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1
2. 하고 싶은 말2
1) 레위기 서론2
2) 레위기 25장 개관4
3) 자신에게 팔려 온 동족에 관한 규례6
4) 이방인에게 팔린 동족에 관한 규례9
5) 출 21장을 통해서 본 종에 관한 규례12
6) 레 25장의 고엘제도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15
3. 나가면서18
4. 인용문헌19
2. 하고 싶은 말2
1) 레위기 서론2
2) 레위기 25장 개관4
3) 자신에게 팔려 온 동족에 관한 규례6
4) 이방인에게 팔린 동족에 관한 규례9
5) 출 21장을 통해서 본 종에 관한 규례12
6) 레 25장의 고엘제도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15
3. 나가면서18
4. 인용문헌19
본문내용
구속사의 완성으로서 하나님과 형제들로 더불어 성도가 누릴 완전한 자유와 복락의 상태를 미리 예시해 주고 있는 것이다.
2. 고엘제도와 예수 그리스도
레위기 25장에 나타난 종에 관한 규례는 수직적인 관계를 회복한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수평적인 관계를 회복해야만 했다. 그것에 대한 규례가 바로 종에 대한 규례들이었다. 언약 공동체인 이스라엘 백성 사이에는 지배계급이나 피지배계급이 있을 수는 없었다. 오직 평등만이 존재하므로 비록 종의 입장으로 팔리는 경우가 있다라더라도 그들에게는 계약 공동체의 일원으로써의 권리가 존재했다.
이것은 선택받은 하나님의 공동체의 일원이 된 자는 절대로 유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지위는 절대로 종의 입장으로 비하되지 않는다. 한번 구원 받은 성도는 절대로 사단의 손아귀로 유기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이 된 경우 근족이 대신 물러줄 수 있는 고엘 제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한다. 레위기를 통해서 나타나는 제사의 제도는 댓가를 지불하고 속량한다는 의미에 있어서 고엘 제도와도 연결되는 것이다.
본문에서 \'무르다\'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게울라( )\'는 \'해방시키다\', \'구속하다\'는 뜻으로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원래의 권리를 회복시키는 것\'을 말한다.
) 제자원 編, 그랜드 종합 주석 2: 출애굽기.레위기, p. 816.
고엘 제도를 통해서 가까운 근족이 댓가를 지불하고 종의 지위로 전락했던 동족을 자유인의 지위로 해방시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통해서 죄의 압제 아래 놓였던 자신의 백성들을 구속하는데서 절정을 이루었다.
) Ibid., 같은 쪽.
무르시게 하는 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은 그리스도께서 성도의 친족이 되셔서(요 20:17 ; 히 2:14-16) 오직 성도를 무르시고 속량하실 능력을 갖고 계신(렘 50:34) 예수께서 성도를 속량하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셔서(갈 4:4,5) 당신의 피 값으로 성도를 속량하심으로 완성되었다(고전 6:19,20 ; 벧전 1:18,19).
) Ibid., p. 812.
따라서 속량을 받은 성도들은 더 이상 종의 위치에 있지 않다. 이제는 죄의 법 아래서 해방되어 자유인으로써 거리낄 것이 없다. 오직 하나님만을 섬기며 자유로운 가운데 품군으로 일하게 된다. 그러나 품군으로써의 성도들은 압박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 가운데서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우리는 더 이상 죄의 법 아래 있지 않으며, 자유자로써 절대로 종의 위치로 비하될 수 없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들의 근족이 되셔서 우리를 대신해서 죄인으로써 사단의 종 되어서 스스로의 힘으로써는 속전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에 십자가의 사역을 통해서 우리를 구속하셨다. 따라서 우리는 거룩한 백성의 공동체에 속한 자로써 자유자로 살아가야만 할 것이다.
나가면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인도하시고, 영원히 자신만을 섬길 수 있는 품군으로 삼으셨다. 그리고 이스라엘이라는 언약 공동체에 대해 하나님 자신이 거룩함과 같이 거룩할 것을 요구하셨다. 그리고 그러한 성결과 거룩을 위해 제사제도와 여러 가지 규례들을 계시해 주셨다.
레위기 25장에 나타나는 종에 대한 규례는 구속함을 받은 성도들의 지위에 대해 명확하게 보여주는 본문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미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다른 이들의 종이 될 수 없다.
