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국어와 영어의 공통점
2) 한국어와 영어의 공통점 예시
2.2.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2)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예시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2.1. 한국어와 영어의 공통점
2) 한국어와 영어의 공통점 예시
2.2.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2)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예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라는 문장에 ’-가, -에‘의 조사의 위치를 바꾸면 ’소가 차에 접근했다‘라고 내용이 바뀐다. 앞 문장에서는 차가 소에 다가간 것이지만, 뒤의 문장에서는 소가 차에 다가간 것으로 조사에 따라서 내용이 달라진다. 하지만 영어에서는 조사가 없기 때문에 주어와 목표의 위치를 바꾸어서 다른 내용으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영어에서 동작을 하는 주체는 동사의 앞에 와야 하며, 동작의 목표가 되는 것은 동사 뒤에 위치를 둔다. 그렇기 때문에 단어들이 동사 앞에 있는지, 뒤에 있는지에 따라서 내용이 달라진다.
3. 결론
지금까지 한국어와 영어의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와 영어의 공통점은 문장 구성의 주성분이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사 앞이나 뒤에 있는 형용사를 한국어로 번역하게 되면 국어의 관형사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반대로 차이점으로는 한국어는 자유어순이며, 영어는 고정어순으로 한국어는 어순이 바뀌어도 내용이 변화하지 않지만, 영어는 위치에 따라서 내용에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한국어의 어순을 바뀌어도 의미가 바뀌지 않지만, 영어는 어순을 바꾸면 의미가 달라지는 가장 큰 이유는 조사이다. 한국어는 조사로 품사가 결정이 되어 어순이 달라도 동일하지만, 영어는 조사가 없기 때문에 위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체계편」. 커뮤니케이션북스
정은(2016) 영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순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결론
지금까지 한국어와 영어의 대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와 영어의 공통점은 문장 구성의 주성분이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사 앞이나 뒤에 있는 형용사를 한국어로 번역하게 되면 국어의 관형사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반대로 차이점으로는 한국어는 자유어순이며, 영어는 고정어순으로 한국어는 어순이 바뀌어도 내용이 변화하지 않지만, 영어는 위치에 따라서 내용에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한국어의 어순을 바뀌어도 의미가 바뀌지 않지만, 영어는 어순을 바꾸면 의미가 달라지는 가장 큰 이유는 조사이다. 한국어는 조사로 품사가 결정이 되어 어순이 달라도 동일하지만, 영어는 조사가 없기 때문에 위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체계편」. 커뮤니케이션북스
정은(2016) 영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순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