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문과 문화의 거의 전부를 차지했던 중세의 암흑기를 지나, 미술, 음악, 철학, 문학, 역사 등 전 분야에 걸쳐 활기차고 자유로운 새로운 사조들이 등장하며 문화적 진보와 부흥을 맛보는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이다.
십자군 전쟁을 통해 교회와 교황의 권위는 추락했지만, 그렇다고 기독교 전체가 흔들린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서유럽에서는 중세의 종교 중심에 빠져있던 문화적 암흑기를 탈피하여 자유로운 사조들이 등장하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지만 오히려 아시아와 시리아, 북아프리카 등등 다양한 지역에서는 선교의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성지였던 예루살렘 지역을 회복하지도 못했고, 왕의 권위를 능가하던 교황의 권위도 떨어져는 등 교회가 이루고자 한 목표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기독교 전파가 잘 이루어지지 않던 지역까지 기독교가 전파되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에 집중해 있던 중세의 그 어떤 시기보다도 종교로서의 선교적 사명을 오히려 더 잘 감당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오랜 시간 전쟁을 하며 무기에 대한 지식이 깊어져 무기 발달과 과학의 발달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고 미술을 비롯한 각종 예술과 건축에서도 비잔틴 문화 등 동방 세계로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것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처음 십자군 전쟁을 시작할 때 세웠던 목표 중에는 제대로 이루어진 것이 하나도 없어 보이나, 전쟁이 끝난 구 그 결과를 놓고 보았을 때는 전쟁이 일어나기 전보다 더 많은 것들이 변화되고 진보하게 된 것을 알게 된다. 물론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치며, 피폐함과 고통을 겪었겠지만, 역사는 한 개개인이 아닌 전체를 보게 되기에, 후퇴가 아닌 변화와 그 역동적인 힘에 감탄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강준규, 십자군 원정과 이슬람 선교 : 십자군 전쟁이 이슬람 선교에 미친 영향 연구, 고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02.
김균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십자군 전쟁 서술 비교·분석 : 한국, 미국,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2011.02.
김태권,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비아북, 2012-2013.
송양현, 십자군 전쟁의 역사적 재조명, 감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전공, 2007.12.
최영진, 십자군 전쟁과 전략적 사유, 해안 교두보에서 외교적 협상으로 상황에 따른 전략 선택, 국방홍보원, 2021.04.
십자군 전쟁을 통해 교회와 교황의 권위는 추락했지만, 그렇다고 기독교 전체가 흔들린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서유럽에서는 중세의 종교 중심에 빠져있던 문화적 암흑기를 탈피하여 자유로운 사조들이 등장하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지만 오히려 아시아와 시리아, 북아프리카 등등 다양한 지역에서는 선교의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성지였던 예루살렘 지역을 회복하지도 못했고, 왕의 권위를 능가하던 교황의 권위도 떨어져는 등 교회가 이루고자 한 목표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기독교 전파가 잘 이루어지지 않던 지역까지 기독교가 전파되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에 집중해 있던 중세의 그 어떤 시기보다도 종교로서의 선교적 사명을 오히려 더 잘 감당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오랜 시간 전쟁을 하며 무기에 대한 지식이 깊어져 무기 발달과 과학의 발달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고 미술을 비롯한 각종 예술과 건축에서도 비잔틴 문화 등 동방 세계로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것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처음 십자군 전쟁을 시작할 때 세웠던 목표 중에는 제대로 이루어진 것이 하나도 없어 보이나, 전쟁이 끝난 구 그 결과를 놓고 보았을 때는 전쟁이 일어나기 전보다 더 많은 것들이 변화되고 진보하게 된 것을 알게 된다. 물론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치며, 피폐함과 고통을 겪었겠지만, 역사는 한 개개인이 아닌 전체를 보게 되기에, 후퇴가 아닌 변화와 그 역동적인 힘에 감탄을 하게 된다.
참고문헌
강준규, 십자군 원정과 이슬람 선교 : 십자군 전쟁이 이슬람 선교에 미친 영향 연구, 고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02.
김균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십자군 전쟁 서술 비교·분석 : 한국, 미국,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2011.02.
김태권,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비아북, 2012-2013.
송양현, 십자군 전쟁의 역사적 재조명, 감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전공, 2007.12.
최영진, 십자군 전쟁과 전략적 사유, 해안 교두보에서 외교적 협상으로 상황에 따른 전략 선택, 국방홍보원, 2021.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