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재아교육] 영재아동 교수방법 및 전략
I.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
II. 영재의 창의성 함양을 위한 주요 교수전략
1. 확산적 사고 전략
2. 브레인스토밍
3. 속성 열거와 재 정의
4. 대안탐색
III. 키팅의 창의력 구성요소
IV. 교육과정 요소
* 참고문헌
I.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
II. 영재의 창의성 함양을 위한 주요 교수전략
1. 확산적 사고 전략
2. 브레인스토밍
3. 속성 열거와 재 정의
4. 대안탐색
III. 키팅의 창의력 구성요소
IV. 교육과정 요소
* 참고문헌
본문내용
,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내용의 학습이 효과적이다. 또한 개념체제 중심으로 전체적인 내용의 범위를 정하고 구조화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개념체제 중심의 교육은 아이디어 적용을 일반화하고 통합화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시키기 때문이다.
둘째, 과정의 조절은 높은 지적활동을 요구하는 과정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높은 수준의 반응을 요구하는 질문, 탐구력을 자극하는 질문, 조사와 발견중심의 활동 등이 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학생의 연령과 수준에 적합하게 과정이 계획되었더라도 더욱 복합적이고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과정에서 격려해야 한다.
고등사고를 할 수 있도록 자극하고 격려하는 교사의 역할이 학습과정에서 배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룹 간의 상호작용, 가상실험, 학습 속도의 융통성, 학습자의 자기조절 능력이 학습과정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환경조절은 탐구활동을 격려하고 독립심을 강조하는 폭넓은 다양한 자료의 수집을 요구하는 학습자 중심의 환경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영재들은 능동적이며 수용적인 학습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영재학생들은 이러한 학습 환경에서 매우 복합적인 학습활동을 하게 되며 자신의 경험을 폭넓은 분야와 관련시킬 수 있게 된다.
질문과 독립적인 연습을 격려하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가 배려해야 한다. 보다 뛰어난 능력을 필요로 하는 심의 있는 학업을 가르쳐야 한다.
넷째, 생산의 조절은 결과의 기대와 학생 반응의 조절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학습한 것, 즉 습득한 지식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명하고 보여 줄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문제의 핵심을 찾아내고 문제에 관심을 갖고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정보를 요약하는 것도 좋지만, 종합하여 자기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또한 패소우(Passow, 1982)는 영재아동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첫째, 내용은 보다 복잡하고 복합적이며, 학습의 주요 아이디어와 문제를 중심으로 교차적 사고를 요하는 통합적 주제중심으로 구조화되어야 한다. 둘째, 생산적 사고능력, 일반적 지식의 재개념화, 새로운 지식의 일반화 등이 허용되어야 한다. 셋째, 영재들에게 지속적인 지식과 정보의 변화, 개방된 세계에서 지식추구의 가치 등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자신의 의견을 제안하고 표현하는 것이 격려되어야하며 적합하고 특별한 자료의 선택과 사용이 수용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과 발전을 위한 시도와 방향을 정해야 한다. 여섯째, 학습자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 사회조직, 자연, 문화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을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교육과정 계획의 원리, 고등사고, 능력의 강조, 창의성, 우수한 결과와 성과 등이 어느 정도 수행되었는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둘째, 과정의 조절은 높은 지적활동을 요구하는 과정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높은 수준의 반응을 요구하는 질문, 탐구력을 자극하는 질문, 조사와 발견중심의 활동 등이 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학생의 연령과 수준에 적합하게 과정이 계획되었더라도 더욱 복합적이고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과정에서 격려해야 한다.
고등사고를 할 수 있도록 자극하고 격려하는 교사의 역할이 학습과정에서 배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룹 간의 상호작용, 가상실험, 학습 속도의 융통성, 학습자의 자기조절 능력이 학습과정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환경조절은 탐구활동을 격려하고 독립심을 강조하는 폭넓은 다양한 자료의 수집을 요구하는 학습자 중심의 환경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영재들은 능동적이며 수용적인 학습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영재학생들은 이러한 학습 환경에서 매우 복합적인 학습활동을 하게 되며 자신의 경험을 폭넓은 분야와 관련시킬 수 있게 된다.
질문과 독립적인 연습을 격려하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가 배려해야 한다. 보다 뛰어난 능력을 필요로 하는 심의 있는 학업을 가르쳐야 한다.
넷째, 생산의 조절은 결과의 기대와 학생 반응의 조절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학습한 것, 즉 습득한 지식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명하고 보여 줄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문제의 핵심을 찾아내고 문제에 관심을 갖고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정보를 요약하는 것도 좋지만, 종합하여 자기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또한 패소우(Passow, 1982)는 영재아동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첫째, 내용은 보다 복잡하고 복합적이며, 학습의 주요 아이디어와 문제를 중심으로 교차적 사고를 요하는 통합적 주제중심으로 구조화되어야 한다. 둘째, 생산적 사고능력, 일반적 지식의 재개념화, 새로운 지식의 일반화 등이 허용되어야 한다. 셋째, 영재들에게 지속적인 지식과 정보의 변화, 개방된 세계에서 지식추구의 가치 등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자신의 의견을 제안하고 표현하는 것이 격려되어야하며 적합하고 특별한 자료의 선택과 사용이 수용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과 발전을 위한 시도와 방향을 정해야 한다. 여섯째, 학습자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과 타인, 사회조직, 자연, 문화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을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교육과정 계획의 원리, 고등사고, 능력의 강조, 창의성, 우수한 결과와 성과 등이 어느 정도 수행되었는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학습부진아와 영재아의 특성과 교육적 시사점
영재교육의 방법과 자료
특수아의 이해(정서행동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영재아)
특수교육의 정의와 향후대책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목표,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교수학습방법, ...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영재교육프로그램의 목표, 영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영재교육프...
영재교육의 필요성, 영재교육의 법적 근거, 영재교육의 대상자 선발, 영재교육의 프로그램 개...
영재교육수업전략, 물레방아수업전략(교육전략), 웹기반수업전략(교육전략), 교육용 소프트웨...
[교육심리학] 영재학생(英才學生)에 대한 이해 - 영재의 정의와 영재학생의 판별 및 영재학생...
교사의 질문전략을 유형별로 설명해보시오. [질문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