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하리 창의 대인관계 역량개발 활용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하리 창의 대인관계 역량개발 활용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하리 창 이론

2) 대인관계 역량개발 활용 방안
3.
결론

본문내용

또한, 상대방은 나의 느낌을 파악하고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된다.
‘맹목적인 창’의 영역에서 대인관계의 문제점들이 많이 야기된다고 설명했다. 나는 모르는 상대방이 바라보는 나의 모습을 알아내고 고칠 점은 고치고, 발전시킬 부분은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경청’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경청’을 통해 ‘맹목적인 창’ 영역의 나에 대한 상대방의 생각을 알 수 있고, 상대방의 ‘미지의 창’, ‘감추어진 창’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게 된다. ‘적극적 경청’이란 상대방의 말 자체는 물론이고 드러나지 않는 의도나 정서에 대해서도 파악하여, 이해한 바를 상대방에게 피드백 해 주는 것이다. 곧, 이해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경청하는 것을 의미하며, 어떤 사람에 대해 감정적으로는 물론 지적으로도 완전하게 이해하는 것이야 말로 ‘적극적 경청’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겠다.
3. 결론
사람마다 마음의 창의 모양은 다르다. 어떤 창이 가장 큰지에 따라 개방형, 자기주장형, 신중형, 고립형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가진 성격 및 성향은 다를 수 밖에 없고, 어떤 유형이 가장 좋은 유형이다 라든지 특정 유형의 사람들이 모두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소통의 기본은 나를 보여주고 남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방형에 가까워 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기표현을 잘 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할 줄 아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호감 및 친밀감을 주고 인기도 많을 수 밖에 없다. 반면 지나치게 개방형이 될 경우 말이 많고 경박하게 비춰질 수도 있는 바, 자신만의 의사소통의 특성 및 강점을 잘 알고, 적정한 선에서 ‘개방된 창’ 영역을 넓혀 나갈 때 보다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대인관계 의사소통 / 신민주, 주용국 저 / 학지사 / 2019
2.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능력 / 홍숙영 저 / 새로미 / 2020
3. 심리학 콘서트 3 / 다고 아키라 저 / 장하영 역 / 스타북스 / 2012
[참고기사]
1. ‘조하리의 창’ 이론 통해 돌아보는 인간관계의 소통 / 뉴스통신 / 2017.08.18.
- https://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42942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8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