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리포트 ) 전체 제목, 제출자 명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 리포트 ) 전체 제목, 제출자 명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주동자. 작가 김소연
2) 구두 한 켤레의 시. 작가 곽재구
3) 소 작가 김기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
1989년 한국일보 신촌문예 등단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임용
(2) 소 작품 살펴보기
소의 커다란 눈은 무언가 말하고 있는 듯한데 / 나에겐 알아들을 수 있는 귀가 없다 / 소가 가진 말은 다 눈에 들어 있는 것 같다// 말은 눈물처럼 떨어질 듯 그렁그렁 달려있는데 /
몸 밖으로 나오는 길은 어디에도 없다 / 마음이 한 움큼씩 뽑혀 나오도록 울어보지만 /
말은 눈 속에서 꿈쩍도 하지 않는다 // 수천만 년 말을 가두어 두고 / 그저 끔벅거리고만 있는/ 오, 저렇게도 순하고 동그란 감옥이여// 어찌해 볼 도리가 없어서 / 소는 여러 번 씹었던 풀줄기를 배에서 꺼내어 / 다시 씹어 짓이기고 삼켰다간 또 꺼내어 짓이긴다 소. 김기택. 문학과지성사. 2005
(3) 소 개인시각으로 분석하기
소의 커다랗고 맑은 ‘눈’을 소재로 담고 있는 작품으로 과거 사회에서 소는 현대사회의 반려견처럼 가족들에게 가까운 존재였으며 많은 도움을 주는 존재였다. 이러한 소는 할 말은 가득 담고 있지만 내뱉지 못하는 소의 입장을 소의 순수한 눈을 통해 시적으로 소의 눈을 통해 함축된 언어를 알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화자는 ‘나에겐 알아들을 수 있는 귀가 없다’는 구절을 통해 문명에 길들어진 현대인과 자연 사이의 단절을 표현하고 있다.
소의 말은 어느 길로도 몸 밖으로 나오지 못하여 되새김질에 빗대어 말을 삼키고 삼키는 답답한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지속적으로 나오지 못하고 삼키어진 말들이 소의 커다란 눈에 ‘수천만 년 말을 가두어 두고’ ‘그저 끔벅거리고만 있는’ 동그란 감옥으로 비유하여 표현하였다.
(4) 소 전문가의 의견
소는 전통사회의 친근한 존재이며 일상생활과 가까운 가축이였다. 이러한 소를 통해 소가 우리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하지못하는 모습을 ‘나에겐 알아들을 수 있는 귀가 없다’라고 표현하였으며 소의 눈에 그 말들이 함축적으로 담겨있음을 표현하였다. ‘마음이 한 움큼씩 뽑혀 나오도록 울어보지만’ ‘말은 눈 속에서 꿈쩍도 하지 않는다’‘수천만 년 말을 가두어 두고’ 표현하지 못하고 그저 답답한 마음을 눈 속에 가득 담고 있는 모습을 ‘감옥’에 표현하였다.
3. 결말
한 작품을 감상하며 여러 방면의 감성, 해설을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성을 존중하고 공유하였을 때 우리는 더욱 작품을 깊이 있게 즐길 수 있다. 같은 표현 속에서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는 이런 즐거움이 많은 사람들이 문학을 찾는 이유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나의 해석법과 전문가의 해석을 통해 발견하지 못했던 의미를 찾아가며 시의 매력에 한 발자국 다가가게 될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접근법으로 문학에 다가서면 더욱 감성도 풍부해지고 일상생활에서도 숨은 뜻을 찾을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보며 본 레포트를 마무리해본다.
4. 참고문헌
수학자의 아침. 김소연, 문학과지성사. 2013.
사평역에서. 곽재구. 창작과 비평사. 1983.
3) 소. 김기택. 문학과지성사. 2005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2.13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