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 노인 영양섭취부족자 분율과 노인의 식품섭취를 제한하는 요인
(ii) 나트륨 목표 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과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를 늘리는 요인
(iii) 아침 식사 결식률 및 청소년 건강과 아침식사의 관련성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II. 본론
(i) 노인 영양섭취부족자 분율과 노인의 식품섭취를 제한하는 요인
(ii) 나트륨 목표 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과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를 늘리는 요인
(iii) 아침 식사 결식률 및 청소년 건강과 아침식사의 관련성
III. 결론
IV.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년 건강과 아침 식사의 관련성에 관해 토론해 보았다. 개인적으로 스트레스인지율과 우울장애 유병률 등이 노년층의 영양섭취부족자 분율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음에는 다소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배우자와의 사별, 우울, 사회적 고립 등 정서적인 기아에서 오는 영양상태의 저하는 다른 많은 연구들에서 지목되고 있는 요소인 만큼 2020 국민건강통계 때 사용된 우울증 및 심리상담 설문지가 다소 너무 간소하여 현실적인 데이터를 창출해내는 데 부족함이 있지 않았나 라고 생각해본다. 나트륨 섭취와 관련해서는 현대 한국 식문화 곳곳에 산재한 나트륨 섭취 위험 요소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평가한다. 특히나 나트륨 섭취는 늘어나는 반면 나트륨 배출에 도움을 주는 칼륨의 섭취가 줄어들었다는 점이 현대 한국인들의 식습관에 시사하는 바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층이 아침 결식률 2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은 다소 충격적이었다.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가장 활달한 성장을 보이는 시기에 있어서의 높은 결식률이 사회 의식 수준 개선 등을 통해 하루빨리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1998년 46.3%였던 청소년 아침 결식률이 2005년 약 25%까지 개선되었던 기록이 있다.3) 사회 전반적인 관심사가 아침 결식이 청소년의 학업 성취도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에 집중되어서였다. 이처럼 우리가 노인 영양섭취부족자 분율에,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에, 그리고 아침 식사 결식률에 조금 더 관심을 기울인다면 국민 건강은 한층 더 개선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IV. 출처 및 참고문헌
1) 2020 국민건강통계보고서
2) 건강한 대한민국 국민건강영양조사가 그 시작입니다., 위기소통팀, 카드뉴스, 질병관리청, 2022
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2&list_no=145628&act=view
3) 소은진, 정효지, 「노인의 에너지섭취부족과 관련된 사회환경요인 분석」,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5, vol. 48, no. 4, DOI: http://dx.doi.org/10.4163/jnh.2015. 48.4.371
4) 박지혜 「나트륨 섭취량 해마다 증가…수입과자도 한 몫」, 『메디컬투데이』, 2013. 07. 11
5) 이우진 「외식하는 한국인 나트륨·칼로리 ‘과잉’ 섭취」, 『헬스코리아뉴스』, 2014. 11. 04
6) 박기영 「아침식사와 청소년 건강」,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제 14권, 4호, 2011 DOI: https://doi.org/10.5223/kjpgn.2011.14.4.340
7) Masaaki Tanaka et al.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habits and the prevalence of fatigue in medical students」, 『Nutrition』, vol. 24 2008. DOI: 10.1016/j.nut.2008.05.003
IV. 출처 및 참고문헌
1) 2020 국민건강통계보고서
2) 건강한 대한민국 국민건강영양조사가 그 시작입니다., 위기소통팀, 카드뉴스, 질병관리청, 2022
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2&list_no=145628&act=view
3) 소은진, 정효지, 「노인의 에너지섭취부족과 관련된 사회환경요인 분석」,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5, vol. 48, no. 4, DOI: http://dx.doi.org/10.4163/jnh.2015. 48.4.371
4) 박지혜 「나트륨 섭취량 해마다 증가…수입과자도 한 몫」, 『메디컬투데이』, 2013. 07. 11
5) 이우진 「외식하는 한국인 나트륨·칼로리 ‘과잉’ 섭취」, 『헬스코리아뉴스』, 2014. 11. 04
6) 박기영 「아침식사와 청소년 건강」,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제 14권, 4호, 2011 DOI: https://doi.org/10.5223/kjpgn.2011.14.4.340
7) Masaaki Tanaka et al.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habits and the prevalence of fatigue in medical students」, 『Nutrition』, vol. 24 2008. DOI: 10.1016/j.nut.2008.05.003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생애주기영양학 기말시험)2020 한국인 영양소섭취기준을 참고하여 성인 남녀에 ...
(2022년 방송통신대 생애주기영양학 기말과제물)2020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20년)...
2022년 1학기 생애주기영양학 기말시험 과제물(2020 국민건강통계)
생애주기영양학
생애주기영양학 ) 2020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20년) 아침식사 결식률이 가장 높은...
생애주기영양학 ) 2020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20년) 65세 이상 노인(전체)의 에너...
생애주기영양학 ) 2020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20년)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
생애주기영양학 ) 2020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20년) 아침식사 결식률이 가장 높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