경제적인 이유로 빈한하게 되어 잠정적으로 종의 지위로 전락할 수는 있으나 안식년이나 희년이 이르면 이들은 자유하게 된다. 혹은 속전할 길이 있을 때 그들은 자유인으로 해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면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서 사단의 종으로 전락한 그의 백성들을 구속하기 위해서 죄의 댓가를 지불하시고 성도들을 구속하심으로써 그들을 자유케 하셨다.
우리가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서 잠시 죄의 종이 되어질 수는 있어도 우리는 영원히 죄의 종으로 남지는 않는다. 레위기 25장에 등장하는 고엘제도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하는 그림자와도 같은 것이었다.
신약은 구약을 가리키는 이정표와도 같은 것인지 모른다. 신약 시대에 우리가 예수를 믿어 모든 죄를 사함을 받는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의 근족이 되어 우리를 해방하는 고엘제도의 정점이 되셨다는 것이다. 또한 그럴 때에 참된 희년이 도래하여 종 되었던 자들이 해방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예수께서는 우리의 근족이 되시고, 우리를 속량하시기 위해서 자신을 그 댓가로 지불하셨으며, 그로 인해서 우리에게 참된 자유와 해방의 희년을 가져다 주신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인용문헌
◈ 단행본
. Archer.,Gleason L. Old Testment introduction. 김정우 譯.
『구약총론』.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5.
. Packer., James I. Daily Life in Bible Times. 노광우 譯.『성서 시대의 일상생활』.
서울: 성광문화사. 1993.
. 유재원. 『모세오경』. 서울: 솔로몬. 1998.
◈ 각종 주석
. Durham., John I.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3: Exodus.
손석태 채천석 譯. 출애굽기. 서울: 솔로몬 출판사. 2001.
. 강병도 編. 호크마 종합 주석 2: 출애굽기. 서울: 기독 지혜사. 1990.
. 김득중 譯. 카일-델리취 구약주석 3: 레위기. 서울: 기독교문화사. 1987.
. 제자원 編. 그랜드 종합 주석 2: 출애굽기.레위기.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4.
. 제자원 編. 옥스퍼드 원어 성경대전 9: 레위기 제 18-27장.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8.
. 트리니티 말씀대전 편찬위원회. 트리니티 말씀대전 3:레위기.
서울: 목양서원. 1991.
◈ 기타 문헌
. Wenham., Gordon J. \"레위기의 구조와 중심사상\".
그 말씀 통권 110호. 1998년 8월.
. 송제근. \"레위기를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그 말씀 통권 110호. 1998년 8월.
2. 고엘제도와 예수 그리스도
레위기 25장에 나타난 종에 관한 규례는 수직적인 관계를 회복한 이스라엘 공동체 안에서 수평적인 관계를 회복해야만 했다. 그것에 대한 규례가 바로 종에 대한 규례들이었다. 언약 공동체인 이스라엘 백성 사이에는 지배계급이나 피지배계급이 있을 수는 없었다. 오직 평등만이 존재하므로 비록 종의 입장으로 팔리는 경우가 있다라더라도 그들에게는 계약 공동체의 일원으로써의 권리가 존재했다.
이것은 선택받은 하나님의 공동체의 일원이 된 자는 절대로 유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지위는 절대로 종의 입장으로 비하되지 않는다. 한번 구원 받은 성도는 절대로 사단의 손아귀로 유기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이 된 경우 근족이 대신 물러줄 수 있는 고엘 제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한다. 레위기를 통해서 나타나는 제사의 제도는 댓가를 지불하고 속량한다는 의미에 있어서 고엘 제도와도 연결되는 것이다.
본문에서 \'무르다\'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게울라( )\'는 \'해방시키다\', \'구속하다\'는 뜻으로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원래의 권리를 회복시키는 것\'을 말한다.
) 제자원 編, 그랜드 종합 주석 2: 출애굽기.레위기, p. 816.
고엘 제도를 통해서 가까운 근족이 댓가를 지불하고 종의 지위로 전락했던 동족을 자유인의 지위로 해방시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를 통해서 죄의 압제 아래 놓였던 자신의 백성들을 구속하는데서 절정을 이루었다.
) Ibid., 같은 쪽.
