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본문내용
또한 문제의 성격과 의사결정상황의 조건은 탐색활동의 방향과 범위를 크게 좌우한다. 의사결정의 실제에 있어서 대안의 탐색은 가깝고 쉬운 곳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2) 대안탐색의 방법
- 기억탐색, 피동적 탐색, 계략탐색, 능동적 탐색.
(4) 해결방안의 평가와 선택
의사결정의 목표와 거기서 도출되는 기준에 비추어 대안들을 비교 평가하여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선택한다. 바람직한 대안이 목표와 기준(기대)을 얼마나 충실히 달성해 줄 수 있느냐에 따라 극대화대안, 최적대안, 만족대안 등으로 구분된다. 극대화대안이나 최적대안을 선택할 수 있으면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또 그러한 선택이 가능할 대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주관적으로 만족하는 이른바 만족대안을 고를 수밖에 없는 경우가 더 많은 것이다.
<20> 조직개혁의 저항과 극복방안
1. 조직改革의 抵抗 原因
조직개혁은 현상유지적 균형상태를 인위적으로 변동시키기 때문에 거의 언제나 다소간의 抵抗(resistance)에 부딪치게 된다. 여기서 저항이란 개혁에 반대되는 적대적 태도와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저항은 개혁 그 자체나 개혁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공개적 적대행동으로 노골화되기도 하며, 때로는 간접적이고 완곡한 반발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개혁에 무관심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저항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조직개혁에 대한 저항의 原因을 크게 두 가지로 범주화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저항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적 조건들을 설명하는 ‘상황적 요인’이며, 또 하나는 저항을 야기할 수 있는 인간의 심리적 상태를 설명하는 ‘심리적 요인’이다.
(1) 상황적 요인
: 조직개혁시 저항의 심리적 원인을 형성할 가능성이 큰 상황적 조건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조직개혁의 촉발 자체를 좌절시키거나 저항을 야기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장애(obstacles)들이 있다.
-일반적 환경의 혼란, 자원부족, 조직체제의 무능력, 관료화된 조직의 경직성, 법령이나 조직간의 협약과 같이 조직행동을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제약하는 요인, 기존상태에 투입된 많은 매몰비용(sunk cost)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② 개혁추진자의 지위나 신망이 열악하다든지, 그가 불신의 대상으로 되어 있을 때
③ 개혁의 목표와 내용이 불투명하거나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때
- 개혁안이 개혁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성과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개혁안이 기존의 신념체계에 상충되거나 이익상실 또는 불편야기의 요인으로 될 때가 그 예이다.
④ 개혁추진의 방법과 절차에 내포된 문제들 때문에도 저항이 야기될 수 있다.
(2) 심리적 요인
① 개혁의 내용을 잘 모르면 저항할 가능성이 크며, 전달된 정보를 잘못 이해하여 저항할 수 있다. 특히 개혁결정과정에서 소외되었다고 믿을 때 저항할 가능성이 크다.
② 개혁이 개인적 이익을 침해한다고 생각할 때 개혁에 저항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 이익의 침해란 보수의 감액이나 지위상실 등을 말한다.
③ 개혁이 가져올 새로운 상황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저항의 원인으로 될 수도 있다. 개혁으로 기술변화가 야기되어 재학습의 필요가 있게 되면 그에 대한 부담 때문에 저항이 있을 수도 있다.
④ 개혁추진자가 일방적으로 개혁을 추진하면서 과거의 실적을 비난하거나 특정한 개인의 잘못을 지목하여 개혁의 대상으로 삼을 때와 같이 인정감이나 자존심이 손상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항할 수도 있다.
