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Ventilator( Hamilton C1) Setting 방법
2.Ventilator Raphael Setting 방법
3.Ventilator Alarm 대처
2.Ventilator Raphael Setting 방법
3.Ventilator Alarm 대처
본문내용
ode를 HPO mode로 변경한다.
⑥start ventilation을 눌러 작동을 확인 후 환자에게 적용한다.
준비물
- ventilator Raphael
- ventilator circuit
- flow sensor
- membrane
- test lung
- 4*8 gauze × 1
- 멸균장갑
- ambu bag
- 손 소독제
- 멸균 주사용 증류수
Setting 및 교체
①oxgen line을 oxygen 포트에 연결한다.
②전원 선을 연결한다.
③circuit 포장지를 무균적으로 뜯는다.
④circuit 장착 전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소독을 시행한 후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⑤membrane을 돌려서 고정한다.
⑥air filter를 장착한다.
⑦Humidifilter를 장착한다.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밀어 넣는다.)
⑧Air filter에 파란색 single tube를 연결한다.
single tube의 반대 부분은 humidifilter에 연결한다.
⑨ membrane에 흰색 tube를 연결하고 반대 부분 파란색 tube는 humidifilter에 연결한다.
⑩flow sensor를 tube와 연결한다.(환자 쪽으로 파란색 라인이 위로가게 한다.)
투명한 라인은 하얀색 포트에, 파란색 라인은 파란색 포트에 연결한다.
⑪flex tube를 flow sensor 와 연결한다.
⑫멸균 주사용 증류수와 증류수 연결라인을 연결하고 circuit 튜브에 가습 할 수 있는 전선을 모양에 맞춰 서로 연결한다.
⑬Humidifilter에 반절정도 채워지는지 확인하고 가습 온도를 조정한다.
⑭뒤에 on/off 전원을 켠다.
⑮다이알을 돌려 몸무게 설정을 하고 start ventilation을 누른다.
▼버튼을 누르고 누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ightness test를 실행한다.
(C1과 같은 방식으로)
유량센서와 관련된 보정 포인트 확인 및 재설정을 위해 flow sensor calibration을 실행한다.
‘disconnect patient\' 지시에 맞춰 막은 부위를 뗀다.
turn flow sensor\' 지시에 맞춰 flow sensor를 돌려 연결한다.
‘turn flow sensor\' 지시에 맞춰 flow sensor를 원래방향으로 돌린다.
flow sensor 에 flex tube를 연결하고 test lung을 연결하여 O2 cell calibration in progress 100% 될 때까지 기다린다.
모두 성공으로 뜨면 오른쪽 위 mode 버튼을 눌러 ventilator mode를 설정한다.
오른쪽 두 번째 버튼을 클릭하여 control에서 설정 값을 입력한다.
오른쪽 세 번째 버튼을 클릭하여 알람 설정을 한다.
Low pressure alarm
disconnect
air leak
AC mode인데 자발호흡 없는 경우
: 원인 못 찾으면 ambu bagging
High pressure limit
Paw high
High peak pressure
= 공기가 들어가는 통로의 문제
=paw(airway pressure) 기도의 압력이 높다
airway obstruction(기도폐쇄)
다량의 분비물
E-tube, T-tube 꺾임, 막힘
환자 기침해서 fighting
circuit 물 고임 ,꼬임
알람 범위 확인
Low minute volume
알람 setting 확인
leak-> cuff pressure 확인
circuit 새고 있는지 확인
air way obstruction- suction tip 이 잘 들어가는지 확인
High frequency
=호흡수가 빠르다
-sedation 시 alarm limit
-sedation 아닐 시 sedative
No patient effort
Apnea
= 환자 무호흡 알람
(두 번의 연속적인 무호흡이 45초를 초과한 경우)
weaning 연습중인 환자에게 종종 나타남.
CPAP(자발호흡) mode 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알람이 지속 될 경우 Back up mode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의식 수준 및 호흡 유무, SPO2 확인
-sedation 약물 주입량 확인
-tube연결 상태 확인
-알람 범위 확인, 환자 상태에 따라 인공호흡기 모드 변경
- Backup Mode : 환자 무호흡 시 ventilator가 호흡을 대신해 줄 수 있는 mode
low tidal volume
1회 환기량이 낮다
= 환자에게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공기량이
들어가고 있지 않다
그래프에서 0으로 return 되지 않음
-fighting 시 환자상태 확인
-ventilator circuit disconnect
-ventilator circuit 물고임
-환자의 airway 문제
(secretion 또는 E-tube 깨뭄)
checking tube
:Ventilator와 환자를 연결하는 circuit 에 문제
-circuit disconnect
-Humidifier 열선 빠짐
(Humidifilter settings, heater wirings, temperature probes)확인
Respiration rate low
ventilator의 설정보다 호흡수가 낮아서 울리는 알람
의식 수준 저하
약물로 인한 진정 치료
High Respiration rate
: Ventilator로 설정된 호흡수보다 호흡수가 많은 경우
- 환자 상태 확인
(호흡수가 빨라지는 원인 파악: 폐렴, 폐부종 악화)
-ABGA 상 저산소증 , 체온상승, 불안, 통증, 신체활동 시 fio2 setting 증량
VT 올려 Po2 올림
- Ventilator Circuit 연결 상태 ( circuit 빠진 경우 )
- 다른 문제가 없을 경우 ventilator 호흡수 재설정
low inspirator pressure
기도 내 압력의 하안선을 정해주는 안전장치
튜브 새거나 연결이 안 되었을 경우
ballooning 확인
O2 cell failure
O2 cell 연결 확인, O2 cell adaptation
Peep low
Leakage 여부 확인
Pressure tigger 여부 확인
Alarm 범위 조절
⑥start ventilation을 눌러 작동을 확인 후 환자에게 적용한다.
