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열팽창
2. 일반적인 구름의 생성 과정
3. 구름 생성을 위한 인위적 방법
4. 구름의 형성 유형
5. 구름의 종류
6. 빙정설과 병합설
2. 일반적인 구름의 생성 과정
3. 구름 생성을 위한 인위적 방법
4. 구름의 형성 유형
5. 구름의 종류
6. 빙정설과 병합설
본문내용
이슬비와 같은 적은 양의 강수를 유발한다. 반면, 구름을 높이를 기준으로 분류하고자 하면 high clouds, middle clouds, low clouds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6. 빙정설과 병합설
강수(precipitation)란 비, 눈, 우박 등의 구름에서 지표로 내리는 모든 것을 말한다. 강수량(amount of precipitation)이란 지표로 떨어진 강수의 총량(단위:mm)을 말하며 고체 상태의 강수는 녹여서 잰 물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먼저, 강수가 있으려면 빗방울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림 10]에서 보는 것처럼 구름 방울의 지름은 대략 0.02mm이며 빗방울의 지름은 2mm이다. 반지름의 세제곱의 단위는 부피의 단위와 같으므로 약 100만 개의 구름 입자가 모여야 빗방울 1개가 만들어진다. 즉, 구름이 매우 두꺼워야 비나 눈이 내릴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강수를 형성하는 과정은 크게 중위도에서의 빙정설(Wegener-Bergeron-Findeisen)과 열대 혹은 아열대 지방에서 강수를 형성하는 병합설(Coalescence process)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병합설(Coalescence process)은 열대 지방이나 저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을 말한다. 병합설에 의하면 구름 최상부의 온도가 0℃이상이면 물방울의 낙하 속도 차이에 의해 물방울이 결합하며 강수가 일어난다. [그림 11]과 [그림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병합설에 의해 거대 빗방울이 성장하는 과정은 작은 구름 방울이 낙하하면서 결합하는 과정에 따른 것이다. 반면, 빙정설(Wegener-Findeison Process)은 중위도 지방이나 고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이다. 빙정설에 의하면 [그림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빗방울은 온도가 0℃이하인 구름 속의 과냉각 물방울이 증발하여 형성된 수증기가 얼음 알갱이에 달라붙어 성장하며 강수가 일어난다. 이렇게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 내리는 것이고 반면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 내리는 것이다. 이때 과냉각 물방울(supercooling raindrop)은 구름 내 0℃이하의 상태에서 존재하는 물방울로 0℃이하에서 과냉각 물방울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정상 어는점이 0℃이지
만, 표준압력(1atm)에서 균질 핵 형성 온도인 48.3℃에 달할 때까지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빙정설과 병합설
강수(precipitation)란 비, 눈, 우박 등의 구름에서 지표로 내리는 모든 것을 말한다. 강수량(amount of precipitation)이란 지표로 떨어진 강수의 총량(단위:mm)을 말하며 고체 상태의 강수는 녹여서 잰 물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먼저, 강수가 있으려면 빗방울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림 10]에서 보는 것처럼 구름 방울의 지름은 대략 0.02mm이며 빗방울의 지름은 2mm이다. 반지름의 세제곱의 단위는 부피의 단위와 같으므로 약 100만 개의 구름 입자가 모여야 빗방울 1개가 만들어진다. 즉, 구름이 매우 두꺼워야 비나 눈이 내릴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강수를 형성하는 과정은 크게 중위도에서의 빙정설(Wegener-Bergeron-Findeisen)과 열대 혹은 아열대 지방에서 강수를 형성하는 병합설(Coalescence process)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병합설(Coalescence process)은 열대 지방이나 저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을 말한다. 병합설에 의하면 구름 최상부의 온도가 0℃이상이면 물방울의 낙하 속도 차이에 의해 물방울이 결합하며 강수가 일어난다. [그림 11]과 [그림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병합설에 의해 거대 빗방울이 성장하는 과정은 작은 구름 방울이 낙하하면서 결합하는 과정에 따른 것이다. 반면, 빙정설(Wegener-Findeison Process)은 중위도 지방이나 고위도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이다. 빙정설에 의하면 [그림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빗방울은 온도가 0℃이하인 구름 속의 과냉각 물방울이 증발하여 형성된 수증기가 얼음 알갱이에 달라붙어 성장하며 강수가 일어난다. 이렇게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 내리는 것이고 반면 성장한 얼음 알갱이가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 내리는 것이다. 이때 과냉각 물방울(supercooling raindrop)은 구름 내 0℃이하의 상태에서 존재하는 물방울로 0℃이하에서 과냉각 물방울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정상 어는점이 0℃이지
만, 표준압력(1atm)에서 균질 핵 형성 온도인 48.3℃에 달할 때까지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색관념과 전통문화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기말 예상문제 03
[과외]중학 과학 2-2학기 중간 예상문제 06
[숲과삶]산성비의 정의와 생성원인 및 식물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흉배에 대해서
발생학습 수업 모형에 따른 지구과학 학습 지도안 - 구름과 강수
[구름, 구름 정의, 구름 종류, 구름 생성, 구름줄, 적란운, 권운, 권적운, 고적운, 난층운, ...
[날씨][기상][날씨 특징][날씨 예측][날씨 현상][구름]날씨(기상)의 특징, 날씨(기상)의 예측...
[생활한방] 역의학(易醫學)에 대한 고찰
인산의 적정과 완충용액_결과레포트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