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강화도로 거점 이동
3. 전도로 거점 이동
4. 제주도에서의 마지막 저항
5. 결과 및 평가
2. 강화도로 거점 이동
3. 전도로 거점 이동
4. 제주도에서의 마지막 저항
5. 결과 및 평가
본문내용
여 세 갈래로 진도 침략
- 진압군의 좌군과 우군의 측면 공격으로 인해 괴멸적 타격을 입음
→ 진도 정권이 수립된 지 9개월 만에 함락당함
→ 배중손은 진도 남도 산성에서 전사
ㆍ1271년 말, 삼별초의 김통정이 지휘하는 잔여 세력
- 제주도로 거점을 옮겨 항쟁을 지속함
4. 제주도에서의 마지막 저항
ㆍ제주도로 거점을 옮긴 뒤, 1년간 자체 조직 정비와 방어시설 구축에 주력
ㆍ1272년 말부터 전라도 연안을 시작으로 군사 활동
전개
- 1273년 초, 충청도와 경기도 연안까지 세력 확장
→ 개경 근처까지 군사 활동을 전개하며 고려 조정 위협
ㆍ1273년(원종 14년), 여몽 연합군의 반격
→ 탐라(제주도) 내 삼별초 붕괴
5. 결과 및 평가
ㆍ몽골은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여 1273년에서 1290년까지 몽골령으로 직접 통치함
- 목마장을 설치하여 마필 수요 충당
ㆍ삼별초의 항쟁
- 외세 침략에 대항하여 민족의 자주성을 보여준 영웅적인 행위로 추앙 받음
- 최씨 정권의 사병 집단으로 단순히 고려 조정에 반기를 들었던 역적 무리라고 평가하는 시각 존재
ㆍ오늘날 제주도와 진도, 강화도에는 삼별초의 항쟁을 기리는 기념물이 설치되어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음
- 진압군의 좌군과 우군의 측면 공격으로 인해 괴멸적 타격을 입음
→ 진도 정권이 수립된 지 9개월 만에 함락당함
→ 배중손은 진도 남도 산성에서 전사
ㆍ1271년 말, 삼별초의 김통정이 지휘하는 잔여 세력
- 제주도로 거점을 옮겨 항쟁을 지속함
4. 제주도에서의 마지막 저항
ㆍ제주도로 거점을 옮긴 뒤, 1년간 자체 조직 정비와 방어시설 구축에 주력
ㆍ1272년 말부터 전라도 연안을 시작으로 군사 활동
전개
- 1273년 초, 충청도와 경기도 연안까지 세력 확장
→ 개경 근처까지 군사 활동을 전개하며 고려 조정 위협
ㆍ1273년(원종 14년), 여몽 연합군의 반격
→ 탐라(제주도) 내 삼별초 붕괴
5. 결과 및 평가
ㆍ몽골은 제주도에 탐라총관부를 설치하여 1273년에서 1290년까지 몽골령으로 직접 통치함
- 목마장을 설치하여 마필 수요 충당
ㆍ삼별초의 항쟁
- 외세 침략에 대항하여 민족의 자주성을 보여준 영웅적인 행위로 추앙 받음
- 최씨 정권의 사병 집단으로 단순히 고려 조정에 반기를 들었던 역적 무리라고 평가하는 시각 존재
ㆍ오늘날 제주도와 진도, 강화도에는 삼별초의 항쟁을 기리는 기념물이 설치되어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