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간이 현금을 보유하고 은행도 초과지급준비금을 보유하는 경제에서 예금은행이 요구불예금과 대출의 형태로만 자금을 조달·운용하는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라.(총 20점)
1) 요구불예금 대비 민간보유 현금의 비율이 20%, 총지급준비율이 40%인 경우, 통화승수는 얼마인가?(10점)
2) 이때 경제내의 본원통화가 800조원 증가하면 통화량은 얼마까지 늘어나는가?(10점)
2.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이론들 중 기대이론, 시장분할이론, 특정만기선호이론, 유동성프리미엄이론에 대해 각각 기술하고, 각각의 이론들이 현실에서 나타나는 수익률곡선의 전형적인 특징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비교·평가하시오.(20점)
3. 통화정책의 세 가지 수단, 즉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지급준비율정책, 공개시장운영의 의미 및 기능을 표와 그림을 이용하여 각각 설명하고, 다른 정책수단과 비교하여 공개시장운영이 가지는 상대적 장점을 서술하시오.(30점)
1) 요구불예금 대비 민간보유 현금의 비율이 20%, 총지급준비율이 40%인 경우, 통화승수는 얼마인가?(10점)
2) 이때 경제내의 본원통화가 800조원 증가하면 통화량은 얼마까지 늘어나는가?(10점)
2. 이자율의 기간구조를 설명하는 이론들 중 기대이론, 시장분할이론, 특정만기선호이론, 유동성프리미엄이론에 대해 각각 기술하고, 각각의 이론들이 현실에서 나타나는 수익률곡선의 전형적인 특징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 비교·평가하시오.(20점)
3. 통화정책의 세 가지 수단, 즉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지급준비율정책, 공개시장운영의 의미 및 기능을 표와 그림을 이용하여 각각 설명하고, 다른 정책수단과 비교하여 공개시장운영이 가지는 상대적 장점을 서술하시오.(30점)
본문내용
정해 금융기관의 재무상황을 바꿔 시장 유동성을 조정하고 금융안정을 촉진할 수 있다
(3) 공개시장운영 : 중앙은행이 국채나 주식 등의 증권을 매도하거나 매수하는 통화정책 중 하나이다. 시중 자금이 과다해 경기과열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은행은 증권을 팔아 민간자금을 흡수한다. 반대로 증권을 사들여 시장에 자금을 공급한다.
2)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지급준비율정책, 공개시장운영의 기능을 표와 그림을 통해 설명하고, 다른 정책수단과 비교하여 공개시장운영이 가지는 상대적 장점을 서술
여수신제도는 중앙은행이 은행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거나 예금을 받아 금리에 영향을 미치며 통화공급을 규제하는 정책을 말한다. 통상 본점 통화 통제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금융위기 등 상황에서는 일시적으로 자금난에 처한 금융기관들에 유동성을 긴급 공급하는 수단으로 중앙은행이 최종 대출자로 활용됐다.
지급준비율정책은 금융기관이 일정 금액의 예금을 현금으로 보유하거나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에 따라 법정예비율을 변경해 경제의 통화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다. 공개시장 운영이란 채권시장, 단기금융시장 등 공개시장에서 금융기관에 유가증권을 매매·매각하는 방식으로 중앙은행의 유동성 규모를 바꿔 금리와 통화 공급을 조절하는 정책수단을 말한다.
①
법정 지급준비율(%)
②
요구불예금 잔액
③
법정 지금준비금
④
실제 또는 총 지급 준비금
⑤
초과 지급준비금
(④-③)
⑥
은행의 대출여력 = ⑤
⑦
신용승수
=1/(1)
⑧
창조가능한 최대 통화량 = ⑥X⑦
(1) 10
2,000
200
500
300
300
10
3,000
(2) 20
2,000
400
500
100
100
5
500
(3) 25
2,000
500
500
0
0
4
0
(4) 50
2,000
1,000
500
-500
-500
2
-1,000
공개시장운영이 가지고 있는 상대적 강점은 공개시장 운영이 가장 시장 친화적인 수단이며, 공개시장에 대한 운영을 통해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시장 운영을 통해 중앙은행이 원하는 만큼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유연성과 유동성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이러한 장점 중 하나는 비교적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참고문헌
박강우(2021)저, 금융시장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금융시장론 강의
한국은행, 통화정책, 여수신제도 현황
(3) 공개시장운영 : 중앙은행이 국채나 주식 등의 증권을 매도하거나 매수하는 통화정책 중 하나이다. 시중 자금이 과다해 경기과열 위험이 있을 경우 중앙은행은 증권을 팔아 민간자금을 흡수한다. 반대로 증권을 사들여 시장에 자금을 공급한다.
2)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지급준비율정책, 공개시장운영의 기능을 표와 그림을 통해 설명하고, 다른 정책수단과 비교하여 공개시장운영이 가지는 상대적 장점을 서술
여수신제도는 중앙은행이 은행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거나 예금을 받아 금리에 영향을 미치며 통화공급을 규제하는 정책을 말한다. 통상 본점 통화 통제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금융위기 등 상황에서는 일시적으로 자금난에 처한 금융기관들에 유동성을 긴급 공급하는 수단으로 중앙은행이 최종 대출자로 활용됐다.
지급준비율정책은 금융기관이 일정 금액의 예금을 현금으로 보유하거나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에 따라 법정예비율을 변경해 경제의 통화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다. 공개시장 운영이란 채권시장, 단기금융시장 등 공개시장에서 금융기관에 유가증권을 매매·매각하는 방식으로 중앙은행의 유동성 규모를 바꿔 금리와 통화 공급을 조절하는 정책수단을 말한다.
①
법정 지급준비율(%)
②
요구불예금 잔액
③
법정 지금준비금
④
실제 또는 총 지급 준비금
⑤
초과 지급준비금
(④-③)
⑥
은행의 대출여력 = ⑤
⑦
신용승수
=1/(1)
⑧
창조가능한 최대 통화량 = ⑥X⑦
(1) 10
2,000
200
500
300
300
10
3,000
(2) 20
2,000
400
500
100
100
5
500
(3) 25
2,000
500
500
0
0
4
0
(4) 50
2,000
1,000
500
-500
-500
2
-1,000
공개시장운영이 가지고 있는 상대적 강점은 공개시장 운영이 가장 시장 친화적인 수단이며, 공개시장에 대한 운영을 통해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시장 운영을 통해 중앙은행이 원하는 만큼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유연성과 유동성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이러한 장점 중 하나는 비교적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참고문헌
박강우(2021)저, 금융시장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금융시장론 강의
한국은행, 통화정책, 여수신제도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