL
HCT
36.8 (철 결핍성 빈혈, 부종 의심)
39.9
37 ~ 52 %
MCV
85.2
86.2
80 ~ 99 fL
MCH
28.3
28.00
27 ~ 31 Pg
MCHC
33.3
32.5 (철분 결핍성 빈혈)
33 ~ 37 g/dl
PLT
217
252.00
130 ~ 400 천/μℓ
Electrolyte
Na
141
141
135 ~ 145 mmol/L
K
4.0
3.4 (울혈성 심부전증, 이뇨제 사용)
3.5 ~ 5.0 mmol/L
Cl
104
100
96 ~ 110 mmol/L
LFT
Total protein
7.3
6.4 ~ 8.3 g/dl
Albumin
4.4
3.5 ~ 5.0 g/dl
Cholesterol
205
125 ~ 250 mg/dl
bilirubin
0.5
0.2 ~ 1.0 mg/dl
RFT
BUN
25
4.7 ~ 23.4 mg/dl
Creatinine
0.8
0.6 ~ 1.5 mg/dl
3. 약물치료 현황
약명
용량과 용법
효능
부작용
금기
Capril tab 12.5mg
1. 고혈압 : 1회 25mg 1일 2회 또는 1일 1회 50mg을 식사 1시간 전 경구 투여
2. 울혈성 심부전 : 1회 25mg 1일 3회 투여
3. 신 장애 환자 : 초회 1일량을 감량하며 1-2주 간격으로 매우 천천히 증량
4. 당뇨병성 신중 : 1회 25mg 1일 3회 투여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신중
빈혈, 혈소판 감소, 호산구 증가, 신부전, 다뇨증, 핍뇨증, 빈뇨, 신증후군, 과민증, 두통, 구역, 구토 심계항진, 서맥, 흉통 등
과민증,
혈관부종,
신장이식 후,
소아,
임부,
수유부
Dichlozid 25mg
1. 부종 : 1회 25-100mg 1일 1-2회 경구투여
2. 고혈압 : 1일 25-50mg 1-2회 분할투여
3. 월경 전 긴장증 : 1회 25-50mg 1일 1-2회 투여
혈압, 악성 고혈압, 심성 부종(울혈성 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부신피질호르몬, 에스트로겐에 의한 부종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구역, 구토, 변비, 어지러움, 두통, 황달, 간염, 호흡곤란, 발진 등
간 기능 장애, 무뇨, 급성 또는 중증의 신부전 환자, 애디슨 병, 고칼슘혈증 환자 등
Cough syr-s 1ml
1회 20ml 1일 3-4회 식후 및 취침 시 복용
기침 및 가래
발진, 발적, 구역, 구토, 변비, 식욕부진 등
알러지 체질, 간, 신장, 당뇨 있는 환자, 심장장애 환자, 임부, 수유부
4. Operation Record
1) op procedure
other replacement of mitral valve
2) pre op (수술 전 간호)
약명
투여방법
효능
부작용
금기
Tabinul inj 0.2mg
마취유도시간 30-60분 전
체중 kg당 0.004mg
근육주사
1. 수술 전 타액분비, 인두 분비, 위액의 유리산 분비 감소
2. 심장 미주신경 억제 반사의 방지
구갈, 배뇨장애, 요 저류, 안압증가, 빈맥, 두통, 졸음, 구역, 구토 등
녹내장, 폐쇄성 요 질환 환자,
마비성 장 폐색,
근 무력증 환자 등
Midazolam inj 5mg
체중 kg당 0.2mg
근육주사
1. 수술 전 진정 및 수술 전후의 기억력 장애목적으로 근육주사
2. 전신마취 유도목적으로 정맥주사
두통, 동통, 구토, 변비, 구강건조, 신경과민, 호흡곤란, 졸음 등
과민증,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쇼크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 등
Morphine
10mg
1회 5-10mg 피하주사
1. 심한 통증의 완화
2. 심한 기침 발작의 진정
3. 전신마취의 보조
의존성, 호흡억제, 무기폐, 어지러움, 두통, 부정맥, 발진, 배뇨장애 등
중증 호흡억제 환자, 천식발작 지속상태 환자, 중증 간장애 환자, 경련상태 환자 등
Pre- medication given (YES)
수술동의서 (YES)
금식 (YES)
수술부위 피부준비 (YES)
의치 제거 (YES)
콘택트렌즈, 보청기 (해당 없음)
배뇨 - self voiding (YES)
방사선, EKG (YES)
혈액 - 준비용 (YES) Packed Red cells (5)
- 환자와 함께 보냄 (YES) Fresh Frozen plasma (3)
수술 전 vital sign 측정 기록 (YES)
몸무게, 키 측정 기록 (YES)
수술 직후
활력징후
T 36.3
P 78
R 16
BP 100/60
수면
통증으로 인해
얕은 수면
정서
통증 호소
불쾌함
신체적 운동
침상안정
3) post op (수술 후 간호)
Ⅲ. 간호과정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S : \"수술은 어떻게 이루어지죠?\"
O : 수술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함.
