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정벌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선정벌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전쟁의 발단
3. 조선의 상황
4. 청나라와 러시아의 목표
5. 전쟁의 발발 및 결과
6. 평가

본문내용

를 약탈하여 쿠마르스크 요새를 사수함
ㆍ1658년, 청나라는 대규모 토벌을 재차 계획함
- 청나라는 재차 샤르후다를 총지휘관으로 선임함
- 조선에 파병을 요구해 포수를 지원받음(재차 신유장군을 중심으로 1차 나선정벌 때의 2배인 200명의 군사를 파병)
ㆍ조선 조총부대는 러시아와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움
- 러시아군은 조선 조총부대가 넓은 모자를 써서 머리가 커 보였던 관계로 대두인(나나이)이라고 부름
ㆍ샤르후다의 2차 나선 정벌군의 러시아 원정대 선단 급습
- 러시아에 엄청난 타격을 줌
- 카자크인 270명 전사
- 차르 알렉세이 1세에 바칠 국고 소유 담비 가죽 3,800장, 대포 6문, 화약, 납, 군사 무기, 식량을 실은 배가 파괴
- 조선군은 전사자 7명, 중상자 25명
- 청군은 전사자 110명, 부상자 200명
→ 조청 연합군의 대승
6. 평가
ㆍ1차 : 7일 만에 적군을 패퇴시키고 조선군은 1654년 6월에 본국으로 개선
- 루스 차르국 소속 카자크족은 조선 포수의 위력에 두려움에 떨었음
ㆍ2차 : 10여 척의 배를 앞세우고 공격해오는 러시아군에 총과 불화살로 맞서 싸워 대승을 거둠
→ 전쟁 이후, 청과 러시아는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국경을 확정을 지음
ㆍ매우 소규모 전투였으며 청나라의 요구로 어쩔 수 없이 전쟁을 치렀다는 점에 큰 의미가 부여되지 않은 전쟁
ㆍ조선은 나선정벌을 통해 얻은 이익이 없음
ㆍ청군은 2차 정벌에 매우 많은 물자를 동원했으며 무기고를 불리고자 했기 때문에 조선에 전리품을 주는 데 매우 인색했음
ㆍ200년간의 평화 기간의 시작 이전 마지막 군대 실전경험을 얻은 정도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1.01
  • 저작시기202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2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