준비물
- ventilator Raphael
- ventilator circuit
- flow sensor
- membrane
- test lung
- 4*8 gauze × 1
- 멸균장갑
- ambu bag
- 손 소독제
- 멸균 주사용 증류수
Setting 및 교체
①oxgen line을 oxygen 포트에 연결한다.
②전원 선을 연결한다.
③circuit 포장지를 무균적으로 뜯는다.
④circuit 장착 전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소독을 시행한 후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⑤membrane을 돌려서 고정한다.
⑥air filter를 장착한다.
⑦Humidifilter를 장착한다.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밀어 넣는다.)
⑧Air filter에 파란색 single tube를 연결한다.
single tube의 반대 부분은 humidifilter에 연결한다.
⑨ membrane에 흰색 tube를 연결하고 반대 부분 파란색 tube는 humidifilter에 연결한다.
⑩flow sensor를 tube와 연결한다.(환자 쪽으로 파란색 라인이 위로가게 한다.)
투명한 라인은 하얀색 포트에, 파란색 라인은 파란색 포트에 연결한다.
⑪flex tube를 flow sensor 와 연결한다.
⑫멸균 주사용 증류수와 증류수 연결라인을 연결하고 circuit 튜브에 가습 할 수 있는 전선을 모양에 맞춰 서로 연결한다.
⑬Humidifilter에 반절정도 채워지는지 확인하고 가습 온도를 조정한다.
⑭뒤에 on/off 전원을 켠다.
⑮다이알을 돌려 몸무게 설정을 하고 start ventilation을 누른다.
▼버튼을 누르고 누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ightness test를 실행한다.
(C1과 같은 방식으로)
유량센서와 관련된 보정 포인트 확인 및 재설정을 위해 flow sensor calibration을 실행한다.
‘disconnect patient\' 지시에 맞춰 막은 부위를 뗀다.
turn flow sensor\' 지시에 맞춰 flow sensor를 돌려 연결한다.
‘turn flow sensor\' 지시에 맞춰 flow sensor를 원래방향으로 돌린다.
flow sensor 에 flex tube를 연결하고 test lung을 연결하여 O2 cell calibration in progress 100% 될 때까지 기다린다.
모두 성공으로 뜨면 오른쪽 위 mode 버튼을 눌러 ventilator mode를 설정한다.
오른쪽 두 번째 버튼을 클릭하여 control에서 설정 값을 입력한다.
오른쪽 세 번째 버튼을 클릭하여 알람 설정을 한다.
Low pressure alarm
disconnect
air leak
AC mode인데 자발호흡 없는 경우
: 원인 못 찾으면 ambu bagging
High pressure limit
Paw high
High peak pressure
= 공기가 들어가는 통로의 문제
=paw(airway pressure) 기도의 압력이 높다
airway obstruction(기도폐쇄)
다량의 분비물
E-tube, T-tube 꺾임, 막힘
환자 기침해서 fighting
circuit 물 고임 ,꼬임
알람 범위 확인
Low minute volume
알람 setting 확인
leak-> cuff pressure 확인
circuit 새고 있는지 확인
air way obstruction- suction tip 이 잘 들어가는지 확인
High frequency
=호흡수가 빠르다
-sedation 시 alarm limit
-sedation 아닐 시 sedative
No patient effort
Apnea
= 환자 무호흡 알람
(두 번의 연속적인 무호흡이 45초를 초과한 경우)
weaning 연습중인 환자에게 종종 나타남.
CPAP(자발호흡) mode 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알람이 지속 될 경우 Back up mode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의식 수준 및 호흡 유무, SPO2 확인
-sedation 약물 주입량 확인
-tube연결 상태 확인
-알람 범위 확인, 환자 상태에 따라 인공호흡기 모드 변경
- Backup Mode : 환자 무호흡 시 ventilator가 호흡을 대신해 줄 수 있는 mode
low tidal volume
1회 환기량이 낮다
= 환자에게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공기량이
들어가고 있지 않다
그래프에서 0으로 return 되지 않음
-fighting 시 환자상태 확인
-ventilator circuit disconnect
-ventilator circuit 물고임
-환자의 airway 문제
(secretion 또는 E-tube 깨뭄)
checking tube
:Ventilator와 환자를 연결하는 circuit 에 문제
-circuit disconnect
-Humidifier 열선 빠짐
(Humidifilter settings, heater wirings, temperature probes)확인
Respiration rate low
ventilator의 설정보다 호흡수가 낮아서 울리는 알람
의식 수준 저하
약물로 인한 진정 치료
High Respiration rate
: Ventilator로 설정된 호흡수보다 호흡수가 많은 경우
- 환자 상태 확인
(호흡수가 빨라지는 원인 파악: 폐렴, 폐부종 악화)
-ABGA 상 저산소증 , 체온상승, 불안, 통증, 신체활동 시 fio2 setting 증량
VT 올려 Po2 올림
- Ventilator Circuit 연결 상태 ( circuit 빠진 경우 )
- 다른 문제가 없을 경우 ventilator 호흡수 재설정
low inspirator pressure
기도 내 압력의 하안선을 정해주는 안전장치
튜브 새거나 연결이 안 되었을 경우
ballooning 확인
O2 cell failure
O2 cell 연결 확인, O2 cell adaptation
Peep low
Leakage 여부 확인
Pressure tigger 여부 확인
Alarm 범위 조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