수술절차와 관련된 지식부족
심장의 구조와 판막 수술에 대해 설명한다.
수술과 관련된 사항들을 설명한다.
매뉴얼을 만들어 보여드린다.
수술 전 준비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다.
(단순한 용어를 사용하며 판막 수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예상되는 것에 대한 지식으로 불안 감소에 도움이 되었을뿐더러
어느 정도 수술절차를 설명하실 수 있었다.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s : \"아이고야,
너무 아픈데
괜찮은 거지요?.\"
o : 긴장상태임,
안면긴장상태, 활력징후 측정, 불안, 감정이 불 안정함
수술 후 통증을 견디는 능력 부족과 관련된 불안
수술 후 통증에 대해 설명한다.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수술 후 통증에 대해서 경청을 하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간호사에게 알려주었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이완요법은 통증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가르쳐 드렸다.)
얼굴 표정에서 어느 정도 차츰 안정을 찾아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했다.
검사명
검사항목
검사결과(6/8)
검사결과(6/9)
정상수치
CBC
WBC
5.82
5.63
5.2 ~ 12.4 천/μℓ
RBC
4.31
4.63
4.2 ~ 6.1 백만/μℓ
HGB
12.2
13.00
12 ~ 18 g/dL
HCT
36.8 (철 결핍성 빈혈, 부종 의심)
39.9
37 ~ 52 %
MCV
85.2
86.2
80 ~ 99 fL
MCH
28.3
28.00
27 ~ 31 Pg
MCHC
33.3
32.5 (철분 결핍성 빈혈)
33 ~ 37 g/dl
PLT
217
252.00
130 ~ 400 천/μℓ
Electrolyte
Na
141
141
135 ~ 145 mmol/L
K
4.0
3.4 (울혈성 심부전증, 이뇨제 사용)
3.5 ~ 5.0 mmol/L
Cl
104
100
96 ~ 110 mmol/L
LFT
Total protein
7.3
6.4 ~ 8.3 g/dl
Albumin
4.4
3.5 ~ 5.0 g/dl
Cholesterol
205
125 ~ 250 mg/dl
bilirubin
0.5
0.2 ~ 1.0 mg/dl
RFT
BUN
25
4.7 ~ 23.4 mg/dl
Creatinine
0.8
0.6 ~ 1.5 mg/dl
3. 약물치료 현황
약명
용량과 용법
효능
부작용
금기
Capril tab 12.5mg
1. 고혈압 : 1회 25mg 1일 2회 또는 1일 1회 50mg을 식사 1시간 전 경구 투여
2. 울혈성 심부전 : 1회 25mg 1일 3회 투여
3. 신 장애 환자 : 초회 1일량을 감량하며 1-2주 간격으로 매우 천천히 증량
4. 당뇨병성 신중 : 1회 25mg 1일 3회 투여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신중
빈혈, 혈소판 감소, 호산구 증가, 신부전, 다뇨증, 핍뇨증, 빈뇨, 신증후군, 과민증, 두통, 구역, 구토 심계항진, 서맥, 흉통 등
과민증,
혈관부종,
신장이식 후,
소아,
임부,
수유부
Dichlozid 25mg
1. 부종 : 1회 25-100mg 1일 1-2회 경구투여
2. 고혈압 : 1일 25-50mg 1-2회 분할투여
3. 월경 전 긴장증 : 1회 25-50mg 1일 1-2회 투여
혈압, 악성 고혈압, 심성 부종(울혈성 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부신피질호르몬, 에스트로겐에 의한 부종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구역, 구토, 변비, 어지러움, 두통, 황달, 간염, 호흡곤란, 발진 등
간 기능 장애, 무뇨, 급성 또는 중증의 신부전 환자, 애디슨 병, 고칼슘혈증 환자 등
Cough syr-s 1ml
1회 20ml 1일 3-4회 식후 및 취침 시 복용
기침 및 가래
발진, 발적, 구역, 구토, 변비, 식욕부진 등
알러지 체질, 간, 신장, 당뇨 있는 환자, 심장장애 환자, 임부, 수유부
4. Operation Record
1) op procedure
other replacement of mitral valve
2) pre op (수술 전 간호)
약명
투여방법
효능
부작용
금기
Tabinul inj 0.2mg
마취유도시간 30-60분 전
체중 kg당 0.004mg
근육주사
1. 수술 전 타액분비, 인두 분비, 위액의 유리산 분비 감소
2. 심장 미주신경 억제 반사의 방지