2. 저항의 극복 전략
G. N. Jones는 저항극복의 전략을 강제적 전략, 규범적 전략, 공리적 전략, 중립적 외형을 지닌 전략 등으로 분류하였다. G. N. Jones, 「Strategies and Tactics of Planned Organizational change」 (Philippin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1966), pp. 320-342
(1) 强制的 戰略(coercive strategy)
① 개혁추진자가 강제적 권력에 의해 제재를 가하거나 계서적 권한의 일방적 행사에 의해 저항을 극복한다는 전략으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신속히 저항을 극복할 필요가 있을 때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② 이 방법은 저항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단기적 또는 피상적으로 해결하는 대증요법일 때가 많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③ 강제적 전략의 예
- 계층제(hierachy)의 계서적 권한에 의한 명령으로 저항을 억제한다.
- 물리적 제재나 신분상의 불이익 처분과 같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저항을 억제한다.
- 의식적으로 긴장(stress)을 고조시켜 개혁을 추종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 권력구조를 일방적으로 개편하여 저항집단의 세력을 약화시킨 다음 개혁을 관철시킨다.
(2) 規範的 戰略(normative strategy)
① 개혁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저항을 약화시켜 개혁의 능동적 수용을 유도하려는 전략으로, 저항극복의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이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③ 규범적 전략의 예
- 개혁추진자가 스스로의 신망을 높이거나 개혁이 요구하는 행동을 솔선수범함으로써 변화대상자들이 따라오도록 한다.
- 개혁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의 폭을 넓히고 원활한 의사전달에 의해 개혁의 내용을 잘 알림으로써 개혁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킨다. 이 경우 특히 개혁이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가 기존의 가치와 양립할 수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가치갈등으로 인한 갈등을 극복한다.
- 종래의 고착적인 사고방식과 협소한 안목으로 인한 저항을 극복하고 개혁이 도입하는 새로운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실시한다.
(3) 功利的 戰略(utilitarian strategy)
① 개혁관련자들의 이익침해를 방지 또는 보상하고 개혁과정의 기술적 요인을 조정함으로써 저항을 극복하거나 회피하는 전략.
② 공리적 전략의 예
- 어떤 개혁으로 인해 인력이동이 필요하게 된 경우 해당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보장을 담은 인력계획을 세워 제시한다.
- 개혁에 의해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사람들에게 보상을 실시한다.
2) 대안탐색의 방법
- 기억탐색, 피동적 탐색, 계략탐색, 능동적 탐색.
(4) 해결방안의 평가와 선택
의사결정의 목표와 거기서 도출되는 기준에 비추어 대안들을 비교 평가하여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선택한다. 바람직한 대안이 목표와 기준(기대)을 얼마나 충실히 달성해 줄 수 있느냐에 따라 극대화대안, 최적대안, 만족대안 등으로 구분된다. 극대화대안이나 최적대안을 선택할 수 있으면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또 그러한 선택이 가능할 대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주관적으로 만족하는 이른바 만족대안을 고를 수밖에 없는 경우가 더 많은 것이다.
<20> 조직개혁의 저항과 극복방안
1. 조직改革의 抵抗 原因
조직개혁은 현상유지적 균형상태를 인위적으로 변동시키기 때문에 거의 언제나 다소간의 抵抗(resistance)에 부딪치게 된다. 여기서 저항이란 개혁에 반대되는 적대적 태도와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저항은 개혁 그 자체나 개혁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공개적 적대행동으로 노골화되기도 하며, 때로는 간접적이고 완곡한 반발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개혁에 무관심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저항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조직개혁에 대한 저항의 原因을 크게 두 가지로 범주화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저항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적 조건들을 설명하는 ‘상황적 요인’이며, 또 하나는 저항을 야기할 수 있는 인간의 심리적 상태를 설명하는 ‘심리적 요인’이다.
(1) 상황적 요인
: 조직개혁시 저항의 심리적 원인을 형성할 가능성이 큰 상황적 조건들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조직개혁의 촉발 자체를 좌절시키거나 저항을 야기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장애(obstacles)들이 있다.
