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낙인이론을 통해 본 사례 분석
1) 낙인이론의 이해
2) 사례 분석
2.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1) 낙인이론의 이해
2) 사례 분석
2.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본문내용
론의 비행대책
국문
영문
주요 내용
비범죄화
Decriminalization
사소한 비행은 일탈에서 제외한다.
전환제도
Diversion
공식적 기소절차 전 지역 내에서 일정한 처우로 대체한다.
공정한 절차
Due process
법집행의 계층간 차별을 철폐한다.
탈시설화
Deinstitutionalization
사회 내 처우를 확대한다.
실제로 중간 처우나 주말구금 등의 사회 내 처우는 1960년대 말 미국에서 실현된 바 있다. 하지만 시설 밖 처우가 낙인효과를 없애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시설 밖 처우 역시 궁극적으로는 국가가 개입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 낙인이론의 비행대책에 대한 비판 외에도 낙인이론 자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비판들로는 최초의 범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과 사회적 반작용이 없다고 할지라도 개인이 스스로 범죄자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또한 형법상 사회통제기관에 대한 태도가 너무나 비판적이라는 문제도 지적되며 지나친 가해자 중심 사고로 인해 범죄피해자에 대한 관심이 적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참고문헌
- 이인영, 최정학(2017). 형사정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국문
영문
주요 내용
비범죄화
Decriminalization
사소한 비행은 일탈에서 제외한다.
전환제도
Diversion
공식적 기소절차 전 지역 내에서 일정한 처우로 대체한다.
공정한 절차
Due process
법집행의 계층간 차별을 철폐한다.
탈시설화
Deinstitutionalization
사회 내 처우를 확대한다.
실제로 중간 처우나 주말구금 등의 사회 내 처우는 1960년대 말 미국에서 실현된 바 있다. 하지만 시설 밖 처우가 낙인효과를 없애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시설 밖 처우 역시 궁극적으로는 국가가 개입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 낙인이론의 비행대책에 대한 비판 외에도 낙인이론 자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비판들로는 최초의 범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과 사회적 반작용이 없다고 할지라도 개인이 스스로 범죄자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또한 형법상 사회통제기관에 대한 태도가 너무나 비판적이라는 문제도 지적되며 지나친 가해자 중심 사고로 인해 범죄피해자에 대한 관심이 적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참고문헌
- 이인영, 최정학(2017). 형사정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키워드
추천자료
모방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연쇄살인(무동기 살해)과 범죄 프로파일링
강간범죄의 발생 실태와 재범방지를 위한 예방활동.
묻지마범죄 무동기범죄의 원인과 대책
[범죄학] 강호순 범죄학개론 발표 - 강호순 사건 정리, 강호순 범행 소개, 범행 원인, 범행 ...
[범죄학개론] 온보현 - 온보현 소개, 온보현 범행 소개, 범죄 원인, 범행 원인, 범행 수법, ...
[범죄학] 영화 『용의자 X의 헌신 (容疑者Xの献身 / Suspect X)』에 나타난 범행...
사이코패스 범죄연구와 예방법연구 및 싸이코패스 원인 특징분석과 싸이코패스 문제 해결방안...
형사정책 ) 범죄학이론은 크게 고전주의 범죄학, 실증주의 범죄학, 그리고 비판범죄학의 3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