구갈, 배뇨장애, 요 저류, 안압증가, 빈맥, 두통, 졸음, 구역, 구토 등
녹내장, 폐쇄성 요 질환 환자,
마비성 장 폐색,
근 무력증 환자 등
Midazolam inj 5mg
체중 kg당 0.2mg
근육주사
1. 수술 전 진정 및 수술 전후의 기억력 장애목적으로 근육주사
2. 전신마취 유도목적으로 정맥주사
두통, 동통, 구토, 변비, 구강건조, 신경과민, 호흡곤란, 졸음 등
과민증,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쇼크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 등
Morphine
10mg
1회 5-10mg 피하주사
1. 심한 통증의 완화
2. 심한 기침 발작의 진정
3. 전신마취의 보조
의존성, 호흡억제, 무기폐, 어지러움, 두통, 부정맥, 발진, 배뇨장애 등
중증 호흡억제 환자, 천식발작 지속상태 환자, 중증 간장애 환자, 경련상태 환자 등
Pre- medication given (YES)
수술동의서 (YES)
금식 (YES)
수술부위 피부준비 (YES)
의치 제거 (YES)
콘택트렌즈, 보청기 (해당 없음)
배뇨 - self voiding (YES)
방사선, EKG (YES)
혈액 - 준비용 (YES) Packed Red cells (5)
- 환자와 함께 보냄 (YES) Fresh Frozen plasma (3)
수술 전 vital sign 측정 기록 (YES)
몸무게, 키 측정 기록 (YES)
수술 직후
활력징후
T 36.3
P 78
R 16
BP 100/60
수면
통증으로 인해
얕은 수면
정서
통증 호소
불쾌함
신체적 운동
침상안정
3) post op (수술 후 간호)
Ⅲ. 간호과정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S : \"수술은 어떻게 이루어지죠?\"
O : 수술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함.
수술절차와 관련된 지식부족
심장의 구조와 판막 수술에 대해 설명한다.
수술과 관련된 사항들을 설명한다.
매뉴얼을 만들어 보여드린다.
수술 전 준비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다.
(단순한 용어를 사용하며 판막 수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예상되는 것에 대한 지식으로 불안 감소에 도움이 되었을뿐더러
어느 정도 수술절차를 설명하실 수 있었다.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s : \"아이고야,
너무 아픈데
괜찮은 거지요?.\"
o : 긴장상태임,
안면긴장상태, 활력징후 측정, 불안, 감정이 불 안정함
수술 후 통증을 견디는 능력 부족과 관련된 불안
수술 후 통증에 대해 설명한다.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수술 후 통증에 대해서 경청을 하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간호사에게 알려주었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이완요법은 통증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가르쳐 드렸다.)
얼굴 표정에서 어느 정도 차츰 안정을 찾아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했다.
추천자료
(간호학과) 내과병동 제2형 당뇨 환자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
자궁근종, 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동맥경화, 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스터디...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척추협착증 케이스스터디> 진단명 Spinal stenosis (척추 협착증) / 수술명 L2,3,4,5 Lami...
폐결핵 케이스 (Tuberculosis CASE STUDY), 폐결핵 간호진단, 폐결핵 간호과정, TB case TB ...
분만실 케이스스터디, 급성통증, 불안, 간호진단, cpd, 제왕절개
정신간호실습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조현병) 케이스스터디(ca...
간호학과실습 반월상연골파열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포함)
폐렴으로 인한 폐포-모세혈관막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