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운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역운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무역운송]

1. 해상운송

2. 항공운송

3. 복합운송



* 참고문헌

본문내용

증권의 수하인란의 수하인을 특정인으로 명시한 선하증권을 말한다.
지시식선하증권(order B/L)은 수하인을 \"Order\" \"Order of 특정인\"으로 명시한 선하증권을 말한다.
지시식의 경우에는 양도가 자유로운 반면에, 기명식의 경우oil는 기명된 수하인이 배서를 해야 유통이 가능하고 국가에 따라서는 양도가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대부분 지시식선하증권이 사용되고 있다.
(4) Stale B/L
Stale B/L은 제시기일경과선하증권을 말한다. 처음부터 이러한 선하증권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선하증권이 발행일로부터 21일을 경과하면 Stale B/L이 된다. Stale B/L은 신용장에서 별도의 수리허용의 지시가 없는 한 은행에서 수리하지 않는다.
(5) 전자식선하증권
전자식선하증권(electronic B/L)은 종이문서 대신 전자문서로 발행되는 선하증권이다. 전자식선하증권은 원래의 선하증권을 전자문서화하여 전자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전달되면서 업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선박회사가 선하증권을 컴퓨터에 입력시켜 보존하고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를 통해 송하인 또는 수하인에게 전달하고 이 전자식선하증권으로 화물을 인도받게 된다.
<표> 선하증권의 종류
(6) 기타
위에서 열거한 선하증권 외에도 많은 종류의 선하증권이 있으나 무역업무에서 일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것들만 살펴보았다.
2. 항공운송
2.1 항공운송의 의의
국제무역에서 항공운송의 비중은 점차 증대하고 있다. 항공운송은 신속하지만 대량화물을 운송하기 어렵고 운송비가 비싸다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항공산업의 발전으로 어느 정도 대량수송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항공운송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세계경제가 상호의존성이 커지면서 부분품의 국제거래가 많아져 반도체, 전자, 통신, 기계 등의 부품과 같이 부피가 작고 고가이면서 빠른 운송을 원하는 화물이 많이 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항공운송의 비중은 점차 늘어나게 될 것이다.
2.2 항공운송의 장점
첫째, 운송기간이 짧다. 시간이 촉박한 경우에 좋은 수단이다. 또한 운송기간이 짧기 때문에 살아있는 동식물, 생화, 부패성물질 등의 운송이 가능하다.
둘째, 재고비용이 절감된다. 필요할 때 바로 항공운송으로 조달하면 재고 비축의 수준을 낮추어도 되기 때문이다.
셋째, 수송조건이 좋다. 항공운송은 비교적 좋은 여건에서 단기간에 운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품의 멸실이나 손상이 적다.
2.3 항공화물운송장
1) 항공화물운송장의 의의
송하인이 운송인과 항공운송계약을 체결하면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을 발급받게 된다. 항공화물운송장은 운송인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화물을 수령하였다는 사실과 송하인과 운송인간에 운송계약이 체결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증거서류이다.
2) 항공화물운송장과 선하증권과의 차이점
항공화물운송장은 선하증권과 같은 위치에 있지만 그 형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특히 그 유통가능성에 있어서 완전히 법률적인 성격을 달리한다.
선하증권과 항공화물운송장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선하증권은 양도가능한 유가증권이지만, 항공화물운송장은 양도할 수 없는 비유가증권이다.
2/ 선하증권은 일반적으로 선적 후에 발급되지만, 항공화물운송장은 수취후에 발급된다.
3/ 선하증권은 지시식이 일반적이지만, 항공화물운송장은 기명식이다.
<표> 성하증권과 항공화물운송장의 비교
3. 복합운송
3.1 복합운송의 의의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이란 선박과 기차, 선박과 항공기와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사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말한다. 여러 운송수단을 통한 운송과정에 있어서 화물에 대한 운송책임은 복합 운송인이 전구간에 걸쳐 일괄적으로 책임을 지게 되며, 복합운송인은 이러한 계약서류로서 복합운송증권(multimodal transport document)을 발급한다.
복합운송은 중간에 운송수단이 바뀌므로 환적이 불가피한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수단이 바로 컨테이너이다. 그래서 복합운송은 컨테이너 운송시스템이 발전하면서 급속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3.2 복합운송의 주요 경로
현재 육 해 복합운송이 많이 이용되는데 한국에서 이용되는 복합운송 경로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시베리아 랜드브리지(Siberia Land Bridge: SLB)
한국, 일본-<동해>-러시아 극동지역-<시베리아철도>-유럽을 연결하는 복합운송경로이다. 스웨즈운하 경유의 해상운송보다 운송거리가 약 7,000km 짧으나,\' 최근에는 러시아에서의 철도운임인상, 운송사고, 복잡한 수속절차 등으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2) 차이나 랜드브리지(China Land Bridge: CLB)
한국, 일본-<황해>-중국 연운-<중국, 카자흐스탄, 서러시아>-유럽을 연결하는 복합운송경로이다. 시베리아 랜드브리지 보다 운송거리가 약 2,000km짧으나, 국가마다 철로궤도가 다르고 운임이 비싸 현재 이용율이 낮다.
(3) 미니 랜드브리지(Mini Land Bridge: MLB)
한국, 일본-<태평양>-미국 서부-<미국내륙철도>-미굴동부, 미국남부를 연결하는 복합운송경로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경로로서, 보통 랜드브리지가 육상에서 수 개국을 거치나 이 경로는 한 국가만 거치므로 미니(mini)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키워드

  • 가격6,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02.16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