무르시게 하는 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은 그리스도께서 성도의 친족이 되셔서(요 20:17 ; 히 2:14-16) 오직 성도를 무르시고 속량하실 능력을 갖고 계신(렘 50:34) 예수께서 성도를 속량하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셔서(갈 4:4,5) 당신의 피 값으로 성도를 속량하심으로 완성되었다(고전 6:19,20 ; 벧전 1:18,19).
) Ibid., p. 812.
따라서 속량을 받은 성도들은 더 이상 종의 위치에 있지 않다. 이제는 죄의 법 아래서 해방되어 자유인으로써 거리낄 것이 없다. 오직 하나님만을 섬기며 자유로운 가운데 품군으로 일하게 된다. 그러나 품군으로써의 성도들은 압박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 가운데서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우리는 더 이상 죄의 법 아래 있지 않으며, 자유자로써 절대로 종의 위치로 비하될 수 없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들의 근족이 되셔서 우리를 대신해서 죄인으로써 사단의 종 되어서 스스로의 힘으로써는 속전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에 십자가의 사역을 통해서 우리를 구속하셨다. 따라서 우리는 거룩한 백성의 공동체에 속한 자로써 자유자로 살아가야만 할 것이다.
나가면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인도하시고, 영원히 자신만을 섬길 수 있는 품군으로 삼으셨다. 그리고 이스라엘이라는 언약 공동체에 대해 하나님 자신이 거룩함과 같이 거룩할 것을 요구하셨다. 그리고 그러한 성결과 거룩을 위해 제사제도와 여러 가지 규례들을 계시해 주셨다.
레위기 25장에 나타나는 종에 대한 규례는 구속함을 받은 성도들의 지위에 대해 명확하게 보여주는 본문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미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다른 이들의 종이 될 수 없다.
경제적인 이유로 빈한하게 되어 잠정적으로 종의 지위로 전락할 수는 있으나 안식년이나 희년이 이르면 이들은 자유하게 된다. 혹은 속전할 길이 있을 때 그들은 자유인으로 해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면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서 사단의 종으로 전락한 그의 백성들을 구속하기 위해서 죄의 댓가를 지불하시고 성도들을 구속하심으로써 그들을 자유케 하셨다.
우리가 죄를 지음으로 말미암아서 잠시 죄의 종이 되어질 수는 있어도 우리는 영원히 죄의 종으로 남지는 않는다. 레위기 25장에 등장하는 고엘제도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하는 그림자와도 같은 것이었다.
신약은 구약을 가리키는 이정표와도 같은 것인지 모른다. 신약 시대에 우리가 예수를 믿어 모든 죄를 사함을 받는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의 근족이 되어 우리를 해방하는 고엘제도의 정점이 되셨다는 것이다. 또한 그럴 때에 참된 희년이 도래하여 종 되었던 자들이 해방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예수께서는 우리의 근족이 되시고, 우리를 속량하시기 위해서 자신을 그 댓가로 지불하셨으며, 그로 인해서 우리에게 참된 자유와 해방의 희년을 가져다 주신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인용문헌
◈ 단행본
. Archer.,Gleason L. Old Testment introduction. 김정우 譯.
『구약총론』.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5.
. Packer., James I. Daily Life in Bible Times. 노광우 譯.『성서 시대의 일상생활』.
서울: 성광문화사. 1993.
. 유재원. 『모세오경』. 서울: 솔로몬. 1998.
◈ 각종 주석
. Durham., John I.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3: Exodus.
손석태 채천석 譯. 출애굽기. 서울: 솔로몬 출판사. 2001.
. 강병도 編. 호크마 종합 주석 2: 출애굽기. 서울: 기독 지혜사. 1990.
. 김득중 譯. 카일-델리취 구약주석 3: 레위기. 서울: 기독교문화사. 1987.
. 제자원 編. 그랜드 종합 주석 2: 출애굽기.레위기.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4.
. 제자원 編. 옥스퍼드 원어 성경대전 9: 레위기 제 18-27장.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8.
. 트리니티 말씀대전 편찬위원회. 트리니티 말씀대전 3:레위기.
서울: 목양서원. 1991.
◈ 기타 문헌
. Wenham., Gordon J. \"레위기의 구조와 중심사상\".
그 말씀 통권 110호. 1998년 8월.
. 송제근. \"레위기를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그 말씀 통권 110호. 1998년 8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