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서술 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서술 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뢰도
(1) 재검사법(test-retest reliability)
(2) 대안법(alternate from reliability)
(3) 반분법(split-half reliability):
(4) 조사자 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
(5)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
2) 타당도
(1) 표면 타당도(face validity)
(2)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3) 기준 타당도(criterion validity)
(4) 개념 타당도(conceptual validity)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측정 도구를 통해 측정한 결과값이 기존에 존재하는 측정 도구를 토대로 측정한 결과값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때 새 측정 도구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능시험 점수와 대학 입학 후의 학점 간의 높은 연관성을 기반으로 수능 성적을 입학 사정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는 것이다.
(4) 개념 타당도(conceptual validity): 검사자가 측정하려고 하는 개념이 그와 관련된 개념 또는 가설을 기반으로 해당 개념의 전체적인 이론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언어 능력과 수리 능력을 지능을 구성하는 요소로 볼 때 새로운 척도가 언어 능력이나 수리 능력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면 지능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도구로 간주하는 것이다.
3. 결론
신뢰도와 타당도는 밀접한 상호연관성을 띠고 있다.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항상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지만 타당도가 확보되었다면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담보할 수 있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 항목을 늘리거나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늘리는 것이 좋으며,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 도구를 다양화하는 것이 좋다. 다른 여러 분야와 마찬가지로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 또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인식하고 다양한 검증 방법의 활용을 통해 자신이 수행하는 연구의 과학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류성진. (2013), 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정연정, 윤여각. (2018). 사회복지조사론. 서울: KNOU PRESS.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2.22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7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