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
(1) 원칙 1. 상호성
(2) 원칙 2. 일관성
(3) 원칙 3. 사회적 증거
(4) 원칙 4. 호감
(5) 원칙 5. 권위
(6) 원칙 6. 희귀성
3. 참고문헌 및 자료
2. 본론 -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
(1) 원칙 1. 상호성
(2) 원칙 2. 일관성
(3) 원칙 3. 사회적 증거
(4) 원칙 4. 호감
(5) 원칙 5. 권위
(6) 원칙 6. 희귀성
3.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지문에서 이런 실험 내용을 읽은 적이 있다. 한 무리의 사람들에게 사과 사진을 보여주고 이것이 무엇인지 묻는 실험이다. 한 사람씩 차례로 대답을 해야 했는데, 앞에 있는 사람들은 실험 전에 이미 사과가 아닌 체리라고 답하라는 지시를 받은 상태였다. 그들은 지시대로 체리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뒤에 있는 사람들도 체리라고 대답했다는 실험이다. 이들은 앞에 있는 사람들이 사과를 체리라고 하는 모습을 보고, 사과라고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따라 체리라고 대답하는 권위의 원칙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6) 원칙 6. 희귀성
얼마 전 유행했던 포켓몬 빵을 희귀성의 원칙의 사례로 들 수 있다. 빵은 세상천지 널려있다. 우리는 언제든 돈만 있다면 맛있고 다양한 종류의 빵을 사 먹을 수 있다. 하지만 포켓몬 빵은 달랐다. 포켓몬 빵은 편의점에 하루 2개 이상 들어오지 않아, 사람들은 빵이 들어오는 시간에 편의점 문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렸다가 사가기도 했다. 우리 시어머님은 포켓몬 빵을 먹어보고 싶다는 나의 말에, 대형 슈퍼마켓이 문을 열기도 전에 마트 앞에서 2시간을 기다렸다가 포켓몬 빵 한 개를 사다 주셨다. 이는 사람들이 흔한 것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희귀한 물건이라고 하면 흥미를 느끼고,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희귀성의 원칙 또한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갑자기 포켓몬 빵이 큰 인기를 얻어 판매량이 급증한 탓에 포켓몬 빵을 만들어 파는 회사는 큰돈을 벌었다. 그 회사는 포켓몬 빵에 이어 포켓몬 케이크, 포켓몬 김 등 다양한 포켓몬 상품을 만들어 돈을 벌었다. 하지만 소비자로서는 다르다. 소비자는 희귀한 포켓몬 빵을 먹어보겠다고, 웃돈을 얹어 소비자가 보다 비싼 가격으로 포켓몬 빵을 사게 되었다. 또한, 포켓몬 빵을 먹어본 어린아이들이 친구에게 자랑하고, 먹어보지 못한 아이들은 울며불며 자신의 부모에게 포켓몬 빵을 구해오라고 하기도 했다. 이는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훨씬 비싸게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경제적, 자원적, 환경적 낭비라고 볼 수 있다.
3. 참고문헌 및 자료
1) 부산일보 이준영 기자, 언어 천재들이 남을 설득하는 말의 비결, 2022.09.29. 18:39 기사 참조
2) 설득커뮤니케이션. 정만수, 이은택 지음. 출판문화원. 2015.
3) 국민일보 김명호 기자, ‘사회적 증거와 부동층’, 2016.04.05. 17:29 기사 참조
(6) 원칙 6. 희귀성
얼마 전 유행했던 포켓몬 빵을 희귀성의 원칙의 사례로 들 수 있다. 빵은 세상천지 널려있다. 우리는 언제든 돈만 있다면 맛있고 다양한 종류의 빵을 사 먹을 수 있다. 하지만 포켓몬 빵은 달랐다. 포켓몬 빵은 편의점에 하루 2개 이상 들어오지 않아, 사람들은 빵이 들어오는 시간에 편의점 문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렸다가 사가기도 했다. 우리 시어머님은 포켓몬 빵을 먹어보고 싶다는 나의 말에, 대형 슈퍼마켓이 문을 열기도 전에 마트 앞에서 2시간을 기다렸다가 포켓몬 빵 한 개를 사다 주셨다. 이는 사람들이 흔한 것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희귀한 물건이라고 하면 흥미를 느끼고,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희귀성의 원칙 또한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갑자기 포켓몬 빵이 큰 인기를 얻어 판매량이 급증한 탓에 포켓몬 빵을 만들어 파는 회사는 큰돈을 벌었다. 그 회사는 포켓몬 빵에 이어 포켓몬 케이크, 포켓몬 김 등 다양한 포켓몬 상품을 만들어 돈을 벌었다. 하지만 소비자로서는 다르다. 소비자는 희귀한 포켓몬 빵을 먹어보겠다고, 웃돈을 얹어 소비자가 보다 비싼 가격으로 포켓몬 빵을 사게 되었다. 또한, 포켓몬 빵을 먹어본 어린아이들이 친구에게 자랑하고, 먹어보지 못한 아이들은 울며불며 자신의 부모에게 포켓몬 빵을 구해오라고 하기도 했다. 이는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훨씬 비싸게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경제적, 자원적, 환경적 낭비라고 볼 수 있다.
3. 참고문헌 및 자료
1) 부산일보 이준영 기자, 언어 천재들이 남을 설득하는 말의 비결, 2022.09.29. 18:39 기사 참조
2) 설득커뮤니케이션. 정만수, 이은택 지음. 출판문화원. 2015.
3) 국민일보 김명호 기자, ‘사회적 증거와 부동층’, 2016.04.05. 17:29 기사 참조
추천자료
[설득커뮤니케이션 2학년 공통] 교재 1장에 나오는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을 ...
[설득커뮤니케이션 2학년 공통] 교재 1장에 나오는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을 ...
커뮤니케이션 ) 교재 1장에 나오는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을 스스로 정리하고 ...
설득커뮤니케이션 ) 교재 1장에 나오는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을 스스로 정리...
(설득커뮤니케이션 2학년) 교재 1장에 나오는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을 스스로...
설득 심리학 여섯 가지 원칙을 스스로 정리하고 스스로 경험하거나 미디어에서 접한 사례를 ...
설득커뮤니케이션 ) 설득 심리학 여섯 가지 원칙을 스스로 정리하고 학생 스스로 경험하거나 ...
설득커뮤니케이션 - 교재 나오는 설득의 심리학에 대한 여섯 가지 원칙을 스스로 정리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