-일반적 환경의 혼란, 자원부족, 조직체제의 무능력, 관료화된 조직의 경직성, 법령이나 조직간의 협약과 같이 조직행동을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제약하는 요인, 기존상태에 투입된 많은 매몰비용(sunk cost)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② 개혁추진자의 지위나 신망이 열악하다든지, 그가 불신의 대상으로 되어 있을 때
③ 개혁의 목표와 내용이 불투명하거나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때
- 개혁안이 개혁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성과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개혁안이 기존의 신념체계에 상충되거나 이익상실 또는 불편야기의 요인으로 될 때가 그 예이다.
④ 개혁추진의 방법과 절차에 내포된 문제들 때문에도 저항이 야기될 수 있다.
(2) 심리적 요인
① 개혁의 내용을 잘 모르면 저항할 가능성이 크며, 전달된 정보를 잘못 이해하여 저항할 수 있다. 특히 개혁결정과정에서 소외되었다고 믿을 때 저항할 가능성이 크다.
② 개혁이 개인적 이익을 침해한다고 생각할 때 개혁에 저항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 이익의 침해란 보수의 감액이나 지위상실 등을 말한다.
③ 개혁이 가져올 새로운 상황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저항의 원인으로 될 수도 있다. 개혁으로 기술변화가 야기되어 재학습의 필요가 있게 되면 그에 대한 부담 때문에 저항이 있을 수도 있다.
④ 개혁추진자가 일방적으로 개혁을 추진하면서 과거의 실적을 비난하거나 특정한 개인의 잘못을 지목하여 개혁의 대상으로 삼을 때와 같이 인정감이나 자존심이 손상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항할 수도 있다.
2. 저항의 극복 전략
G. N. Jones는 저항극복의 전략을 강제적 전략, 규범적 전략, 공리적 전략, 중립적 외형을 지닌 전략 등으로 분류하였다. G. N. Jones, 「Strategies and Tactics of Planned Organizational change」 (Philippin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1966), pp. 320-342
(1) 强制的 戰略(coercive strategy)
① 개혁추진자가 강제적 권력에 의해 제재를 가하거나 계서적 권한의 일방적 행사에 의해 저항을 극복한다는 전략으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신속히 저항을 극복할 필요가 있을 때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② 이 방법은 저항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단기적 또는 피상적으로 해결하는 대증요법일 때가 많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③ 강제적 전략의 예
- 계층제(hierachy)의 계서적 권한에 의한 명령으로 저항을 억제한다.
- 물리적 제재나 신분상의 불이익 처분과 같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저항을 억제한다.
- 의식적으로 긴장(stress)을 고조시켜 개혁을 추종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 권력구조를 일방적으로 개편하여 저항집단의 세력을 약화시킨 다음 개혁을 관철시킨다.
(2) 規範的 戰略(normative strategy)
① 개혁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저항을 약화시켜 개혁의 능동적 수용을 유도하려는 전략으로, 저항극복의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이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③ 규범적 전략의 예
- 개혁추진자가 스스로의 신망을 높이거나 개혁이 요구하는 행동을 솔선수범함으로써 변화대상자들이 따라오도록 한다.
- 개혁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의 폭을 넓히고 원활한 의사전달에 의해 개혁의 내용을 잘 알림으로써 개혁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킨다. 이 경우 특히 개혁이 추구하는 새로운 가치가 기존의 가치와 양립할 수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가치갈등으로 인한 갈등을 극복한다.
- 종래의 고착적인 사고방식과 협소한 안목으로 인한 저항을 극복하고 개혁이 도입하는 새로운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실시한다.
(3) 功利的 戰略(utilitarian strategy)
① 개혁관련자들의 이익침해를 방지 또는 보상하고 개혁과정의 기술적 요인을 조정함으로써 저항을 극복하거나 회피하는 전략.
② 공리적 전략의 예
- 어떤 개혁으로 인해 인력이동이 필요하게 된 경우 해당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보장을 담은 인력계획을 세워 제시한다.
- 개혁에 의해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사람들에게 보상을 실시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