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개
3. 간호목표 (장기, 단기)
4. 간호계획 - 사정, 처방수행, 교육(각각에 대한 이론적 근거 있습니다.)
2. 간호진단 3개
3. 간호목표 (장기, 단기)
4. 간호계획 - 사정, 처방수행, 교육(각각에 대한 이론적 근거 있습니다.)
본문내용
열은 응급 치료가 필요하다.
3. 조직손상을 최소화하고 출혈이나 혈종형성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4. 혈액응고를 지연시켜 출혈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
교육
환자에게 출혈을 야기하는 행동들에 대해서 교육시킨다.
긴장성 움직임을 피하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은 출혈을 예방 할 수 있다.
▶ NADNA 간호진단 < 안전/보호 2. 신체적 손상 - (277) 출혈의 위험>
▶ NADNA 간호진단 <안전/보호 2. 신체적 손상 - (284) 피부통합성장애>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 주관적 자료
“ 몸도 여기저기 가렵고... ”
C/C: jaundice, itching
. 객관적 자료
건조한 피부, 얼굴과 팔 다리에 prtechiae, Caput Medusae와 하지(발목)에 pitting edema 관찰됨.
3월 6일 화학검사에서SGOT (AST) 80IU/L, SGOT(ALT), 45IU/L, total Bilirubin 4.0mg/dl 증가됨.
3월 8일 Liver CT에서 liver cirrhosis가 확인됨.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간호계획 (Nursing Plan)
.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5일 이내에 total Bilirubin이 정상수치로 유지된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소양감과 긁는 것이 감소하거나 없어졌다고 말한다.
.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사정
환자의 가려운 부위와 가렴움이 심한 시간 등을 파악한다.
2. 욕창이 생길 수 있는 부위를 관찰하고 자주 체위를 변경하고 마사지 한다.
로현을 바르고 목욕 시 비누는 사용하지 않는다.
가려움증은 일차적 담관성 간경화 환자의 약 2/3에서 나타난다.
2. 부종 시 욕창이 쉽게 발생한다.
② 처방수행
손톱을 짧게 자르고, 수면 시 벙어리 장갑을 착용한다.
배뇨, 배변 후에 회음부 간호를 격려한다.
칼라민 로션을 바르고 중조목욕을 제공한다.
몸에 꼭 맞는 옷과 면으로 된 부드러운 옷을 입는다.
5. 환자의 외모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 는다.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피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담즙산염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한다.
3. 피부를 진정시키고 가려움증을 완화시킨다.
4. 피부자극을 감소시킨다.
5.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교육
환자에게 긁거나 문지르지 않도록 교육한다
대상자를 교육함으로써 피부를 완화 시킬 수 있다.
3. 조직손상을 최소화하고 출혈이나 혈종형성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4. 혈액응고를 지연시켜 출혈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
교육
환자에게 출혈을 야기하는 행동들에 대해서 교육시킨다.
긴장성 움직임을 피하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은 출혈을 예방 할 수 있다.
▶ NADNA 간호진단 < 안전/보호 2. 신체적 손상 - (277) 출혈의 위험>
▶ NADNA 간호진단 <안전/보호 2. 신체적 손상 - (284) 피부통합성장애>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 주관적 자료
“ 몸도 여기저기 가렵고... ”
C/C: jaundice, itching
. 객관적 자료
건조한 피부, 얼굴과 팔 다리에 prtechiae, Caput Medusae와 하지(발목)에 pitting edema 관찰됨.
3월 6일 화학검사에서SGOT (AST) 80IU/L, SGOT(ALT), 45IU/L, total Bilirubin 4.0mg/dl 증가됨.
3월 8일 Liver CT에서 liver cirrhosis가 확인됨.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간호계획 (Nursing Plan)
.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5일 이내에 total Bilirubin이 정상수치로 유지된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소양감과 긁는 것이 감소하거나 없어졌다고 말한다.
.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사정
환자의 가려운 부위와 가렴움이 심한 시간 등을 파악한다.
2. 욕창이 생길 수 있는 부위를 관찰하고 자주 체위를 변경하고 마사지 한다.
로현을 바르고 목욕 시 비누는 사용하지 않는다.
가려움증은 일차적 담관성 간경화 환자의 약 2/3에서 나타난다.
2. 부종 시 욕창이 쉽게 발생한다.
② 처방수행
손톱을 짧게 자르고, 수면 시 벙어리 장갑을 착용한다.
배뇨, 배변 후에 회음부 간호를 격려한다.
칼라민 로션을 바르고 중조목욕을 제공한다.
몸에 꼭 맞는 옷과 면으로 된 부드러운 옷을 입는다.
5. 환자의 외모에 대해 이야기 하지 않 는다.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피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담즙산염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한다.
3. 피부를 진정시키고 가려움증을 완화시킨다.
4. 피부자극을 감소시킨다.
5.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교육
환자에게 긁거나 문지르지 않도록 교육한다
대상자를 교육함으로써 피부를 완화 시킬 수 있다.
추천자료
케이스스터디 간세포암종
호흡기계 진단검사
간경변 케이스 발표
전립선 암(Prostate Cancer)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입니다 - 의학적진단명 : M...
성인간호학 A+ 알콜성 간경화 alcoholic liver cirrhosis 대상자에 맞게끔 간호과정을 했...
알츠하이머CASE
양극성장애 CASE
A+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실습 위염환자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경변 간호과정 케이스 연구 및 간경변 증상,병태생리 및 간경변 간호와 치료법 분석
성인간호학실습 A+/ 게실염 CASESTUDY(간호과정)/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